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pg 파일을 자르려면... Vcdcutter[프리웨어,추천] , ifilm_edit , TMPGEnc[프리웨어] , MyFlix 프로그램을 사용하세요.
# avi 파일을 mpg로 변환하려면.... AVI2VCD[프리웨어] , TMPGEnc[프리웨어,추천] , Panasonic MPEG1 Encoder , LSX-MPEG Suite , bbMPEG[프리웨어] , Xing Encoder 프로그램을 사용하세요
# asf 를 mpg로 변환하려면... TMPEGEnc [프리웨어] , MGI Videowave 를 사용하세요.
*참고:asf의 mpg 직접 변환은 에러 발생이 많고 시간도 오래 걸리니 VirtualDub을 사용해 먼저 avi로 변환후 TMPEGEnc 를 사용해 mpg로 변환하거나 VirtualDub로 asf의 오디오를 분리한후 TMPEGEnc로 asf와 분리한 오디오를 각각 불러들여 mpg로 변환하는 방법을 사용하세요.
# mpg,avi,asf 파일을 wmv로 변환하려면... Windows Media Encoder 프로그램을 사용하세요
# asf,wmv 를 avi로 변환하려면... VirtualDub 1.4c_asf , GraphEdit 를 사용하세요
# rm, ram 화일을 보려면 ? RealPlayer로 보시면됩니다.
# dat 파일 자르려면... Vcdcutter , VCD Clipper 유틸을 쓰세요.
# avi 파일을 잘라내려면 ? peck's power join , VirtualDub[추천] , Fast Movie Processor 을 사용하세요
# mp3를 바로 오디오cd 로 구울려면? MP3 CD Maker , MP3 To Audio CD 프로그램을 사용하세요.
# wmv 를 mpg로 변환하려면? TMPEGEnc[프리웨어] , MGI Videowave 를 사용하세요.
# rm,ram,ra->avi 로 변환하려면? Tinra 0.03 , Tinra gui 을 사용하세요. 참고:에러발생등 문제점이 많습니다. 사용법을 정확히 ...
# svcd[m2v], dvd[vob]-> mpg로 바꾸려면.... TMPGEnc 프로그램을 사용하세요.
# 자기 PC에 설치된 코덱 확인하기 시작->설정->제어판->멀티미디어->장치->비디오압축코덱 , 오디오 압축코덱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mov->avi 로 바꾸려면.... QuickTime[등록판만 가능,추천] , mov2avi[도스용,프리웨어,추천] , smartvid[도스용,프리웨어,soreson코덱으로 제작된 mov변환 불가] 를 사용하세요.
# 자막파일을 나누고 합치려면.... "smit(자막 나누고 합치기)" 를 사용하세요.
# wav 파일-> mid 파일로 바꾸려면... AKoff Music Composer 2.0 을 사용하세요.
# mp3 파일-> wma파일로 바꾸려면.... Shuffler Music Converter [프리웨어,추천] , Window Media Encoder 7.1[프리웨어,추천] , Windows Media Player7 Bonus Pack의 Audio Converter 3.0 LE (Limited Edition)[프리웨어,사용간편,추천] , Winamp 를 이용하세요.
# wav 파일->wma 파일로 바꾸려면.... Shuffler Music Converter , Window Media Encoder 7.1 , Windows Media 8 Encoding Utility 사용하세요.
# avi 파일 ->wmv 파일로 바꾸려면... Window Media Encoder 7.1 , Windows Media 8 Encoding Utility 를 이용하세요
# avi 를 asf 로 변환 하려면 .... Windows Media Tools V4.1[프리웨어] , Stream Anywhere 를 사용하세요.
# mp3 를 ra 로 바꾸려면.... RealProducer 이용하여 ra로 바꾸세요.
# mpg 를 dat로 바꾸려면..... VCDGear 를 사용하세요.
동영상파일의종류
AVI Audio Video Interleaved의 약어로 '마이크로소프트 비디오 포 윈도즈 (Microsoft Video for Windows)'가 지원하는 동영상 압축파일의 형태 이름이다. 윈도우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형식이며 별도의 플러그인 없이 사용 가능하다.
