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덕지맥 3구간 (백덕지맥 완성)
산행일시 : 2021년 12월 25일
누구랑 : 세르파
교통수단 : 자가용 당일
산행거리 : 17.03km
산행시간 : 07시간 49분 (07시 45분-15시 34분 휴식 시간 포함)
산행코스 : 아침치-603.7봉-금용 광산-다래산(746.5봉)-608.2봉-518.9봉-통 두둑 마을 임도-광탄 고개-307.8봉-신천 고개-454.9봉-하명 고개-357.7봉-컨베이어 벨트-337.1봉-한반도습지 전망대-한반도 지형 종착점
백덕 지맥이란?
영월 지맥의 태기산(1259m) 남서쪽 1.2km 지점에서 남으로 분기해서 동쪽으로 평창강, 서쪽으로 주천강의 분수령을 이루면서 양구 두미재(980m) 청태산(1194m) 술이봉(897m) 오봉산(1126.2m) 문재 사자산(1180m) 당재 백덕산(1350m) 신선바위봉(1089m) 여림치 다래산(746.5m)을 지나 주천강이 평창강에 합류하는 영월군 한반도면 선암마을 합수점까지 이어진 도상거리 54.8km 되는 산줄기를 말한다.
백덕산 (1350m) 사자산(1180m)을 비롯 하여 1000m급 여러 개의 고봉들이 이어지고 지맥 끝점인 선암을 에는 평창강이 물굽이가 우리나라 지향을 만들어 내어 한반도 지영으로 유명세를 타고 있다.
최고봉인 백덕산 (1350m)의 이름을 따서 백덕 지맥이라 부르면 주천강 (95.4km)의 우측 평창강 (149.4km)의 좌측 분수령이 된다
-성탄일이고 하여 멀리 가서 장거리 하기가 거시기하고 날씨도 올 들어 제일 추운 날씨입니다 연말이고 하여 전번에 남겨두었던 백덕 지맥 3구간을 당일 산행으로 하여 아침치에 도착입니다
-2구간때 산불감시초소에서 칡넝쿨로 하여 힘겹게 내려왔던 아침치 겨울이 되니 길이 보입니다 공수 공방에서 건너편 임도로 하여 오르고 다시 유자형 임도에서 철탑 방향으로 우측으로 오릅니다 철탑이 나오고 철탑 밑으로 하여 진행이고 다시 좌측으로 임도가 갈라지고 여기서 좌측 능선으로 붙어서 마루금 접속합니다
-마루금 접속하여 우측으로 오르면 석회석 채광지역이고 우측으로 잘려 나간 712.3m 봉입니다 그리고 좌측으로 진행인데 오늘 작업차량이 있고 작업을 하니 난감합니다 밝은 날이라 앞에 보이는 방향으로 진행이지만 차량 등이 보이고 왔다 갔다 하여 가로질러서 우측으로 하여 건물 쪽으로 진행하고 차량을 피하면서 진행입니다
-작업차량들이 크락숀을 울려서 손으로 저산을 갑니다 하고 모른척하고 진행이고 작업장 건물에서 좌측으로 하여 절개지를 따르고 다래산 지역도 절단되어 없네요 그리고 통신 탑과 산불감초소봉을 지도상 670봉을 오릅니다
-여기서 지맥 방향은 초소 우측으로 임도가 신설되고 그 방향이고 다시 절개지를 오르면 606.7봉 정상이 나오고 조금 진행 후 정말 급경사로 엉덩이를 깔고 진행해야 하는 위험한 구간 내리막입니다 선등자들 띠지를 보고 방향 보고 급경사 내림으로 진행입니다
- 배거리산이 보이고 배거리 산도 채석장이 있습니다 내리면 518.9봉이 나오고 다시 묘지를 지나고 마루금에서 좌틀로 내리면 묘지가 나오고 배거리산이 보이고 통두득 임도입니다 지맥은 맞은편 전봇대 방향으로 직진입니다 거의 다니지 않았고 길이 희미합니다 대부분 산객은 임도로 하여 광탄 삼거리로 진행입니다
-전 맥길로 진행이고 반가운 무영객님과 부뜰이 운영자님 띠지가 있습니다 길이 없는 곳을 gps에 의존하여 내림으로 진행이고 광탄 삼거리에 도착입니다 푯말 인증을 하고 다시 접속하여 오름으로 진행이고 돌탑이 있는 367.1봉과 벤치가 있어서 여기서 초코파이로 허기를 달래고 가는 방향 좌측으로 내립니다
-운동기구가 나오고 신천 고개가 나오고 임도를 건너서 접속하여 계속하여 오르면 날등이고 진행하면 돌탑과 454.9봉이 나옵니다 여기서 정비를 합니다 그리고 다시 진행으로 내리면 88번 지방도가 나옵니다 여기서 지방도 건너고 안테나가 있는 방향으로 접속하여 오름으로 진행입니다
- 오름으로 오르면 357.7봉이 나오고 다시 진행하여 내림으로 내리면 시멘트 컨베이어 벨트와 건물이 나오고 건물 우측으로 하여 접속하여 오르면 백두사랑산악회 336.1봉이 나옵니다 여기서 내림으로 진행하면 비닐하우스와 철망이 나옵니다
