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개통 예정인 전철 노선?
개통 예정인 전철 노선 | |||
노 선 명 |
구 간 |
개통 시기 |
비 고 |
수도권전철 4호선 연장노선 |
당고개∼진접 12㎞를 4∼5개역 |
|
|
수도권전철 7호선 연장노선 |
온수∼인천1호선 부평구청 |
|
10,2㎞ |
수도권전철 8호선 연장노선 |
암사 ∼ 별내 |
2016년 |
|
수도권전철 9호선 연장노선 |
신노현∼오륜 ∼ 보훈병원 |
2015년 |
|
분 당 선 연장노선 |
보정∼수원 수도권1호선 |
|
|
분 당 선 연장노선 |
왕십리∼ 삼릉 |
|
|
신 분 당 선 |
강남 ∼ 정자 18,5㎞ |
|
|
신 분 당 선 |
정자∼수지∼화서 1호선 |
2019년 |
|
신 분 당 선 |
강남∼용산 1호선 중앙선 |
|
|
인천공항철도노선 |
김포공항 ∼ 서울역 |
2010년 12월 29일 |
완전 개통 |
수인선 복선전철 |
수원∼인천 수도권1호선 |
2012년 |
|
경춘선 복선전철 |
망우 ∼ 춘천 |
2010년 12월 21일 |
완전 개통 |
인천지하쳘 2호선 경전철 |
오류동 ∼ 인천대공원 |
2014년 |
|
우이∼신설 경전철 |
우인 ∼ 신설 |
|
|
용인 경전철 |
지석 ∼ 전대 에버랜드 |
2010년 하반기 |
|
의정부 경전철 |
발곡 ∼ 탑석 |
|
|
☟ 신분당노선
신분당선 전철은 민간투자 사업으로 서울 강남과 경기도 분당을 연결하는 복선전철 운행하는 방식이며 수도권 남부의 급격한 인구증가 및 판교신도시 건설에 따른 심각한 교통난을 획기적(劃期的)으로 개선 할 수 있는 대중교통수단을 확보하기 위하여 민간(民間)이 투자하여 기획하고 시행하는 수도권 광역 전철망(電鐵網)이다, 신분당이 개통되면 분당 신도시와 판교 신도시에서 서울특별시 강남구를 직통하는 노선이 생겨 분당선의 입지는 지금보다 좋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공사시기 2010년 개통을 위해 착공한 신분당선(강남∼정자간 18.5㎞) 복선전철의 연장사업으로.. 공사구간 1단계 - 정자~광교(2014년 개통예정) 2단계 - 광교~호메실(2019년 개통예정) 연장구간 용산 ~ 강남 복선전철(2017년 개통예정) 관련정보
※ 신분당선 1차구간 (강남∼정자간 18.5㎞) 6개역 예정 역사
◉ 강남역은 2호선 강남역(2, 3번출구)을 기준으로 메르츠빌딩 및 YBM시사영어사 강남대로(양재역방향)에 위치하며, ⇩1,2㎞
◉양재역은 3호선 양재역(6, 7번출구)을 기준으로 양재역 환승주차장 및 스포타임 양재프라자 성남방향으로 위치하며, ⇩1,7㎞
◉양재신민의숲(매헌) (포이)역은 여의천을 따라 여의교와 농수산물무역진흥(AT)센터 뒷편에 위치하며, ⇩ 2,8㎞
◉청계역은 경부고속도로 주변 서초구 차량보관소 부지로 신원동과 원지동 경계에 위치하며, ⇩ 8.2㎞
◉판교역은 서현로를 기준으로 성남시차량등록사업소 맡은편에 삼평동에 위치하며, (성남~ 여주 복선전철 설계중) ⇩3,1㎞
◉정자역은 분당선 정자역(1, 4번출구)을 기준으로 궁내사거리, 동양파라곤 및 청기와프라자(성남대로)에 위치합니다.