MOV 본래 매킨토시 운영체제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동화상 파일 형식으로 윈도우에서도 QuickTime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볼 수 있다.
ASF(Advanced Streaming Format)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송수신 데이터 포맷이다. 동영상 데이터 등을 분할하고, 그것을 포함한 패킷의 사양을 규정하고 있다. AVI나 MOV, MPG라는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구조이다. 리얼비디오도 ASF에 포함된 형태로 송수신되는 것이다. 재생타이밍 조정과 동기가 자유롭다.
MMS protocol Microsoft Media Server protocol의 약자로 클라이언트 의 Windows Media player가 Windows Media Server의 Unicast service에서 asf 컨텐트를 참조해서 스트리밍 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 예로, mms://media_server/file.asf 같은 URL 표시로 asf파일을 열 수 있도록 해 준다.
MetaFile (메타파일) Windows Media Technologies와 Real Media 등에서 스트림에 대한 정보와 각 스트림을 재생시키는 방법 등의 정보를 제공해주는 텍스트 형태의 파일이다. WMT에서는 asx와 wvx 같은 파일이고 RM에서는 ram, rpm 같은 파일이다
Real Video - ra, ram, 또는 rm 사운드만을 지원하던 Real Audio에 비디오 기능을 추가한 것으로 실시간 전송을 목적으로 만들어 졌으며, 파일 크기가 작고 전송 속도는 빨라 실시간 재생이 가능하지만 압축비가 크므로 화질이 떨어지는 것이 단점이다. 주로 뮤직 비디오, 실시간 방송 등에 사용되고 있다.
MPG(MPEG :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MPEG의 명칭은 "Moving Picture Experts Group"를 의미한다. MPEG그룹이 정한 포맷에는 91년 디지털 저장 매체용 압축 규격 MPEG1과 94년 디지털 방송용 압축 규격 MPEG2 등이 있다( MPEG-1,2,4,7등이 있음 )
MPEG-1(DAT) 비디오 CD규격에 맞춰 포맷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해상도는 SIF(352x240)형식이며 초당 30Frame의 구조를 갖고 동영상을 약 200:1까지 압축할 수 있다.
MPEG-2 고화질의 비디오를 위해서 만들어진 표준인데. 이것은 현재 DVD의 고화질 재생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데이터 비율을 100 MBit/s 까지 올릴 수 있고 해상도의 조정이 가능하며, 데이터 비율은 아주 넓다.
MPEG-4(ASF) MPEG4는 통신상에서 실시간으로 주고받을 수 있을 정도로 압축율을 높인 것으로, 파일의 크기는 작지만 재생을 위해서는 더 높은 프로세스를 요구하게 된다.
MPEG-7 가장 최근의 MPEG 패밀리 프로젝트이다. 이것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표현하는 표준이며 독립적으로 다른 MPEG 표준과 사용될 수 있다.
FLC 애니메이션 파일에서 공용으로 쓰이는 파일 형식에는 매크로미디어(Macromedia)의 MMM과 오토데스크(Autodesk)의 FLI, FLC가 있다. FLC는 오토데스크의 애니메이터 프로(Animator Pro) 프로그램의 2차원 애니메이션 파일 포맷. 마이크로소프트가 FLC 포맷을 윈도우 기반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표준으로 채택하였다.
XDM 씽 테크놀로지(Xing Technology)에서 발표한 스트림 웍스(StreamWorks) 방식에서 사용하는 비디오 파일 방식
VIV(VivoActive) 비보액티브(VivoActive)사가 개발한 동영상 파일 포맷으로 압축률이 뛰어나고 우수한 동영상 화질을 구현해 새롭게 각광받고 있다. H.263이라는 비디오 압축 알고리즘과 G.723이라는 오디오 압축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이번 강좌에 사용될 프로그램은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제공하는 Windows Media Encoder9라는 프로그램으로, 사용상에 아무런 제한이 없는 프리웨어이면서도 손쉽게 동영상을 인터넷 스트리밍이 가능한 WMV, WMA등의 포맷으로 변환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최신 버전(한글)을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실행시키면 Windows Media 인코더 9의 설치과정이 진행됩니다. 한글버전도 제공하기 때문에 설치도중에 별다른 애로사항은 없으며 간단히 마우스로 다음 단계로 진행만 하면 손쉽게 설치를 할 수 있습니다.
