6-4,[121]
(부) 장군 |
자원(字源) : {象形字} 물과 같은 액체를 담는 질그릇의 장군 모양을 본뜬 글자로 윗 부분은 뚜껑을 표시하고 아래 부분은 담는 통을 의미하는데, 고대에는 이런 장군 모양의 도구를 악기로 활용한 적이 있어 '질장구'라고도 함. 장군의 모양은 계란을 옆으로 놓은 모양으로 위에 작은 구멍이 있음. 부수의 활용은 질그릇으로 만든 항아리나 단지 등의 의미로 활용되는데, 부수의 의미는 '瓦(와: 기와)'와 동일한 성격을 지니고 있고 단지 자형만 다른 경우임.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자 4) 缺 (결)이지러지다,모자라다,비다 : 缺點, 缺席, 缺食 |
6-5,[122]
(망) 그물
|
자원 : {象形字} 물고기나 들에서 새를 잡을 때 쓰는 그물을 쳐 놓은 모양을 본뜬 글자로 안쪽은 그물눈을 표현하고 바깥쪽은 벼리 줄을 표현해 '그물'의 의미인데, '罔(망)'과 동일한 글자이고 현재에는 별도로 분리되어 '실 사'변에 쓰인 '網(망)'이 그물의 의미로 사용됨. 부수의 활용은 그물의 종류나 '걸리다, 잡히다' 등의 의미로 활용되는데, 부수로 사용될 때 변형이 생겨 특히 '눈 목[目]' 부수가 옆으로 누워져 있는 경우와 구별을 조심해야 함. |
기초 한자 - 1800자 중 7자 3) 罔 (망) 없다,그물 : 奇怪罔測, 罔極 8) 罪 (죄) 허물,죄 : 罪惡, 罪囚 8) 置 (치) 두다,베풀다,버리다 : 放置, 設置, 備置 |
9) 罰 (벌) 벌주다,벌 : 罰酒, 賞罰 9) 署 (서) 마을,부서 : 署理, 府署 10) 罷 (파) 파하다,내치다 : 罷業, 罷免 14) 羅 (라) 늘어서다,그물,비단 : 網羅, 羅列, 新羅 |
6-6,[123]
(양) 양
|
자원 : {象形字} 두 뿔이 있는 양의 머리 모양을 본뜬 글자로 '양'을 의미함. 부수의 활용은 양의 종류를 나타내거나 순하고 착한 양의 성질로 인해 그러한 특성이나 상태 등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음. [ 예) 義(의)옳다, 美(미), 善(선)-口부수 등 ] 글자의 자형에 따라 글자 위 부분에 사용될 때는 약간의 변형된 모양이 나타나기도 함. |
기초 한자 - 1800자 중 5자 0) 羊 (양) 양 : 羊頭狗肉, 九折羊腸, 亡羊補牢 3) 美 (미) 아름답다,맛나다,좋다 : 美風良俗, 美德 |
6) 着 (착) 붙다,입다,다다르다 : 着工, 附着, 着服 7) 義 (의) 옳다,의리,뜻 : 見利思義, 義捐金 7) 群 (군) 무리,떼,많다 : 群鷄一鶴, 群雄割據 |
6-7,[124]
(우) 깃
|
자원 : {象形字} 새의 두 날개나 긴 깃털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깃'이나 '날개'를 의미함. 부수의 활용은 새의 '깃털, 날개'나 '나는 것', '깃으로 만든 물건' 등을 의미하는 경우와 새의 종류 가운데 깃털에 특징이 있는 '새의 이름'에 사용되어 긴 꼬리 새인 '鳥(조)'부수나 짧은 꼬리 새인 '추[雉의 오른쪽 부분] 부수와 별도로 분리되었지만 엄격하게 구별되지는 않음. [ 예) 翟(적)꿩 등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4자 0) 羽 (우) 깃,날개,새 : 羽毛, 羽翼 4) 翁 (옹) 늙은이,어르신네 : 老翁, 塞翁之馬, 翁姑 |
5) 習 (습) 익히다,버릇 : 習慣, 習性, 講習 11) 翼 (익) 날개,돕다 : 右翼, 一翼 |
6-8,[125]
(로) 늙다
|
자원 : {象形字} 머리가 부옇게 일어서고 등이 구부정한 늙은 사람이 지팡이를 집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노인'이나 '나이가 많다'는 뜻을 지니고 있는데, 후대에 아래의 지팡이 모양이 변해 현재의 '匕' 모양이 됨. {會意字} '毛+人+匕=老'의 결합으로 '匕' 역시 사람을 뒤집은 모양이기에 사람이 늙어서 머리도 변하고 몸도 굽어진다는 의미에서 '늙는다'는 뜻으로 사용. 부수의 활용은 역시 '늙은이'나 '오래되다'는 의미로 사용되고, 자형(字形)에 따라 부수로 사용될 때 아래 '匕' 모양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음. |
