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령 대 |
표시없음 |
20-30대 |
40대 |
50대 |
60대 |
70대이상 |
총계 |
상담참여 |
61 |
20 |
81 |
156 |
124 |
17 |
459 |
비율 |
13% |
4% |
18% |
34% |
27% |
4% |
100% |
* 50대가 가장 많으며 50대 이상이 전체 65%임.
연령 표시 없는 집단을 연령층의 비율로 분류하면 50대 이상이 약 73%임.
5, 상담 내용의 분석
1)귀농희망자의 귀농실행 예상 시기
귀농예상 |
연령 무 |
20-30 |
40대 |
50대 |
60대 |
70-80 |
소계 |
비고 |
금년 내 |
2 |
1 |
5 |
12 |
23 |
3 |
46 |
80대1명 |
1년 후 |
5 |
1 |
3 |
24 |
26 |
5 |
64 |
|
2년 후 |
4 |
1 |
6 |
27 |
17 |
1 |
56 |
|
3년 후 |
9 |
2 |
9 |
31 |
25 |
3 |
79 |
|
그 후 |
41 |
15 |
58 |
62 |
33 |
5 |
214 |
|
소계 |
61 |
20 |
81 |
156 |
124 |
17 |
459 |
|
2) 3년 전후로 귀농을 희망하는 연령의 분포
연령 대 |
년령 무 |
20-30 |
40대 |
50대 |
60대 |
70-80 |
소계 |
비고 |
희망자 |
20 |
5 |
23 |
94 |
91 |
12 |
245 |
80대1명 |
비율(%) |
33% |
25% |
28% |
60% |
73% |
71% |
53% |
|
(*비율은 연령대별 응답자 수에 대한 비율 임. )
*단기간 내 귀농 실행을 하려는 의지로 볼 때 60대, 70대, 50대 순임.
*결국 귀농을 유치하려면 50대 이상의 취향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 것으로 판단.
*그 중에서도 당장 귀농 실행을 위해서는 60대 이상의 도시직장을 은퇴한 후나 자녀양육 부담이 자유로운 연령으로 초점이 맞추어질 수밖에 없다.
(이런 분들의 귀농가족 수는 대체로 2명이며 귀농 후 농사보다는 전원생활을 즐기겠다는 취향이 두드러짐.)
3년 전후로 귀농을 희망하는 245명의 귀농목적을 분류했다.
목적 |
연령 무 |
20-30 |
40대 |
50대 |
60대 |
70는 대 |
소계 |
1)농사 |
5 |
2 |
11 |
32 |
25 |
3 |
78 |
|
40% |
48% |
34% |
27% |
25% |
32% | |
2)귀촌 |
6 |
2 |
4 |
8 |
8 |
0 |
28 |
|
40% |
17% |
9% |
9% |
|
11% | |
3)전원 생활 |
7 |
1 |
7 |
48 |
46 |
4 |
113 |
|
20% |
30% |
51% |
51% |
33% |
46% | |
4)건강 관리 |
1 |
0 |
1 |
5 |
4 |
4 |
15 |
|
|
5% |
5% |
4% |
33% |
6% | |
5)기타 |
1 |
0 |
0 |
1 |
8 |
1 |
11 |
|
|
|
|
|
|
5% | |
소계 |
20 |
5 |
23 |
94 |
91 |
12 |
245 |
* 20-30대, 40대는 귀농 후 농사를 짓겠다는 의지가 강한 반면
50대, 60대는 절반 이상이 전원생활, 취미활동을 즐기고 싶다고 답했다.
70대는 전원생활과 건강관리에 대한 목적이 농사보다 높았다.
* 전체적으로 귀농 목적은 전원생활, 농사, 귀촌(농사외 다른 일), 건강관리로 분류하는데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4)귀농 상담을 받고 싶은 부분의 분류
* 응답자 중 일부가 복수 선택을 했기에 상대적 비교에는 한계가 있다.
* 예를 들면 한 사람이 2항목, 3항목, 전체 항목을 함께 선택한 경우가 있다.