▲ Windows Media 인코더 9 시리즈의 설치를 시작합니다.
▲ Windows Media 인코더 9 시리즈의 설치 과정
모든 설치가 끝나면 시작메뉴의 WIndows Media라는 항목 아래에 인코딩 프로그램과 몇몇 유틸리티가 함께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AVI → WMV 변환작업을 위해서는 Windows Media 인코더를 항목을 클릭해주면 됩니다.
▲ 인코딩 프로그램이외에 유용한 프로그램들이 추가로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샘플 동영상을 이용해 WMV 포맷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Windows Media 인코더를 실행하면 제일 먼저 마법사창이 뜨게 됩니다. 마법사 기능을 이용하면 작업을 한단계씩 따라하다 보면 어느새 자신이 원하는 결과물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며, 오디오/비디오를 캡쳐하거나, 정지화면 캡쳐, 그리고 파일을 다양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이번 강좌에서는 WMV 파일로 인코딩을 하기 위해서 '파일변환' 아이콘을 클릭해줍니다.
▲ 동영상 변환 작업을 위해 '파일변환' 항목을 선택해 줍니다.
2. 이번 단계는 변환할 원본 파일을 찾는 창이 뜨게 됩니다. 원본파일(S) 항목에 '찾아보기(R)..'을 선택하여 자신의 하드디스크내에서 변환하고자 하는 원본 파일(AVI)을 선택해주면 됩니다.
▲ 변환 작업에 사용될 원본 파일을 불러옵니다.
원본 파일을 불러오면 자동으로 하단의 출력파일(O) 항목에 파일 이름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출력 파일 이름은 원본파일이름 끝에 -1라는 문자가 추가되며, 확장자는 WMV 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원본 파일을 불러오면 자동으로 출력 파일이름이 정해집니다.
3. 다음단계에서는 변환한 컨텐츠를 어떻게 배포할 것인지를 설정하는 창이 뜨게 됩니다. 컴퓨터에서의 재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CD, DVD용으로 배포할 것인지, 아니면 라이브 브로드캐스트를 위해 Windows Meida 서버용으로 배포할 것인지 등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번 강좌에서는 변환된 컨텐츠를 웹에 올려놓고 실시간으로 재생을 하기 위해서 'WIndows Media 서비스(스트리밍)" 항목을 선택해 줍니다.
▲ 스트리밍 재생을 위하 Windows Media 서비스 항목을 선택해줍니다.
4. 이번 단계에서는 비디오 및 오디오의 인코딩과 관련된 설정을 해주게 됩니다. 비트 전송률이 높을수록 그만큼 보다 부드러운 움직임을 보여주지만 그대신 용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이를 적절해 조절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 비디오 및 오디오 인코딩 설정
인코딩 옵션은 비디오와 오디오와 관련해 각각 설정해 줄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몇가지의 프리셋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자신에게 원하는 작업을 선택 한 후 하단의 비트 전송률을 조정하시기길 권장합니다. 비디오 및 오디오 관련하여 제공되는 인코딩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비디오 인코딩 방법
▲ 오디오 인코딩 방법
항목을 보면 인코딩 방법 뒤에 CBR, VBR와 같은 인코딩 방법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간단하게 CBR 인코딩과 VBR 인코딩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CBR(고정 비트 전송률) 인코딩
: CBR은 Constant Bir Rate의 줄임말로 스트리밍 서비스시에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영상의 처음부터 끝까지 일정한 비트 레이트를 유지함으로써 일정하고 낮은 비트레이트의 사용량을 통해 파일 크기가 작고 대역폭 소모도 적어 인코딩된 컨텐츠의 품질이 일정하다는 장점을 갖추고 있습니다. 단점이라고 한다면 고정된 비트레이트율으로 인해 역동적인 영상을 담아내기에는 부족함이 있으며 일부 콘텐트는 압축하기가 어려워 CBR 스트림 일부의 품질이 다른 부분보다 떨어질 수 있습니다.