-한반도 습지 전망대이고 좌측 평창강과 우측 주천강 합수점이 시원하게 조망됩니다 임도가 조망되고 평창강까지 가고 임도로 탈출하는 길이고 안세 2교가 나오는 임도입니다
-마루금을 따르고 한반도 지형에 접어들어 진행이고 습지 방향으로 내리고 좌틀하여 진행하면 차량 통제하는 임도가 나오고 우측 임도로 진행하면 다시 단종 유배길 푯말이 나오고 여기서 우측으로 접속하여 한반도 지형으로 계속하여 진행입니다
- 능선길 좌측은 절벽이고 평창강이 흐르고 다시 선문으로 하여 선암마을이 조망되고 진행하면 오늘 산행 종착지 백덕 지맥 날머리 평창가 한도지형 종착지가 나옵니다 물은 얼어있고 맞은편 한반도 지형 전망대입니다
-여기서 백덕 지맥 완성 인증을 하고 저도 무한도전과 무한도전 다류대장님 옆에 백덕지맥 종주완성 띠지를 걸어보니다 다시 백하여 임도차단막이 있는 곳으로 백하여 gps를 종료하고 진행하여 한반도 습지 임도로 하여 안세2교로 나와서 오늘 산행을 갈무리를 합니다
-차량을 타고 한반도 지형 전망대로 이동하여 한반도 전망대를 조망하기로 하고 진행하여 한반도 지형 전망대에서 한반도 지형을 조망하고 평창강 백덕지맥 날머리를 조망합니다 그리고 백덕지맥 3구간으로 완성을 자축합니다
-올겨울 들어 가장 춥고 성탄절로 산행하기가 쉽지는 않았지만 어렵게 근거리 짧은 백덕 지맥 3구간을 완성하여 또 하나의 지맥을 완성합니다 춥다고 집에 있으면 한도 없습니다 추운 겨울 1월 통영 와룡 거제 흑석 신선 장계 지맥 등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지맥 산행은 지맥 산행에 대한 흥분된 마음과 설렘이 있는 한 162 지맥 도전은 계속됩니다-세르파-
백덕 지맥 3구간으로 마무리하고 건너편 전망대로 가서 한반도 지형과 날머리를 다시 한번 조망합니다
한반도 지형 여러 곳 중 가장 비슷한 한반도 지형입니다
한반도 지형 백덕 지맥 완성을 인증을 합니다
좌 평창강과 우 주천강 합수점입니다
한반도 지형 백덕 지맥 날머리 평창강입니다
평창강은 얼어 있습니다
아침치 도착입니다
2구간 날머리와 3구간 들머리입니다
2구간 마지막봉 652봉과 알바하였던 산불감시초소입니다
산불감시초소를 당겨봅니다
여기서 철탑으로 오릅니다
여기서 좌측 임도로 치고 오릅니다
광산으로 오릅니다
712.3 봉 방향입니다
백덕산이 조망됩니다
백덕산입니다
배거리산이 조망됩니다
광산이 나오고 작업 중으로 난감합니다
잘려 나간 마루금입니다
알아서 다래산 방향으로 가고 작업차량을 피하여 갑니다
다래산 747m입니다
잘려 나간 다래산입니다
안테나와 산불 감시초소봉이 있습니다
뒤돌아본 다래봉
임도로 진행하고
여기서 접속합니다
606.7봉입니다 여기서 급경사로 내림입니다
묘지가 나옵니다
518.9봉입니다
배거리산 조망됩니다
묘지로 내리면
임도가 나옵니다 대부분 임도로 진행하여 광탄으로 갑니다
지맥은 임도를 건너서 직진으로 진행입니다 지맥으로 진행합니다
지맥으로 내려온 길입니다
광탄 돌표지석 옆으로 지맥을 이어갑니다
광탄 고개 삼거리입니다
367.1봉입니다
반바지님 신천 고개라고 합니다
여기로 접속하여 한고비 치고 오릅니다
454.9봉입니다
88번 지방도입니다
357.7봉입니다
컨베이어 벨트 시멘트 구조물로 내립니다
컨베이어 건물을 건너서 오르면 주천강이 보입니다
336.1봉입니다
하우스와 철망 울타리가 있습니다
한반도 습지 전망대입니다
좌 평창강 우 주천강입니다
평창강과 주천강 합수점 인증을 합니다
요리 내립니다
요기로 진행입니다
충청북도 지납니다
평창강입니다
선문으로 선암마을이 조망됩니다
경상도 경주 상주입니다
평창강 백덕 지맥 날머리 선배님들 띠지입니다
반바지님 백덕지맥 날머리입니다
평창강과 한반도 지형 전망대입니다
평창강이 얼어있습니다
평창강에서 백덕 지맥을 완성하고 인증을 합니다
한반도 전주 나주입니다
전라북도입니다
한반도 지형으로 이어지는 백덕지맥 길입니다
강원도 강릉입니다
유배길로 다시 돌아 나옵니다
유배길입니다
여기서 gps는 마감합니다
습지길로 나옵니다
안세 2교에서 백덕 지맥을 마감합니다
한반도 지형 전망대 탐방입니다
한반도 지형 인증을 합니다
지나온 백덕 지맥 마루금입니다
영월 10경입니다
지맥 산행은 지맥 산행에 대한 흥분된 마음과 설렘이 있는 한 162 지맥 도전은 계속됩니다-세르파-
첫댓글 세르파대장님!