* 복수 선택을 한 경우는 전체 비율에 따라 제일 빈도가 높은 하나로 정리했다.
1)귀농준비에 대한 상담 :57명
2)토지 구입, 임대에 대한 상담 :53명
3)집 구입, 임대, 신축에 관한 상담 :53명
3)정부지원책에 대한 상담 : 34명
4)작목에 대한 상담: 17명
5)농촌의 일반 생활에 대한 상담 :13명
6)농사 외 일거리, 귀농 자금문제등 상담 : 11명
7)무응답: 7명
*귀농 전반에 대한 전체적인 관심사를 차치하면 토지와 집에 대한 관심사가 가장 높았다.
*현장 상담을 통한 귀농희망자들의 관심은 일정기간 토지와 집을 임대하여 적응과정을 거친 후 본격적인 구입,신축등 투자를 희망했다. (이는 현재의 선귀농 후지원의 귀농정책과도 연관이 있음.)
*귀농지원 정책 차원에서 보다 많은 임대형 토지와 주택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5)단양에 관심있는 분들의 이유
단양으로 귀농하고 싶은 지 또는 단양에 대한 흥미가 있는지, 흥미가 있다면 그 이유를 묻는 포괄적인 질문에 64명(26%)이 다음과 같이 응답해 주었다.
1)아름다운 산수와 맑은 공기, 깨끗한 환경: 38명
2)서울서 가까운 접근성 : 10명
3)지인이나 친지, 연고성: 7명
4)인심 좋고 살기 좋아서: 5명
5)특용작물 재배에 적합 : 3명
6)소유한 땅이 있다. : 1명
*단양의 비젼을 환경을 중심으로 쾌적한 전원생활과 힐링에 둘 필요성이 있다.
*단양으로의 귀농 조건 중 서울, 인천, 경기 지역(귀농희망자의 절대 다수가 분포)에서 2시 간 내 접근성은 그곳에 살고 있는 자녀, 친지와의 연계성 차원에서 유리한 조건으로 강조 할 필요가 있다.
6, 결론
1)준비기간이 짧았고 막 설립된 법인의 여러가지 한계로 충분한 준비를 하지 못했으나 이번 박람회 참가를 통해
단양을 홍보하고, 귀농희망자들의 관심사를 파악하고, 상담신청자들에게 먼저 귀농한 체험을 들려주는 기회로서
기본 목표는 이루었다. 큰 보람이었다.
2)자치 단체가 아닌 민간단체(영농법인)로서 정부차원의 행사에 참여했다는데 특별한 의의가 있었다.
바로 그 점이 참가한 다른 단체에 비해 독특하고 적극적인 상담 분위기를 전개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3)주택분야의 농어촌공사 뉴타운, 단양한옥학교, 작목부분의 아로니아컨설팅, 산촌유학 토끼나라등 다른 단체와 함께
구성한 아름다운 귀농의 단양관은 마지막 날 김동성 단양군수의 특강으로 귀농상담자들의 관심을 한껏 유발시켰고
박람회 페회의 마지막 시각까지 상담자들이 몰려왔다.
4)기념품으로 상담자 1인당 2통씩 단양마늘을 나누어주어 단양의 특산물, 단양의 맛과 인심을 알리는데 좋은 몫을 했다.
다만 상담 기록부의 준비와 분석에 전문적인 지식이 결여된 한계점이 있음을 인정한다.
5)도움을 주신 단양군, 농어촌공사 충주,제천,단양지사, 아로니아컨설팅, 단양군 산림조합 등의 관계자 여러분들과
‘대한민국 귀농귀촌 한마당 2013' 조직위 여러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끝-
작성자: 아름다운 귀농 / 아~귀농
첫댓글 고생 하셨습니다 대표님의 철저한 분석에 감사하구요.
앞으로 우리 법인이 가야할 방향이 잡히는것 같습니다.
대표님 수고하셨어요 /상담하셨던 분들의 전화에 철쭉제 행사때 방문해 달라고 말씀드렸어요
볼거리 먹거리 체험거리가 풍부하다며 동참요청과 소백산 등반하시라 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