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가 알려주는 예수님의 계보
누가복음 3장 23-38절 / 23예수께서 가르치심을 시작할 때에 삼심 세 쯤 되시니라 사람들의 아는 대로는 요셉의 아들이니 요 셉의 이상은 헬리요 24그 이상은 맛닷이요 그 이상은 레위요 그 이상은 멜기요 그 이상은 얀나요 그 이상은 요셉이요 25그 이상은 맛다디아요 그 이상은 아모스요 그 이상은 나훔이요 그 이상은 에슬리요 그 이상은 낙개요 26그 이상은 마앗이요 그 이상은 맛다디아요 그 이상은 서머인이요 그 이상은 요섹이요 그 이상은 요다요 27그 이상은 요아난이요 그 이상은 레사요 그 이상은 스룹바벨이요 그 이상은 스알디엘이요 그 이상은 네리요 28그 이상은 멜기요 그 이상은 앗디요 그 이상은 고삼이요 그 이상은 엘마담이요 그 이상은 에르요 29그 이상은 예수요 그 이상은 엘리에서요 그 이상은 요림이요 그 이상은 맛닷이요 그 이상은 레위요 30그 이상은 시므온이요 그 이상은 유다요 그 이상은 요셉이요 그 이상은 요남이요 그 이상은 엘리아김이요 31그 이상은 멜레아요 그 이상은 멘나요 그 이상은 맛다다요 그 이상은 나단이요 그 이상은 다윗이요 32그 이상은 이새요 그 이상은 오벳이요 그 이상은 보아스요 그 이상은 살몬이요 그 이상은 나손이요 33그 이상은 아미나답이요 그 이상은 아니요 그 이상은 헤스론이요 그 이상은 베레스요 그 이상은 유다요 34그 이상은 야곱이요 그 이상은 이삭이요 그 이상은 아브라함이요 그 이상은 데라요 그 이상은 나홀이요 35그 이상은 스룩이요 그 이상은 르우요 그 이상은 벨렉이요 그 이상은 헤버요 그 이상은 살라요 36그 이상은 가이난이요 그 이상은 아박삿이요 그 이상은 셈이요 그 이상은 노아요 그 이상은 레멕이요 37그 이상은 므두셀라요 그 이상은 에녹이요 그 이상은 야렛이요 그 이상은 마할랄렐이요 그 이상은 가이난이요 38그 이상은 에노스요 그 이상은 셋이요 그 이상은 아담이요 그 이상은 하나님이시니라
1. 예수님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 : 사람이 아는 대로는 요셉의 아들
예수님은 열 두 살의 소년 시절에 유월절 절기를 맞이하여 유월절을 지키기 위하여 예루살렘으로 올라가셨으며, 유월절 절기가 끝난 후에도 그곳에 남아 머물고 계시면서 성전에 계셨습니다. 예수님은 그곳에서 선생들과 함께 하며 그들에게 성경을 묻기도 하고 듣기도 하셨습니다. 그러면서 예수님은 자신을 찾아온 부모에게 자신이 성전에 계셔야 할 것을 이야기 하는 것에서 예수님 자신이 어떤 존재인지에 대한 이해에 있어야 할 것을 알려주셨습니다. 그러한 예수님은 자신을 보내신 하나님 아버지와 그분의 뜻을 아는 지식으로 충만하였으며, 그러한 것으로 키와 지혜가 자라감에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제 본문에서 누가는 예수님을 따르는 믿음에 있는 자들에게 그들이 받은 복음인 예수님이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믿음에 그들의 믿음이 확고히 서도록 하는 그들이 알아야 할 예수님에 대한 존재론적 진리를 알게 해줍니다. 왜냐하면 말입니다. 예수님을 따르는 제자인 그리스도인들이 예수님을 믿는 믿음에 있는 것은 그들이 예수님을 알고 있는 것이 사람들이 알고 있는 것과는 전혀 다른 것에 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말이죠. 사람들이 알고 있는 예수님이 있고, 예수님을 따르는 제자인 그리스도인들이 알고 있는 예수님이 있습니다. 이 각각의 사람둘이 알고 있는 예수님은 전혀 다릅니다. 예수님을 따르는 제자인 그리스도인들은 말이죠. 결코 사람들이 알고 있듯이 그렇게 예수님을 알지 않습니다.
