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사란? |
- 사람과 사물의 동작이나 어떠한 물리적인 작용, 존재의 유,무 또는 상태 등등을 나타내는 말을 動詞(동사)라고 합니다. 그래서 단어 끝이 전부 '~다'로 끝납니다. 예)먹다, 쓰다, 가다, 읽다, 보다, 마시다, 움직이다, 때리다, 던지다.....
1. 동작 : ・行(い)く 가다・来(く)る 오다・食(た)べる 먹다・走(はし)る 달리다
2. 작용 : ・咲(さ)く 피다(꽃 등등)・散(ち)る 지다(꽃 등등)
3. 존재 : ・ある 있다(사물)・いる 있다(생물)・いらっしゃる 계시다 등등
4. 상태 : ・わかる 알다(이해하다) ・知(し)る 알다(정보,지식을 알다) |
* 동사의 특징은요~! |
단어는 자립어하고 부속어로 구분하는 데요.
자립어라는 말은 「명사, 동사, 형용사, 형용동사, 부사, 연체사, 접속사, 감동사」같이 혼자서 하나의 음절로 사용하는 단어를 말하구요.
부속어는 「조사, 조동사」와 같이 혼자서는 하나의 음절로 사용할 수 없으며 항상 자립어에 접속하여 문절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말입니다.
용언 : 동사, い형용사, な형용사 를 말합니다. 체언 : 명사, 대명사, 수사 를 말합니다. - 자립어이며 용언의 하나이다.
・말의 끝 즉, 어미가 변하는 활용어 입니다.(동사,い형용사,な형용사) |
* 동사의 종류 |
1그룹(5단 활용 동사) :말의 끝, 즉 어미가 그 행에 속해 있는 「あ・い・う・え・お」의 5개의 모든 단에 걸쳐
-구분하는 방법 ② 말의 끝, 즉 어미가 「る」로 끝나면서 「る」앞의 글자가「い단」과「え단」이 아님. ・あ단 : あ・か・さ・た・な・は・ま・ら 예) あがる 오르다 ① 상1단 동사 - 어간의 音(음)이 「い단:い・き・し・ち・に・ひ・み・り」이면서 る로 끝나는 동사 예) ・いる 있다 ・おきる 일어나다 ・知(し)る 알다 ・落(お)ちる 떨어지다 ・似(に)る 닮다 ・染(し)みる 스며들다 ・降(お)りる 내리다 등등
② 하1단 동사 - 어간의 音(음)이 「え단:え・け・せ・て・ね・へ・め・れ」이면서 る로 끝나는 동사 3그룹(か행 변격동사, さ행 변격동사) -3그룹 동사는 두 가지 밖에 없습니다. する (~을)하다. 와 来(く)る 오다.
①「する」는 「る」로 끝이 나지만, 「る」앞 글자 「す」가 “う”단 글자로서 형태(모양)상으로 1그룹(5단 동사)과 같습니다. 하지만 활용은 어떠한 규칙이 없이(변칙적으로:変格(へんかく):변격)활용합니다. 「する」가「さ・し・そ・する・する」와 같이 「さ행」글자 안에서 활용을 한다고 하여
② 来(く)る는 「る」로 끝이 나지만, 「る」앞 글자 「く」가 “う”단 글자로서 어떠한 규칙이 없이(변칙적으로:変格(へんかく):변격)활용합니다.
★ 예외의 동사(예외의 5단 활용 동사) - 모양은 2그룹 동사이지만, 예외적으로 1그룹 동사와 똑같이 활용을 하는 것들이어서 이들을 예외적인 5단 활용 동사라고 합니다. - 형태상으로 2그룹 동사와 같지만 1그룹 동사의 활용을 하는 단어들
① 상1단 동사의 모양 限(かぎ)る 제한하다. 한정짓다. / 齧(かじ)る 갉아먹다. / 切(き)る 자르다. /遮(さえぎ)る 가로막다. 知(し)る알다. / せびる / 조르다. 散(ち)る (꽃, 잎이)지다. / 握(にぎ)る 쥐다.
② 하1단 동사의 모양 蘇(よみがえ)る 되살아나다. / 蹴(け)る 발로 차다. / 喋(しゃべ)る 재잘거리다. 수다를 떨다 |
여기까지 동사의 종류와 그 형태 및 단어를 정리해드렸습니다.
동사를 이해하시는 데에 도움이 되셨으면 하는 마음으로 정리했습니다.
너무 어려울 수도 있으니 박선배의 동영상 강의를 보신후에 정리하시면 더욱 편하실 겁니다.
TOPRUN ('ㅅ')
첫댓글 형용사이야기도 해 주시냐요?..^^감사요..
넹, 형용사도 정리할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