VBR(가변 비트 전송률) 인코딩
: VBR은 Variable Bit Rate의 줄임말로 느린 동작과 빠른 동작 사이를 전환하는 비디오처럼 간단하고 복잡한 데이터가 혼합되어 있는 콘텐트를 인코딩할 때 가장 적합합니다. VBR 인코딩의 경우 복잡하지 않은 영상에서는 낮은 비트레이트가 할당되며 복잡한 부분에는 높은 비트레이트가 할당되어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곰합니다. 단점이라면 파일 크기가 커질 수 있으며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서버측에 부하를 줄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참고로 이번 강좌에서는 사용된 동영상이 많은 움직임이 없는 관계로 CBR 인코딩 설정으로 비트 전송률은 282Kbps로 설정한 후 인코딩 과정을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5. 이제 인코딩 마법사의 마지막 단계로 접어들었습니다. 인코딩 설정을 마치게 되면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해주는 창이 뜨게 됩니다. 이곳에서 영상의 제목, 만든이, 저작권, 등급, 설명등의 내용을 자신에게 맞게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 인코딩되는 동영상의 각종 정보를 입력해 줍니다.
인코딩 작업과 관련된 모든 설정이 끝났습니다. 마지막 설정검토 창을 통해 그동안 앞에서 했던 작업들이 제대로 되어 있는지 확인하신 후 만약 수정할 부분이 있다면 하단에 마련되어 있는 뒤로(B)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 지금까지의 인코딩 작업 설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모든 설정이 이상 없다면 [마침]버튼을 누르면 인코딩 과정이 시작됩니다.
▲ 1패스 인코딩 중
▲ 2패스 인코딩 중
인코딩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은 자신의 시스템 사양에 따라 약간씩의 차이가 발생하며, 인코딩 과정을 살펴보면 1패스 인코딩 과정을 거쳐 2패스 인코딩 과정이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패스 인코딩을 사용하면 동영상이 인코더를 한 번 통과한 후 두 번째 통과할 때 압축과정이 이뤄집니다. 그에 반해 2 패스 인코딩을 사용하면 첫 번째 패스에서는 동영상 정보가 분석되며 첫 번째 패스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두 번째 패스에서 인코딩됩니다. 2 패스 인코딩을 사용하면 인코더에서 영상 합성을 기준으로 비트 전송률, 프레임 수, 버퍼 크기 및 이미지 품질의 최적 조합을 찾는 데 좀더 시간이 소요되지만 영상 품질을 더욱더 좋아집니다. 다만 이러한 2패스 인코딩의 경우 지원되는 코덱을 이용할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는 제약조건이 있습니다.
모든 인코딩 과정이 끝나게 되면 아래와 같이 인코딩 결과창이 뜨게 됩니다. 결과창에는 인코딩된 파일의 용량 및 비디오/오디오 관련 정보가 상세하게 표시됩니다. 이때 우측의 [출력파일 재생(P)] 버튼을 클릭하면 WMV 파일 형식을 재생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 인코딩된 WMV 파일을 즉석에서 재생해 볼 수도 있습니다.
▲ 인코딩 결과가 정리되어 표시됩니다.
파일이 생성된 폴더로 이동해 보면 아래와 같이 확장자가 WMV인 파일이 추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아래 이미지를 보면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인 아드레 날린을 통해 WMV 파일의 정보를 살펴보면 비디오 코덱에 WMVideo Decoder가 오디오 코덱에는 WMAudio Decoder가 사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mpg 파일을 자르려면... Vcdcutter[프리웨어,추천] , ifilm_edit , TMPGEnc[프리웨어] , MyFlix 프로그램을 사용하세요.
