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배움터> 자료
한글 맞춤법 제30항을 참고하시면 사이시옷 표기 규정을 자세하게 알 수 있습니다. 우리말에서 사이시옷은 한자어와 순우리말이 결합한 합성어나 순우리말끼리 결합한 합성어에서 뒤에 오는 자음이 된소리로 날 때 표기합니다.
'횟집'과 같이 '회'와 '집'이 결합한 말에서 '회'는 한자어이고 '집'은 우리말이며 이때 '집'은 된소리로 발음합니다. 따라서 이때는 '횟집'으로 사이시옷을 표기해야 합니다.
그런데 질문하신 '고깃집' 또는 '고기집'은 '횟집'과 달리 사전에 표제어로 올려 두지 않은 말입니다.
흔히 쓰는 말로 한 단어로 굳어진 말이라면, 사전에도 표제어로 두게 되는데, '고기집'이나 '고깃집'은 현재 사전에는 없는 말입니다. 따라서 정확하게 쓴다면, '고기 집'으로 띄어써야 할 것입니다.
한편 '고기'와 '집'을 결합한 말을 한 단어로 볼 수 있다면, 발음을 확인해서 '집'을 된소리로 말하는지 살펴보아야 합니다. 보편적인 발음을 생각한다면, '집'은 된소리로 발음하니 '고깃집'처럼 쓸 수 있을 듯합니다만, 정확한 표준발음을 제시한 자료가 없습니다.
사이시옷 표기는 그 발음을 정확하게 확인해야 하는데 흔히 쓰는 말이 아니며 또한 한 단어로 쓸 수는 있지만 사전에서 한 단어로 다루어 표제어로 두지 않았기 때문에 그 발음을 확인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또한 사전에 없는 단어지만 실제로 '나뭇집'과 '나무집'은 사이시옷이 있고 없고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
집니다. '나뭇집'은 '나무를 파는 집' 즉 '목재상'을 의미하지만 '나무집'은 '나무로 지은 집'을 의미합니다.
정확한 답변을 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그렇지만 우리말 규정 중 사이시옷 부분은 학자들도 확실하게 정답을 제시하기 어려울 정도로 기본 규칙만 제시합니다. 표준발음까지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사실 혼란스러운 부분이 많습니다.
따라서 각 단어는 띄어쓰면 좋습니다. '고기 집' 정도는 붙여쓰는 예도 흔합니다만 사실 정확한 표기를 확인하기가 어려우니 띄어쓰면 무방할 듯합니다.
한편 질문하신 내용과는 다른 문제입니다만, 2번 보기 중 '군데'는 의존명사이므로 '두세 군데'로 띄어써야 바릅니다.
- - - - --
<국립국어원> 자료
'표준국어대사전'에는 ‘고기집’과 ‘고깃집’이 올라 있지 않아서 사이시옷을 받쳐 적는 것이 맞는지, 받쳐 적지 않는 것이 맞는지 확실한 답변을 드리기가 어렵습니다. 그러나 둘 중에 ‘고깃집’의 경우에는 합성어로서 사전에 등재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고깃집’은 고기를 파는 상점을 뜻할 경우 사이시옷을 받쳐 적는 것이 맞습니다.
그리고 ‘샤브샤브’는 ‘샤부샤부’로 적어야 합니다. 제58차 정부․언론 외래어심의공동위원회 결정 사항에 따르면, 얇게 썬 고기를 끓는 물에 즉석에서 데쳐 먹는 요리인 "しゃぶしゃぶ"는 '샤브샤브'가 아니라 '샤부샤부'로 표기하는 것이 맞습니다. 본래 '샤부샤부'(しやぶしやぶ)에서 온 말로 'ぶ'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부'로 적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