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7080 추억의 팝송 22곡
선대통보 관영통보 관영통보 건륭통보 상평통보
앞면
뒷면
발견장소 : 경상북도 청송군 고기와집 철거 중 발견 2001년 06월
상평통보
상평통보앞면
개일 팔(開日 八) 지름-24mm 두께-1mm 개(開)=개성발행 일(日)=? 팔(八)=여덟번째 발행?
상평통보뒷면
건륭통보 <---참고
건륭통보앞면
지름-24mm 두께-1mm
건륭통보뒷면
선대통보앞면
지름-21mm 모서리 대각선-24mm 두께-1mm
선대통보뒷면
선대통보2앞면
선대통보(仙臺通寶)
천명(天明) 4년(1784)
선대통보가 만들어진 에도 막부시대에는 막부 발행의 화폐만이 전국에 유통되었으나, 천명4
년(1784) 센다이번의 대기근을 이유로 막부에 주조신청을 하여 예외적으로 통용 5개년의 기
한부로 허가되었으며, 최초의 기한부 지방화폐가 선대통보입니다.
선대통보 또한 모전은 동으로 만들어졌으며 통용전은 철전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모양은 관
영통보 철전과 구분을 위해 사각형으로 만들고 번명을 새겨 넣었습니다. 하지만 많은 양의
발행(주조량 3억8천만개) 되었으며 여기저기서 사주전 또한 난립하여 인플레가 발생되어 선
대통보의 가치가 많이 하락하였다고 합니다.
또한 재미있는 점은 관영통보에 비하여 시세가 많이 저하되었기에 일부 악덕 상인들이 영내
에 한정되 있는 것을 무시하고 선대통보를 사들여 관영통보 꾸러미에 섞어 통용시켜서 부정
이익을 얻는 자가 나타났고, 센다이 번을 넘어 에도에 까지 유입되었다고 합니다.
결국 천명7년(1787) 발행 3년만에 막부에 의해 유통중지 되었습니다.
초기 주조물은 대형에서 차후 소형화 되었다고 합니다.
대양(大樣) 23mm이상, 중양(中樣) 22mm정도, 소양(小樣) 21mm정도
관영통보1앞면
지름-23mm(대형종 大形種) 두께-1mm
관영통보1뒷면
지름-23mm 두께-1mm
관영통보2앞면
관영통보2뒷면
관영 통보라는 동전은 일본 역사상 주조 수량이 제일 많고 유통기간이 제일 길고 그 종류가
제일 많은 화페 입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 집권 당시인 관영(寬永) 3년(1626)에 당시 연호를 따서 주조
하기 시작한 것으로, (1636)년 부터 대량으로 주조 하기 시작 했으며 근 240여년동안 유통
되였습니다
동전의 뒷면은 지역 ,무늬,숫자,문자 등등이 있으며, 문자중에서도 文혹은 元이 표기된 엽
전이 가장 많습니다.
이화페는 중국과의 무역으로 인하여 중국에서도 아주 많이 발견 되였습니다
그래서 일부 사람들은 중국화페 혹은 발해 화페로 착각하지만 관영은 년호로서 일본역사에
만 있는것입니다.
寬永通寶
재질에 따라 구분하면
寬永通寶 재질 동 1636~1769(주조 시간) 주조수량 불분명
寬永通寶 재질 철 1739~1867(주조 시간) 63亿3261万9404매주조
寬永通寶 재질 황동 1767~1860(주조 시간) 1亿5742万5360매 주조
寬永通寶 재질 정철 1860~1868(주조 시간) 1亿187万7062매 주조
이외에도 금,은,연,...등등 재질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