백덕지맥 3구간으로 졸업을 축하드립니다.^^
젤 부지런히 뛰시니 수확도 뿌린만큼 많이 거두시네요.^^
아침치에서 아침 먹을 수 있을까요.
글고보니 해남 화원지맥에도 아침재가 있지 않았나요?^^
마지막 구간은 약 17km라 널널하게 다니셨겠습니다.
8월 말에 2구간을 끝내셨고 거은 네달 만이네요. 글면 그때 함산한 뚜버기님과 범부채선배님은 어찌 되는가요.
이날 강추위로 서을은 영하 14도였던것 같은데 거기 영월의 최저 온도는 어땠을까요.
자차가 계시니깐 한반도 전망대로 훌쩍 이동해서 볼거리를 제공해 주시네요.
1월 중엔 따뜻한 남쪽 나라에서 계획하신 대로 목표하신 지맥 완수할 수 있길 바랍니다. 수고 많으셨습니다.^^
영월도 엄청나게 추웠어요 방열조끼와 핫팩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산행을 진행하였습니다 응원 감사합니다 항상 응원합니다 화이팅입니다 ~~~~
백덕지맥 졸업을 축하드립니다.
어...강원도인데 여긴 눈이 많이 안왔네요.
원래 백덕산 눈으로 뒤덮인 산인데요...
그나마 참 다행입니다.
올 한해도 수고많으셨습니다. 임인년 새해에도 이 기세를 몰아서
여유롭고 즐거운 걸음 계속 되시길 기원합니다
홧팅입니다. ^^
그러게요 영서지방은 눈이 안왔네요 날씨는 엄청 추웠어요 새해에도 즐거운 산행길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
올들어 가장 추웠던 성탄절에 가까운 백더지맥 마지막 구간에 들어 무탈하게 완주하고 전망대까지 들렸다 오셨군요
저 거대한 채석장을 지나며 고생을 했는데 정상적인 등로 찾아 잘 통과를 하셨나 봅니다.
주천강과 평창강이 만나는 합수점 지나 평창강으로 가는 도중 한반도 각 지역을 테마로 적어 놨던 이정판들이 기억에 남아 있네요
저도 백덕지맥 산행 종료 후 전망대로 이동해 잠시 한반도 전경을 구경하고 사진 몇장 남겼던 추억도 소환해 보고요
올 한해 수고 많이 하셨고요 새해에도 늘 건강하신 모습으로 즐거운 산행길 이어가시기 바람니다.
광산 작업을 하여서 순간 당황을 하였습니다 백덕지맥 날머리 평창강과 한반도 지형전망대 의미있는 백덕지맥 산행입니다 새해에도 즐산하시기를 기원합니다 ~~~
저기 한반도 지형 올 여름 아들과 갔는데
거기가 백덕지맥... 첨 알게 됩니다.
추운 날씨에 홀로 수고 많으셨습니다.
새해도 든든한 모습과 밝은 웃음보여 주실거라
믿으며
안산 즐산이길 기원드립니다.
이슬하님 지맥을 하다보면은 웬지간한 곳은 162지맥에 거의 걸쳐있습니다 새해에도 아드님과 함께 즐산하세요 ~~~
이날 남쪽나라 고흥에도 볼떼기가 시리던데.
영월은 얼어죽지 않은게 다행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낌니다.
올한해 수고 많으셨구요.
새해에서 즐거운 산행길 되시기 바람니다.
응원 감사합니다 너무추웠어요 새해에도 즐산하세요 ~~~
추위에 백덕지맥 마무리를 축하드립니다.
맑은 날씨에 비춰진 한반도 지형이 산뜻하게 느껴집니다.
올 한해에도 마루금상에 멋진 발자취를 남기시느라 수고많으셨습니다.
새해에도 늘 건강하시고 행운이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방장님 응원 감사합니다 홀대모의 발전과 새해에도 지맥길 화이팅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