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의 피아노
이탈리아 하프시코드(harpsichord) 제작자인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Bartolomeo Cristofori)
는 일찌감치 음의 강약을 조절할 수없었던 하프시코드의 단점을 극복할 수있는 새로운 악기의 개발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가 최초의 피아노를 발명해낸것은 1709년으로 기록되어있다.
1709년 이 새로운 악기는 ‘피아노와 포르테가 되는 챔발로’(gravicembalo col piano e forte: harpsichord with soft and loud)라는 이름을 가지고 완성되었고 이후 피아노포르테(pianoforte), 피아노(piano)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된다.
기존의 하프시코드의 건반 끝에 가이레드 잭(guilled jack) 대신 해머 액션을 고안해 장착한 것으로 건반을 누르면 액션부분의 운동에 의해 해머가 튀어 올라 현을 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터치의 강약에 의한 음량을 변화시킬 수가 있도록 되어있던 것이다.
그러나 이 건반악기는 설계상 많은 문제점이 나타났으며. 특히 해머가 제대로 작동이 안되어 연주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는데, 크리스토포리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오늘날 탈진(escapement:피아노의 해머를 되돌아 오게 하는 장치)을 고안하고 또 레피티션(repetition), 뎀퍼(damper)를 개발하여 좀더 개량된 피아노들이 개발된다.
1732년 작곡가 루도비코 기스티니(Lodovico Giustini)는 크리스토포리가 만든 피아노를 위한 12곡의 소나타를 작곡하였는데 악보에는 음의 세기(piano, forte 등)가 표시되었다.
▷질버만(Silbermann)의 새로운 모델
크리스토리의 발명은 전세계로 퍼져나가고 곧바로 다른 악기 제조사들도 피아노를 만들기 시작했다.
특히 독일의 오르간 제작자인 고트프리드 질버만(Gottfried Silbermann)은 만든 피아노를 바하(Bach)에게 보여주었는데 당시 바하는 높은 음정에서 소리가 빈약하고 건반이 너무 무거워 연주하기 어렵다며 별로 탐탁하게 여기지 않았다고 한다. 이후 질버만은 좀더 쉽게 연주할 수 있도록 다시 설계하였고, 바하는 이 새로운 악기를 연주하여 찬사를 받았다고 합니다.
▷스퀘어 피아노(square piano)
초기 피아노는 그랜드 피아노의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크기가 매우 클 수 밖에 없었고
피아노 제작자들은 일명 스퀘어 피아노라 불리는 작은 형태의 악기로 만들기 시작하였다.
질버만의 제자였던 요하네스 즘페(Johannes Zumpe)는 1760년 영국으로 건너가 스퀘어 피아노를 개발, 대중화 시켰고 이후 즘페의 피아노는 프랑스는 물론 미대륙까지 퍼져나가 인기를 얻습니다.
스퀘어피아노는 피아노 역사의 한 시대를 풍미하였으나 구조상의 단점으로
오늘날엔 만들어지지 않고있다.
▷철골 구조와 서스테이닝 페달
피아노의 현은 하프와 마찬가지로 프레임 구조에 연결되어 있다. 초기 악기들의 프레임은 나무과 철제 버팀대로 만들어져 있었다. 그러나 미국의 대부분 지역에서는 기후적 조건으로 인해 나무 프레임이 팽창 또는 수축하여 현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고 자주 조율해야만 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는데
1825년 보스턴의 피아노 제작가인 알페우스 밥콕(Alpheus Babcock)은 프레임 전체가 철제로 된 프레임을 고안하게된다. 이러한 제작 방식의 프레임은 나무 프레임의 단점을 보완해 주기 때문에 피아노 제작회사에서 널리 사용하게 되었다.
18세기 말 런던에서 피아노 제작기술에 핵심적인 사건이 발생한다.
1783년 영국 브로드우드(Broadwood)사에서 모던 피아노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인 ‘서스테인 페달(sustaining pedal)’을 발표한 것이다. 이 장치는 모든 피아노에 보편적으로 사용되었으며 나중에는 소프트 페달이 첨가되어 발전하게 된다.
▷업라이트 피아노(Upright piano)
스퀘어 피아노의 성공과 함께 피아노 제작자들은 그랜드 피아노의 사운드 질을 유지하면서 크기는 작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면서 마침내 그랜드 피아노의 액션과 현이 차지하는 공간에 주목하기 시작하여 소위 ‘기린 피아노(Giraffe Piano)’로 불리는 키가 큰 피아노가 탄생한다. 그러나 작은 방에 놓기엔 여전히 커다란 덩치를 가지고 있었다.
이후 1811년 런던에서 피아노 제작자인 로버트 워넘(Robert Wornum)이 좀 더 작은 업라이트 피아노를 발표한 후 점차 발전을 거듭하면서 현재의 업라이트 피아노에 이르게 된다.
