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란?
하모니카 (harmonica)는 단일 구멍 (떨림판 방) 혹은 다수의 구멍 위에 입술을 놓고 공기를 불거나 빼면서 연주하는 프리 리드 관악기이다. 단일 구멍 속으로 공기를 불거나 빼면서 생긴 압력은 떨림판 혹은 다수의 떨림판으로 하여금 만들어낸 소리를 고저가 있게 울려퍼지게 한다. 각 방은 한 쪽 끝에 안정되고 나머지 끝이 풀린, 소리를 진동하고 만드는 느슨한 끝과 함께 복합적이고 가변적으로 조율된 황동 혹은 청동 떨림판을 가지고 있다.
떨림판은 단일의 음으로 미리 조율되었으며 각 음은 떨림판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긴 떨림판은 깊고, 낮은 음을 만들고 짧은 떨림판은 높게 조정된 소리를 만든다. 미리 조율된 떨림판은 방 안에 공기 흐림의 방향을 바꿈으로서 또다른 음색으로 바꿀 수 있다. 온음계, 트레몰로, 오케스트라용, 베이스 버전을 포함하는 많은 하모니카 형태가 있다.
하모니카는 블루스와 포크, 재즈, 서양 고전 음악, 컨트리 음악, 로큰롤, 팝 음악에서 이용된다. 하모니카는 특히 블루스 음악에서 "하프(harp)," "블루스 하프(blues harp)," 그리고 "입 오르간(mouth organ)"을 포함하는 다른 별명을 가지고 있다.
종류
다이아토닉
단음하모니카라고도 한다
타류의 하모니카에 비해 크기와 가격이 제일 낮다.
음이 하나 없기때문에 그 소리를 '밴딩'이라는 주법을 이용해서 불어야 한다
초보분들께 가장 추천되고 있는 '뮤직보이'가 다이아토닉 에 속한다
트레몰로
복음하모니카라고도 한다
다이아토닉과는 달리 세로로 두칸(24홀)으로 되있어서 불때 울리는 느낌이난다
크기는 중간정도이다
크로메틱
반음하모니카라고 불린다
크로메틱은 타 하모니카중 가격이 가장 비싸고 크기도 가장 크다
크로매틱은 타 종류의 하모니카에서는 C키와 C# 키 를 같이 사셔야 #이 있는 곡을 완전히 불수 있는데 반해서 크로메틱은 이 두개가 같이 붙어있기 때문에 따로살필요가 없이 끝에 레버를 누르시면 반음이 올라간다
주법
1. 싱글주법
입 모양은 '오'나 휘파람을 불 때처럼 한 구멍에 대고 불어서 한 음만 나도록 한다.
악보에 ⓢ로 표기.
2. 아르페지오 주법
음과 음 사이가 떨어져 있을 때 꾸밈음의 모양으로 연주하는 주법.
찾아가 계명이 앞의 음보다 높으면 낮은 음에서부터 훑어서 연주하고 반대로 낮은음으로 찾아갈 때는 높은 음에서부터 훑어 준다.
3. 트릴주법
tr, tr로 표기. 불거나 마시면서 좌우로 빨리 흔들어 주면 된다.
4. 트레몰로 주법
혀의 움직임으로 물결소리, 호각소리, 만도린소리 등 미묘한 소리를 내는 주법.
하모니카를 15도 정도 올리고 아래구멍을 입술로 막고 놀놀, 롤롤, 홀리홀리, 호르르르, 요요 등
발음을 하면서 연주.
악보 상에 T로 표기.
5. 바이브레이션 주법
바이올린 효과를 내는 주법. 하모니카를 15도 정도 위로 향하게 한 후아래구멍을 입술로 막고 오른쪽 손만 위 아래 혹은 앞뒤로 움직이거나 오른손을 회전하면 진동소리가 커졌다 작아졌다 하면서 효과를 낸다.
악보에 V자로 표기.
6. 3도 화음 주법
음정이 3도로 되어 있는 2개의 음을 말한다.
도와 미, 레와 파처럼 3도로 되어있는 2개 음을 동시에 불어주는 주법.
입 모양은 '후' 발음 할 때처럼 벌려 준다.
7. 5도 화음 주법
3도 화음 주법처럼 5도를 동시에 불어 주는 주법.
중음 솔을 불 때 중음 도까지 입을 벌린 후 도 와 솔 사이에 혀로 막은 후 불어 주는 주법.
8. 옥타브 주법
한 옥타브를 동시에 불어 주는 주법.
중음 도를 연주하고자 할 때 입을 크게 벌려 중음 도와 저음 도를 물고, 중간음 미 와 솔을 혀로 막고 불어 준다. 이 때 혀의 방향은 앞으로 한다.
표기는 ⑧로 표시한다.
9. 3도 베이스 주법
3도 화음 주법이 되는 상태에서 '측' 발음을 하면서 연주.
마실 때는 '촉'하는 발음을 내는데 상당한 연습이 필요한 주법으로 앞의 기본 주법들이 잘 되고 있는 상태에서 연습을 하는 것이 좋다.
표기는 ∧ 로 표시한다.
10. 5도 베이스 주법
일반적으로 베이스를 넣는다고 할 때 이 주법을 하는 말.
불고자 하는 음만 빼고 모두 혀로 막아서 발음 '아' 하는 소리를 내거나 '핫'하는 소리를 내면 된다.
혀의 모양은 약간 왼쪽으로 돌려서 하모니카에 대어 주어야 한다.
혀를 대었다가 뗄때 불고자하는 음은 정확히 싱글소리가 나야 한다.
11. 8도 베이스 주법
8도를 문 상태에서 혀를 가운데 두고 떼었다 붙였다 하는 주법.
혀를 댄 상태에서 불면 '풍'하는 소리가 나고 혀를 뗀 상태에서 불면 '잣'하는 소리가 난다.
연속해서 불면 '풍잣풍잣' 소리가 나서 연주가 다양하다.
주로 부드러운 왈츠 같은 곡 연주에 적합.
12. 분산화음 주법
8도, 5도, 3도 화음주법을 정확하게 연주할 수 있으면 가능한 주법.
8도, 5도, 3도를 순서대로 진행시키면서 연주하는 것.
독주를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익혀야 하는 주법.
13. 핸드 커버 주법
양손으로 하모니카를 감싸주어 음이 밖으로 나가지 못하게 했다가 손을 열어 다시 음을 내보내는 동작을 되풀이하는 주법.
손을 움직이는 동작은 천천히, 보통, 빠르게 하는 법이 있고 다른 여러가지 주법을 병행하여 연주할 수 있다.
얼굴과 손을 30도 정도 기울여 왼손의 열고 닫음이 쉽도록 해야한다.
프랑스 사람 <쉐베>에 의해 만들어진 악보 트레몰로
하모니카는 '숫자보' 를 기본 악보로 사용한다.
1(도) 2(레) 3(미) 4(파) 5(솔) 6(라) 7(시)
그 다음 높은 도는 숫자위에 점을 하나 찍고, '고음도' 로 읽는다
밑에다 점을 찍으면, '저음도'
두개 찍으면, '저저음도' 혹은 '고고음도'
하모니카는 저음 중음 고음 3부분으로 나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