2. 누가의 기록에서 알게 해 주시는 예수님 : 하나님의 아들이심
사람들이 예수님을 알고 있는 것은 요셉의 아들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나 누가는 사람들이 알고 있는 것과는 다르게 예수님을 말해 주고 있습니다. 사람이 알고 있는 것과는 다르게 하나님께서 알게 해 주시는 예수님에 대하여 말해 주고 있는 것입니다. 누가는 사람들이 아는 대로는 예수는 요셉의 아들인데, 요셉을 낳은 조상을 추적하여 올라가니 그 조상에는 우리들이 알고 있는 사람들이 다 나옵니다. 요셉을 누가 낳았는가 하면 헬리입니다. 그리고 쭉 올라가서 다윗이 요셉을 낳은 조상이며, 유다가 요셉을 낳은 조상이며, 아브라함이 요셉을 낳은 조상입니다. 또한 노아, 라멕, 므두셀라, 에녹이 요셉을 낳은 조상입니다. 에노스가 요셉을 낳은 조상이며, 셋이 요셉을 낳은 조상입니다. 그리고 인류의 첫 사람인 아담이 요셉을 낳은 조상입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누가는 인류의 첫 사람인 아담의 계보를 통해서, 그래서 아담으로부터 시작하여 아브라함과 다윗의 후손으로 있는 요셉의 계보를 통해서 하나님께서 세상에 주신 분이 있는데, 그분은 사람들이 요셉의 아들이라고 알고 있는 예수님이시라는 것을 말씀해 주시고 있습니다. 그래서 말입니다. 요셉의 계보에서 등장하는 그의 조상이 되는 인류의 시조는 인류의 첫 사람인 아담이지만, 사람들이 요셉의 아들로 알고 있는 예수님의 계보는 첫 사람 아담을 창조하시고 그를 통하여 그의 후손으로 오는 인류를 온 땅에 퍼뜨린 창조주 하나님이시라는 것입니다. 요셉이 조상으로 섬기는 계보는 하나님께서 예수님을 그리스도로 세상에 보내시는 통로로 있게 하신 것이었습니다. 예수님은 시작이 인류의 첫 사람인 아담이 아닙니다. 예수님은 그 시작이 하나님에게서 출발합니다. 하나님은 예수님을 요셉이 조상으로 섬기는 아브라함과 다윗의 계보를 통해서 보내주십니다만, 그래서 요셉, 그리고 아브라함과 다윗은 예수님의 계보가 됩니다만, 하나님은 이들이 계보로 있는 혈통을 통해서 예수님을 보내주신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은 예수님을 사람의 혈통이 아닌, 성령으로 동정녀 마리아의 복중에 잉태케 하셨습니다. 그러니까 말입니다. 하나님은 요셉의 계보를 사용하시되, 인류의 첫 사람 아담으로부터 시작해서 아브라함과 다윗과 그리고 요셉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사람을 거치지 않고 그 모두들에게 주신 언약의 씨로 주신 하나님의 아들을 직접 동정녀 마리아를 통해서 주시는 일을 하신 것입니다. 마태복음 1장 16절, 18절에서의“마리아에게서 그리스도라 칭하는 예수가 나시니라.”라고 하시며,“그의 어머니 마리아가 요셉과 동거하기 전에 성령으로 잉태된 것이 나타났더니”는 그러한 뜻에서입니다. 그러니 말입니다. 사람들은 예수님을 알기를 요셉의 아들이라고 알고 있습니다만, 예수님은 결코 요셉이 낳은 요셉의 아들이 아닙니다. 사내를 알지 못하는 동정녀 마리아에게서 성령으로 잉태된 분이셨으며, 성령으로 탄생하신 분이 예수님이십니다. 그러니 요셉의 아들로 있을 수가 없습니다.