# avi 파일을 mpg로 변환하려면.... AVI2VCD[프리웨어] , TMPGEnc[프리웨어,추천] , Panasonic MPEG1 Encoder , LSX-MPEG Suite , bbMPEG[프리웨어] , Xing Encoder 프로그램을 사용하세요
# asf 를 mpg로 변환하려면... TMPEGEnc [프리웨어] , MGI Videowave 를 사용하세요.
*참고:asf의 mpg 직접 변환은 에러 발생이 많고 시간도 오래 걸리니 VirtualDub을 사용해 먼저 avi로 변환후 TMPEGEnc 를 사용해 mpg로 변환하거나 VirtualDub로 asf의 오디오를 분리한후 TMPEGEnc로 asf와 분리한 오디오를 각각 불러들여 mpg로 변환하는 방법을 사용하세요.
# mpg,avi,asf 파일을 wmv로 변환하려면... Windows Media Encoder 프로그램을 사용하세요
# asf,wmv 를 avi로 변환하려면... VirtualDub 1.4c_asf , GraphEdit 를 사용하세요
# rm, ram 화일을 보려면 ? RealPlayer로 보시면됩니다.
# dat 파일 자르려면... Vcdcutter , VCD Clipper 유틸을 쓰세요.
# avi 파일을 잘라내려면 ? peck's power join , VirtualDub[추천] , Fast Movie Processor 을 사용하세요
# mp3를 바로 오디오cd 로 구울려면? MP3 CD Maker , MP3 To Audio CD 프로그램을 사용하세요.
# wmv 를 mpg로 변환하려면? TMPEGEnc[프리웨어] , MGI Videowave 를 사용하세요.
# rm,ram,ra->avi 로 변환하려면? Tinra 0.03 , Tinra gui 을 사용하세요. 참고:에러발생등 문제점이 많습니다. 사용법을 정확히 ...
# svcd[m2v], dvd[vob]-> mpg로 바꾸려면.... TMPGEnc 프로그램을 사용하세요.
# 자기 PC에 설치된 코덱 확인하기 시작->설정->제어판->멀티미디어->장치->비디오압축코덱 , 오디오 압축코덱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mov->avi 로 바꾸려면.... QuickTime[등록판만 가능,추천] , mov2avi[도스용,프리웨어,추천] , smartvid[도스용,프리웨어,soreson코덱으로 제작된 mov변환 불가] 를 사용하세요.
# 자막파일을 나누고 합치려면.... "smit(자막 나누고 합치기)" 를 사용하세요.
# wav 파일-> mid 파일로 바꾸려면... AKoff Music Composer 2.0 을 사용하세요.
# mp3 파일-> wma파일로 바꾸려면.... Shuffler Music Converter [프리웨어,추천] , Window Media Encoder 7.1[프리웨어,추천] , Windows Media Player7 Bonus Pack의 Audio Converter 3.0 LE (Limited Edition)[프리웨어,사용간편,추천] , Winamp 를 이용하세요.
# wav 파일->wma 파일로 바꾸려면.... Shuffler Music Converter , Window Media Encoder 7.1 , Windows Media 8 Encoding Utility 사용하세요.
# avi 파일 ->wmv 파일로 바꾸려면... Window Media Encoder 7.1 , Windows Media 8 Encoding Utility 를 이용하세요
# avi 를 asf 로 변환 하려면 .... Windows Media Tools V4.1[프리웨어] , Stream Anywhere 를 사용하세요.
# mp3 를 ra 로 바꾸려면.... RealProducer 이용하여 ra로 바꾸세요.
# mpg 를 dat로 바꾸려면..... VCDGear 를 사용하세요.
동영상파일의종류
AVI Audio Video Interleaved의 약어로 '마이크로소프트 비디오 포 윈도즈 (Microsoft Video for Windows)'가 지원하는 동영상 압축파일의 형태 이름이다. 윈도우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형식이며 별도의 플러그인 없이 사용 가능하다.
