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작 노 트
▷ 장 르 : SF
▷ 분 류 : TV 시리즈
▷ 원 제 : Serial Experiments Lain
▷ 기 획 : production 2nd
▷ 원 작 : production 2nd
▷ 감 독 : 나카무라 류타로(中村隆太郞)
▷ 원 화 : 아베 요시토시(安倍吉俊)
▷ 구 성 : 코나카 치아키(小中千昭)
▷ 캐릭터 : 키시다 타카히로(岸田隆宏)
▷ 미 술 : 사토 마사루(佐藤浩)
▷ 편 집 : 세야마 타케시(安津畑隆)
▷ 음 향 : 츠르오카 유타(鶴岡陽太)
▷ 음 악 : 레이이치(麗市) "Chabo" 나카이도(仲井戶)
▷ 방 송 : 1998년 7월 6일~1998년 9월 28일(전 13회)
▷ 제작년도 : 1998
줄 거 리
"난 죽지 않았어! 육체를 버렸을뿐"
컴퓨터광(狂)인 아버지, 아름답지만 가족들에 대한 애정이 부족한 엄마, 잔소리쟁이 언니와 함께 살고 있는 여중생 Lain. 소란스러운 가족들과는 달리 Lain은 다른 사람들이나 그들과 관련된 일들에는 전혀 관심이 없다. 사람들과의 대화 역시 극도로 기피한다. 그래서 학교나 집에서 항상 혼자다.
자살한 친구로부터 "난 죽지 않았어, 육체를 버렸을뿐."이란 이메일을
받은 후, Lain에게 변화가 일기 시작한다. 'Wired'라 불리는 네크워크
세계에 흥미를 가지게 된 것이다. 게다가 아버지가 사준 최신 컴퓨터
'NAVI(휴대용 컴퓨터)'에 우연히 구한 초강력칩을 장착하면서, Lain은 불만에 가득차 있던 현실세계와는 확연히 다른 Wired 세계에 더욱
깊이 빠져들게 된다.
친구들로부터 자기와 꼭 닮은 또 하나의 Lain이 '사이버리아'라는 클럽에 출몰한다는 이야기를 듣게 된 Lain. 자폐적인 증상을 띄는 자신과는 달리 활달하고 강하며 영악하다는 또 다른 Lain을 추적하던 중
신이라고 자처하는 사람이 Lain 앞에 나타나 또다른 Lain의 정체를 일러주는데……..





작 품 소 개
"관객을 배려하기 보다는 작품의 호흡을 중시한다."
기존 재패니메니션과 맥을 달리하는 독특하고 이색적인 작품
1998년 TV 프로그램으로 상영돼 그 해 상반기 TV애니메이션 랭킹
종합 우수상을 받은 작품. 원제 'Serial Experiments Lain'에서 알 수
있듯이 Lain은 저예산 프로덕션이 만든 지극히 실험적이고 이색적인
작품이다. 각 셀의 섬세함을 중시하는 재패니메이션의 주류와는 달리
Lain은 디지털을 활용한 독특한 작풍으로 일본에 방송되었을 당시에도 대단한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Lain이 SF로 분류된 것도 현실세계와 네트워크세계를 넘나드는 스토리 외에 바로 디지털을 활용한 독특한 작풍과 음향 효과의 영향이 컸다.
스토리 전개 역시 이색적이다. 자살한 소녀로부터의 메일을 받은 Lain이 wired(네트워크 세계)에 흥미를 가져, 현실세계와 네트워크 세계를
넘나들며 여러가지 체험을 해 나간다는 것. Lain의 심리 묘사가 스토리를 이끌어가는 중심축이다. 기존의 작품이 대화나 나레이션을 스토리를 전개해 나가는 것에 비해 심리 묘사만으로 스토리로 이끌어갈
수 있다는 걸 보여주기라도 하는 것 같은 작품.
구성 역시 특이하다. 대부분의 TV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경우, 각 편들이 특정 주제를 지닌 옴니버스 형식을 띈다. 구지 옴니버스 형식이
아니더라도 한 시리즈 속의 각각의 작품을 이해하는 데는 별다른 어려움이 없다. 하지만 Lain은 다르다. Lain의 각 편 제목은 'Layer'로
불린다. 'Layer'의 사전적 의미는 '층지게 하다', '쌓여서 만들어진 지층, 계층'이다. 즉, 하나로는 완전한 형태가 되지 못하고 Layer들이 모여야만 하나의 완성체가 되는 불완전한 상태를 말한다. 다시 말해,
Lain의 각편을 하나씩 보면 도대체 무슨 내용인지 알 수가 없지만 13개의 Layer를 합쳐서 보면 논리전개가 분명한 하나의 작품이 된다는
것이다.
표현 기법도 지극히 독특하다. 마치 말없이 혼자만의 세상을 즐기는
주인공 Lain의 성격을 나타내기라도 하듯이 최대한 대사를 절제하고
있다. 그 대신 , '음향효과'나 텍스트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부족한 대사를 채워준다. 대사 중심의 표현 기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다른 재패니메이션에 비해 대사가 철저히 배제된 Lain의 표현 기법은 그 자체만으로도 이색적이다.
이러한 독특함으로 Lain은 1998년 일본 상반기 TV 애니메이션 랭킹에서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또 가정용 게임기인 플레이 스테이션 오락물로도 만들어져 아직까지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하지만 극과 극은 항상 동시에 존재한다고 했던가. 독특하고 이색적인 묘사과 구성으로 저예산 최고의 작품이라는 찬사를 받는 반면, 스토리 전개가 지루하며 한번 봐서는 그 의미를 파악하기 힘든 난해한 이야기와 디지털로 만든 거친 화면으로 인해 별볼일 없는 작품이라는 혹평도 받고
있다.
"관객을 배려하기 보다는 작품의 호흡을 중시했다."는 감독 나카무라
류타로의 말처럼 Lain은 철저히 매니아를 위해 기획되고 제작된 애니메이션이다. 보편적인 것 보다는 특이한 것 새로운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을 위한 작품.





캐릭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