예수께서 세상에 오시는 것에서 그분의 공생애에서의 모든 행적과 구속 사역 모두에서는 예수님이 요셉의 아들로 불려진 적이 결코 없습니다. 예수님은 언제든지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하나님께서 증거하시며 그 진리를 입증하셨습니다. 하나님은 예수께서 세례 요한에게 세례를 받으실 때“내 사랑하는 아들이요 내 기뻐하는 자이다.”는 것을 분명히 하셨으며, 예수님은 그리스도이시요 하나님의 아들로 오신 자신에 대한 이해와 믿음에 있도록 제자들을 신앙고백에 있게 하셨습니다. 예수님은 십자가에 달려 죽음의 고난을 당하실 때 예수님을 처형한 현장에 있던 백부장이 예수님이 진실로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고백하는 시인에 있게 하셨습니다. 예수님은 하나님의 아들이신 신적 권위로 하나님 나라의 복음을 전파하시고 가르치셨으며 이적을 권능 있게 행하셨습니다.
3. 누가가 예수님의 계보를 말해주는 까닭
누가가 무엇 때문에 동정녀 마리아가 낳은 예수님의 계보를, 그리고 사람들이 예수님을 요셉의 아들로 알고 있는 요셉의 계보를 상세히 기록하여 말해 주고 있는지요. 요셉의 조상은 인류의 첫 사람이 되는 아담에게서 끝나는데, 그에게서 멈추지 않고 요셉의 가장 위에 있는 아담 위에 있는 하나님을 무엇 때문에 기록하여 말해 주고 있는지요. 예수님은 하나님이 보내신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말씀해 주시기 위해서입니다. 사람들이 아는 대로는 요셉의 아들인데, 그렇게 예수님을 사람의 아들로 볼 뿐이며, 그래서 예수님을 사람의 한 사람으로 생각할 뿐이어서 하나님이 보내신 주님이시오 그리스도이심을 믿지 않고 있는데, 누가는 온 세상에 진리로 주신 이 사실을 알고 있는 자들에게 그들이 알고 있는 바를 확증하며 더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말해 주고 있습니다(눅 1:4 참조). 그러니 말입니다. 누가가 기록하고 있는 의도대로 자세히 살펴 상세히 예수님을 앎으로써, 그래서 예수님이 하신 모든 일에 대하여 잘 이해하고 앎으로써, 예수께 가진 우리의 믿음은 그 확실성으로 더욱 견고하여서 흔들림이 없이 잘 서나가야 하겠습니다. 누가가 예수님의 계보를 말해주는 까닭, 곧 누가가 예수님의 계보를 기록하는 목적이 여기에 있습니다. 사도 바울은 예수께 가진 우리의 믿음이 예수께 깊게 뿌리내릴 것을 권면합니다. 그래서 흔들림이 없이 당시의 유대인들의 대적에도 두려움 없이 대처해 나갈 것을 권면합니다.
우리의 믿음이 주님이시오 그리스도이신 하나님의 아들 예수께로부터 떠나게 하는 적대적인 위협을 우리는 항시적으로 받고 있습니다. 씨 뿌리는 비유에서 보게 되는 하나님의 말씀이 결실에 이르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훼방하는 악한 자의 방해가 있으며, 어려움과 박해로 우리의 열정과 믿음을 흔들리게 하며, 생활에 대한 염려와 재물의 욕심은 세상 사람들에게서만 보게 되는 것이 아닙니다(마 13:18-22). 하지만 말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 마음에 뿌려진 하나님의 말씀이 결실하도록 깨닫게 하며 인내하도록 성령으로 함께 하십니다. 그래서 우리의 믿음을 지키십니다. 이렇게 하나님의 말씀이 우리에게서 결실에 이르기까지 하나님의 자비를 입고 있는 우리입니다. 하나님은 참으로 선하신 분이심을 보는 우리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