MOV 본래 매킨토시 운영체제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동화상 파일 형식으로 윈도우에서도 QuickTime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볼 수 있다.
ASF(Advanced Streaming Format)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송수신 데이터 포맷이다. 동영상 데이터 등을 분할하고, 그것을 포함한 패킷의 사양을 규정하고 있다. AVI나 MOV, MPG라는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구조이다. 리얼비디오도 ASF에 포함된 형태로 송수신되는 것이다. 재생타이밍 조정과 동기가 자유롭다.
MMS protocol Microsoft Media Server protocol의 약자로 클라이언트 의 Windows Media player가 Windows Media Server의 Unicast service에서 asf 컨텐트를 참조해서 스트리밍 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 예로, mms://media_server/file.asf 같은 URL 표시로 asf파일을 열 수 있도록 해 준다.
MetaFile (메타파일) Windows Media Technologies와 Real Media 등에서 스트림에 대한 정보와 각 스트림을 재생시키는 방법 등의 정보를 제공해주는 텍스트 형태의 파일이다. WMT에서는 asx와 wvx 같은 파일이고 RM에서는 ram, rpm 같은 파일이다
Real Video - ra, ram, 또는 rm 사운드만을 지원하던 Real Audio에 비디오 기능을 추가한 것으로 실시간 전송을 목적으로 만들어 졌으며, 파일 크기가 작고 전송 속도는 빨라 실시간 재생이 가능하지만 압축비가 크므로 화질이 떨어지는 것이 단점이다. 주로 뮤직 비디오, 실시간 방송 등에 사용되고 있다.
MPG(MPEG :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MPEG의 명칭은 "Moving Picture Experts Group"를 의미한다. MPEG그룹이 정한 포맷에는 91년 디지털 저장 매체용 압축 규격 MPEG1과 94년 디지털 방송용 압축 규격 MPEG2 등이 있다( MPEG-1,2,4,7등이 있음 )
MPEG-1(DAT) 비디오 CD규격에 맞춰 포맷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해상도는 SIF(352x240)형식이며 초당 30Frame의 구조를 갖고 동영상을 약 200:1까지 압축할 수 있다.
MPEG-2 고화질의 비디오를 위해서 만들어진 표준인데. 이것은 현재 DVD의 고화질 재생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데이터 비율을 100 MBit/s 까지 올릴 수 있고 해상도의 조정이 가능하며, 데이터 비율은 아주 넓다.
MPEG-4(ASF) MPEG4는 통신상에서 실시간으로 주고받을 수 있을 정도로 압축율을 높인 것으로, 파일의 크기는 작지만 재생을 위해서는 더 높은 프로세스를 요구하게 된다.
MPEG-7 가장 최근의 MPEG 패밀리 프로젝트이다. 이것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표현하는 표준이며 독립적으로 다른 MPEG 표준과 사용될 수 있다.
FLC 애니메이션 파일에서 공용으로 쓰이는 파일 형식에는 매크로미디어(Macromedia)의 MMM과 오토데스크(Autodesk)의 FLI, FLC가 있다. FLC는 오토데스크의 애니메이터 프로(Animator Pro) 프로그램의 2차원 애니메이션 파일 포맷. 마이크로소프트가 FLC 포맷을 윈도우 기반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표준으로 채택하였다.
XDM 씽 테크놀로지(Xing Technology)에서 발표한 스트림 웍스(StreamWorks) 방식에서 사용하는 비디오 파일 방식
VIV(VivoActive) 비보액티브(VivoActive)사가 개발한 동영상 파일 포맷으로 압축률이 뛰어나고 우수한 동영상 화질을 구현해 새롭게 각광받고 있다. H.263이라는 비디오 압축 알고리즘과 G.723이라는 오디오 압축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이번 강좌에 사용될 프로그램은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제공하는 Windows Media Encoder9라는 프로그램으로, 사용상에 아무런 제한이 없는 프리웨어이면서도 손쉽게 동영상을 인터넷 스트리밍이 가능한 WMV, WMA등의 포맷으로 변환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최신 버전(한글)을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실행시키면 Windows Media 인코더 9의 설치과정이 진행됩니다. 한글버전도 제공하기 때문에 설치도중에 별다른 애로사항은 없으며 간단히 마우스로 다음 단계로 진행만 하면 손쉽게 설치를 할 수 있습니다.