*1720년에 제작된 크리스토포리의 피아노포르테 이미지
(1709년에 제작된 악기는 현존하지 않으므로 이것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피아노이다.

(뉴욕 메트로 폴리탄 박물관 소장)
※ 피아노를 개량, 발전시킨 인물들
-질버만 (Silbermann) : 독일 최초의 제직자로 J.S . 바하는 1747년 포츠담에서 질버만이 만든 피아노를 처음으로 연주해 보았고 이 곡을 동기로 태어난 것이 [음악의 현장]이라는 피아노곡이다.
-슈타인(Stein) : 하머프뤄겔(피아노의 옛 독일식 이름)이란 이름을 지었으며 let off의 결점을 보안하여 강약은 물론 연타까지 가능하게 되었다. 슈타인의 명성은 초기의 제작자간에 유명하였고 그의 딸 나에트와 사위 슈타리이아와 함께 피아노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에라르 (Erard) : 파리에서 하프 및 쳄발로 제작에 몰두하다가 1789년 런던에 건너가게 되었으며, 1796년 그 곳에서 최초로 이중 동작식 액션을 고안하고 6옥타브의 피아노 제작에도 성공하였다. 그 후 레피티션 액션을 완성하여 연타의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였다.
-부로드우드(Broad Wood) : 영국인으로서 즘페와 같이 피아노제작에 손을 대었으며 1783년 댐퍼페달의 특허를 내었고 브릿지를 저음부와 중,고음부로 분할시킴으로 옥타브를 늘릴 수 있는 기틀을 잡아 놓았으며 해머의 타현점을 확립하는데도 공헌하였다.
-즘페(Zumpe) : 장방형 피아노(Square Piano)발명(1767년)
피아노포르테는 철제 프레임을 사용하며, 보다 두껍고 현의 장력이 세며, 펠트로 싸여진 좀더 큰 해머를 가지고 있다. 피아노포르테는 스퀘어 피아노라고 알려져 있다.
장방형이란 직사각형을 뜻합니다..
-페이프(Pape): 휄트해머 발명 해머란,타격용 공구인 망치류 중 비교적 큰 것에 속하는 것.(피아노 건반을 손가락으로 누를 때 실제 피아노 속에서는 이 해머가 건반을 두드리게 됩니다..)
휠트=펠트(felt)[명사] 양털이나 그 밖의 짐승 털에 습기와 열을 가하여 눌러 만든 두꺼운 천 모양의 물건. 모자나 양탄자 따위를 만드는 데 쓰임.
-칙카링(Chickering) : 총철골 발명(1840)
원시적 피아노는 고음, 중음부에 철선, 저음에는 황동선을 채택하였다. 이 현들은 1830 - 50년에는 고탄소강의 재료의 사용으로 발달했다. 이 진보는 목골에 철보강 구조물을 부착시켜 골격을 지탱해 주어 강도를 요구하게 됨에 따라 음역을 확장시킬 수 있었고 현의 개수를 늘였으며, 현의 장력을 중강시키게 되었다.
결국 총철골은 정확한 음고를 유지하기 위하여 채택되었다. 칙커링의 완전히 철골로 된 피아노는 1851년 런던에 전시되었다.
-몬탈(Montal) : 소스테뉴토페달 발명(1862) 이 페달은 그랜드 페달 가운데 있는 것으로 타현 후,페달을 누르면 원하는 음만 지속적으로 울림을 얻게 하는 것입니다..
-호킨스(How kins) : 업라이트 피아노 발명(1800) 미국에서 설치장소와 제작비등을 고려한 "업라이트형 피아노"가 완성되어 재차 강선(鋼線), 동권선(銅卷線), 총철골(總鐵骨), 이중교차(二重交叉)등 개량이 거듭되어 특히, 현이 현저한 진보를 보이고 있다.
-슈타인웨이(stein way) : 2중권선 특허와 아그라프발명(1859)아그라프는 그랜드의 베어링과 누름쇠 겸용장치로써 발음대 시작점이라고 하네요...
1859년에 슈타인웨이는 이중교차현의 특허를 냈다. 많은 발명과 함께 이어진 발전은 상공적인 결과를 가져왔고 피아노가 현재의 모습을 갖기까지 계속되었다.
-라우드(Laud) : 교차식현 특허(1802)
초기 피아노의 현은 현들 상호간이 모두 평행하였다. 그러나 1802년 라우드는 브리지의 존재가 소리가 더 부드럽게 변화하게 되면서 더 나은 전체음색의 균형을 갖게 하는 더 긴 현이 작은 쪽에 뻗어 있는 교차식 현구조의 특허를 내었다. 이 체계는 발전을 거듭해 왔으며 이중 교차식 현 구조는 1845년 칙커링에 의하여 완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