기초 한자 - 1800자 중 3자 0) 老 (로) 늙다,익숙하다,어른 : 男女老少, 老鍊, 敬老
|
2) 考 (고) 상고하다,아버지 : 考證, 考察, 先考 5) 者 (자) 놈,사람 : 會者定離, 當事者 |
6-9,[126]
(이) 말잇다 |
자원 : {象形字,假借字} 갑골문에서는 사람의 머리에 난 구레나룻이 아래로 길게 나 있는 모양을 본뜬 상형(象形)의 글자로 '구레나룻'이나 '턱수염', '콧수염'의 의미를 지녔는데, 후대에 인칭대명사 '너'의 의미나 글 속에서 접속의 의미로 가차(假借)되어 사용됨. 부수의 활용은 특별한 의미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한자를 분류해 부수를 설정할 때 자형(字形)의 공통으로 묶어 부수로 설정되었을 뿐임. |
기초 한자 - 1800자 중 2자 0) 而 (이) 말잇다,너,뿐 : 而後, 而已矣 |
3) 耐 (내) 견디다,참다 : 忍耐, 耐久性, 堪耐 |
6-10,[127]
(뢰) 쟁기 |
자원 : {會意字} 사람이 손으로 농기구인 쟁기를 잡고 농사짓는 의미를 도출해낸 글자로 보는 학설이 있고, 다른 학설로 아래 부분의 나무로 만든 연장 의미[木]와 위 부분의 풀이 어수선하게 우거진 모양을 합쳐 우거진 풀 나무 연장으로 갈아엎는다는 의미로 '쟁기'의 뜻으로 쓰임. {象形字} 나무 자루의 끝에 갈라진 모양의 칼날이 여러 개 달려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봄. 부수의 활용도 역시 '농기구'들이나 농사를 짓는 '경작(耕作)' 등과 관련된 의미로 활용됨.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자 4) 耕 (경) 갈다 : 耕者有田, 耕耘機 |
6-11,[128]
(이) 귀 |
자원 : {象形字} 사람의 한 쪽 귀 모양을 본뜬 글자로 '귀'의 의미로 사용되며, 의미가 가차되어 말의 기운을 표현하는 종결사의 의미로 ' -뿐이다'라는 한정의 의미로도 쓰임. 부수의 활용은 귀와 관련하여 귀의 작용이나 상태 등의 의미로 활용되거나 잘 알아듣고 판단한다는 의미에서 '헤아리다', '직분', '알다' 등의 의미로도 활용됨.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0자 0) 耳 (이) 귀,뿐 : 耳目口鼻, 中耳炎 3) 耶 (야) 그런가 : 耶蘇敎{예수교} 7) 聖 (성) 성인,천자 : 聖人, 聖賢 7) 聘 (빙) 부르다,장가들다: 招聘, 聘丈 8) 聞 (문) 듣다,맡다 : 百聞不如一見, 醜聞 |
11) 聯 (련) 연합하다,연 : 聯合, 關聯 11) 聰 (총) 밝다,총명하다 : 聰明, 聰氣 11) 聲 (성) 소리,노래,명예 : 名聲,音聲 12) 職 (직) 벼슬,맡다,일 : 職權, 職業 16) 聽 (청) 듣다,기다리다,염탐 : 聽衆, 傍聽 |
6-12,[129]
(율) 붓 |
자원 : {象形字} 손으로 붓과 같은 필기구를 잡고 글을 쓰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붓'을 의미했지만, 후에 역시 죽간(竹簡)의 개념과 결합되고 진나라 때부터 대나무 대롱으로 글을 쓰는 도구를 사용하면서 대나무 죽{竹}을 붙여 '필(筆)'을 만들어 사용하게 됨. {指事字} 제일 아래 부분의 [ㅡ]은 나무쪽을 본뜨고 그 위 부분은 솜씨 있고 빠르다는 의미로 둘을 결합하여 나무쪽으로 재빠르게 쓰는 물건인 '붓'의 뜻으로 사용함. 부수의 활용은 '붓'과 관련된 글을 쓰거나 그리는 일과 관련된 의미로 활용되기도 하지만, 역시 글자의 자형(字形) 분류로 인해 부수로 설정된 것도 다수 있음.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자 7) 肅 (숙) 엄숙하다,공경하다,삼가다 : 嚴肅, 肅淸, 肅然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