▲ Windows Media 인코더 9 시리즈의 설치를 시작합니다.
▲ Windows Media 인코더 9 시리즈의 설치 과정
모든 설치가 끝나면 시작메뉴의 WIndows Media라는 항목 아래에 인코딩 프로그램과 몇몇 유틸리티가 함께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AVI → WMV 변환작업을 위해서는 Windows Media 인코더를 항목을 클릭해주면 됩니다.
▲ 인코딩 프로그램이외에 유용한 프로그램들이 추가로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샘플 동영상을 이용해 WMV 포맷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Windows Media 인코더를 실행하면 제일 먼저 마법사창이 뜨게 됩니다. 마법사 기능을 이용하면 작업을 한단계씩 따라하다 보면 어느새 자신이 원하는 결과물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며, 오디오/비디오를 캡쳐하거나, 정지화면 캡쳐, 그리고 파일을 다양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이번 강좌에서는 WMV 파일로 인코딩을 하기 위해서 '파일변환' 아이콘을 클릭해줍니다.
▲ 동영상 변환 작업을 위해 '파일변환' 항목을 선택해 줍니다.
2. 이번 단계는 변환할 원본 파일을 찾는 창이 뜨게 됩니다. 원본파일(S) 항목에 '찾아보기(R)..'을 선택하여 자신의 하드디스크내에서 변환하고자 하는 원본 파일(AVI)을 선택해주면 됩니다.
▲ 변환 작업에 사용될 원본 파일을 불러옵니다.
원본 파일을 불러오면 자동으로 하단의 출력파일(O) 항목에 파일 이름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출력 파일 이름은 원본파일이름 끝에 -1라는 문자가 추가되며, 확장자는 WMV 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원본 파일을 불러오면 자동으로 출력 파일이름이 정해집니다.
3. 다음단계에서는 변환한 컨텐츠를 어떻게 배포할 것인지를 설정하는 창이 뜨게 됩니다. 컴퓨터에서의 재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CD, DVD용으로 배포할 것인지, 아니면 라이브 브로드캐스트를 위해 Windows Meida 서버용으로 배포할 것인지 등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번 강좌에서는 변환된 컨텐츠를 웹에 올려놓고 실시간으로 재생을 하기 위해서 'WIndows Media 서비스(스트리밍)" 항목을 선택해 줍니다.
▲ 스트리밍 재생을 위하 Windows Media 서비스 항목을 선택해줍니다.
4. 이번 단계에서는 비디오 및 오디오의 인코딩과 관련된 설정을 해주게 됩니다. 비트 전송률이 높을수록 그만큼 보다 부드러운 움직임을 보여주지만 그대신 용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이를 적절해 조절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 비디오 및 오디오 인코딩 설정
인코딩 옵션은 비디오와 오디오와 관련해 각각 설정해 줄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몇가지의 프리셋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자신에게 원하는 작업을 선택 한 후 하단의 비트 전송률을 조정하시기길 권장합니다. 비디오 및 오디오 관련하여 제공되는 인코딩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비디오 인코딩 방법
▲ 오디오 인코딩 방법
항목을 보면 인코딩 방법 뒤에 CBR, VBR와 같은 인코딩 방법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간단하게 CBR 인코딩과 VBR 인코딩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CBR(고정 비트 전송률) 인코딩
: CBR은 Constant Bir Rate의 줄임말로 스트리밍 서비스시에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영상의 처음부터 끝까지 일정한 비트 레이트를 유지함으로써 일정하고 낮은 비트레이트의 사용량을 통해 파일 크기가 작고 대역폭 소모도 적어 인코딩된 컨텐츠의 품질이 일정하다는 장점을 갖추고 있습니다. 단점이라고 한다면 고정된 비트레이트율으로 인해 역동적인 영상을 담아내기에는 부족함이 있으며 일부 콘텐트는 압축하기가 어려워 CBR 스트림 일부의 품질이 다른 부분보다 떨어질 수 있습니다.
