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LEMENT OUTPUT에서의 질문입니다. > > Set POSITION=CENTROIDAL > if values are being written at the centroid of the element (the centroid > of the reference surface of a shell element, > the midpoint between the end nodes in a beam element). > --------------------------------------------------------------------- > : 이 옵션의 경우, shape function 을 만들어 shape function의 centroidal을 > 결과값으로 가진다는 것인지요? 아니면, 다수의 적분점결과를 averaging한다 > 는 의미인지요? > --------------------------------------------------------------------- > Set POSITION=INTEGRATION POINTS (default) > if values are being written at the integration points at which the > variables are actually calculated. > --------------------------------------------------------------------- > : 이 옵션의 경우, 주위 element의 다수의 적분점 결과를 통해, 특정 노드점 > 의 응력값을 어떻게 산출하는지요? 예를들어, 노드주위로 4개의 element를 가 > 지고 있다할때 4개의 적분점을 결과를 가지는데, 주위로 shape function을 > 만들어 해당 결과를 만들어낸다던지, 아니면 4개의 적분점 중 최대값을 가진 > 다.등으로 생각해았는데, 어디까지나 생각이기때문에 질문드립니다. >
문의하신 내용은 결과값을 기록할 지점에 대한 정의를 하는 것입니다.
어떤 프로그램이든 FEM 방법을 사용한다면 각 element에서의 stress, strain 등은
element의 integration point에서 계산을 하게 됩니다. POSITION=INTEGRATION POINTS
라고 선언하게 되면 계산된 값을 그대로 odb file에 기록한다는 것입니다.
만약 POSITION=CENTROIDAL이라고 선언할 경우에는 integration point에서 계산된
값을 가지고 element centroid에서의 값을 유추하여 이 값을 odb file에 기록하게
됩니다.
어떻게 기록을 하든 /Viewer에서 값을 contour로 볼 때에는 odb file에 기록된
값을 기준으로 하여 주위 element에서의 값과 interpolation하여 값의 변화를
contour plot하게 됩니다. 물론 interpolation 과정에서 node에서의 값이 인접
element에서의 값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보상 조건을
규정한 것이 "Results" --> "Options..." 에서의 Nodal Averaging입니다.
이 값을 100으로 하면 node에서의 값이 jump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대한 smoot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