VBR(가변 비트 전송률) 인코딩
: VBR은 Variable Bit Rate의 줄임말로 느린 동작과 빠른 동작 사이를 전환하는 비디오처럼 간단하고 복잡한 데이터가 혼합되어 있는 콘텐트를 인코딩할 때 가장 적합합니다. VBR 인코딩의 경우 복잡하지 않은 영상에서는 낮은 비트레이트가 할당되며 복잡한 부분에는 높은 비트레이트가 할당되어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곰합니다. 단점이라면 파일 크기가 커질 수 있으며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서버측에 부하를 줄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참고로 이번 강좌에서는 사용된 동영상이 많은 움직임이 없는 관계로 CBR 인코딩 설정으로 비트 전송률은 282Kbps로 설정한 후 인코딩 과정을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5. 이제 인코딩 마법사의 마지막 단계로 접어들었습니다. 인코딩 설정을 마치게 되면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해주는 창이 뜨게 됩니다. 이곳에서 영상의 제목, 만든이, 저작권, 등급, 설명등의 내용을 자신에게 맞게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 인코딩되는 동영상의 각종 정보를 입력해 줍니다.
인코딩 작업과 관련된 모든 설정이 끝났습니다. 마지막 설정검토 창을 통해 그동안 앞에서 했던 작업들이 제대로 되어 있는지 확인하신 후 만약 수정할 부분이 있다면 하단에 마련되어 있는 뒤로(B)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 지금까지의 인코딩 작업 설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모든 설정이 이상 없다면 [마침]버튼을 누르면 인코딩 과정이 시작됩니다.
▲ 1패스 인코딩 중
▲ 2패스 인코딩 중
인코딩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은 자신의 시스템 사양에 따라 약간씩의 차이가 발생하며, 인코딩 과정을 살펴보면 1패스 인코딩 과정을 거쳐 2패스 인코딩 과정이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패스 인코딩을 사용하면 동영상이 인코더를 한 번 통과한 후 두 번째 통과할 때 압축과정이 이뤄집니다. 그에 반해 2 패스 인코딩을 사용하면 첫 번째 패스에서는 동영상 정보가 분석되며 첫 번째 패스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두 번째 패스에서 인코딩됩니다. 2 패스 인코딩을 사용하면 인코더에서 영상 합성을 기준으로 비트 전송률, 프레임 수, 버퍼 크기 및 이미지 품질의 최적 조합을 찾는 데 좀더 시간이 소요되지만 영상 품질을 더욱더 좋아집니다. 다만 이러한 2패스 인코딩의 경우 지원되는 코덱을 이용할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는 제약조건이 있습니다.
모든 인코딩 과정이 끝나게 되면 아래와 같이 인코딩 결과창이 뜨게 됩니다. 결과창에는 인코딩된 파일의 용량 및 비디오/오디오 관련 정보가 상세하게 표시됩니다. 이때 우측의 [출력파일 재생(P)] 버튼을 클릭하면 WMV 파일 형식을 재생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 인코딩된 WMV 파일을 즉석에서 재생해 볼 수도 있습니다.
▲ 인코딩 결과가 정리되어 표시됩니다.
파일이 생성된 폴더로 이동해 보면 아래와 같이 확장자가 WMV인 파일이 추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아래 이미지를 보면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인 아드레 날린을 통해 WMV 파일의 정보를 살펴보면 비디오 코덱에 WMVideo Decoder가 오디오 코덱에는 WMAudio Decoder가 사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