※ 신분당선 (정자역에서 수지 상현 화석역 까지 18,Km)
정자 - 동천 - 수지 1, 2지구 - 신봉 - 성복지구 -상현지구 - 이의신도시 - 화서롤 연결되며 아직 정확한 역은 확정되지 않은 상태이다,
◉ 정자역 (기본역 분당선 황승역) ◉ 미금 (분당서 기본역)
◉ (SBO 01) 수지/상현지구 ◉ (SBO 02) ◉(SBO 03) ◉(SBO 04)
◉(SBO 05) 수원 이의지구 ◉ (SBO 06) 광교 ◉(SBO 07)
◉(SBO 08) (화석역 1호선황승) ◉(SBO 09) 호매실지구
※ 강남역에서용산까지 7, 49Km 계획 중
정부가 용산-강남을 연결하는 신분당선을 민간투자사업을 통해 잇기로 했다. 국토해양부 사업고시 이후 민자 협약이 체결되면 내년 2011년 상반기 중 착공해 2017년경 완공될 전망이다. 용산역을 지나 국립박물관역(신설)- 동빙고역(신설)-신사역-논현역-신논현역-강남역에 이르는 신분당선 강남~용산 라인의 총 사업비는 9000억원(토지보상비 제외)으로 추정된다. 완공 후 신사역(3호선), 논현역(7호선), 신논현역(9호선)은 새 노선과 만나는 환승역으로 탈바꿈한다. 이 공사를 끝으로 신분당선 건설은 완전히 마무리된다.
◉ 강남역 (2, 9호선 환승역) ◉ 신노현역 ◉ 노현역 (7호선 환승역)
◉ 신사역 (3호선 환승역) ◉ 동빙고역 ◉ 국립박물관역
◉ 용선역 (수도권 1호선 중앙선 환승역)
☟ 수인선 복선전철화
수인선(水仁線)은 원래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의 수원역과 인천광역시 중구의 남인천역을 잇던 철도 노선으로, 1973년 이후 노선이 계속 축소되어 현재 영업거리표 상에서는 수원역에서 한대앞역까지의 구간으로 축소되었다. 현재 다시 인천역까지 표준궤로 개궤하고 복선전철화하여 연결하는 공사가 진행중이다.
1972년 수인선의 폐선 이후 대한민국의 유일한 협궤철도였으나 1996년 1월 1일 이후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현재 복선 전철화 공사가 진행중으로 분당선과 직결 운행이 예정되어 있다. 서류상으로는 폐선이 아닌 영업중지 상태이지만 철도 노선으로서의 기능은 완전히 잃은 상태로 현재 폐선이나 다름없는 상태이다. 수인선의 옛 구간이 표준궤로 복선 전철화되어 개통이 되면 오이도역 - 한대앞역 구간은 안산선과 선로를 공유하게 된다. 하지만 노선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도 있다.
2010 ~ 2012년 사이 개통목표로 하고 있다,
◉수원 - ◉한대앞에서 - ◉오이도까지 공유 - ◉ 연수역까지는 지상으로,
◉인천 - 연수역까지는 지하로 복선 전철이 시공중이다, 인천역지하가 종착역이며 ◉수원역전철지하역이 종점에서 분당선과 직결이 예정되어있다,
※ 미개통구간의 역명은 모두 가칭이며, 차후 변경될 수 있다.
◉ 수원(水原) 경부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분당선)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덕영대로 924 (매산로 1가 18번지)에 위치한 수원역은 1905년 1월 1일 개통 되면서 수원역으로 영업개시 하였으며 경기도 수원시에 있는 한국철도공사 경부선의 그룹대표역으로, 경부선 모든 열차와 급행을 포함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모든 전동차가 정차한다. 현재의 역사는 민자역사로서 역사 내에 애경백화점이 위치하고 있다.
한때 수도권 전철 전동차는 모두 이 역에서 시·종착하였으나, 현재에는 병점역으로 기능이 이전되어 이 역에서 시·종착하지 않게 되었다. 수원이라는 이름이 등장한 시기는 고려 충성왕 2년(1310)에 수원부가 설치되면서 부터이며 그 이전에는 모수(牟水) 혹은 매홀(買忽)로 불리어졌다, 1949년 8월 15일 수원시로 승격된 지명에서 유래
◉ (? 6) 고색(古索) 수원시 권선구(勸善區) 고색동에서 명명 된 것이다, 고색동의 유래는 도고산 밑에 있으므로 고색골 또는 고색이라 불리우던 것에 유래한다, 이 지역은 본래 수원부 용복면에 속한 곳이었다, 1914년 4월 1일 일제에 의한 수원군의 동리 명칭 및 구역 변경 때 용복면의 고색리, 중복면과 남부면의 지장동을 합쳐 고색리라 하여 안용면 관할이 되었다, 1949년 수원읍 지역이 수원시로 승격되었을 때는 화성군 안용면 고색리로 편제 되었다, 그리고 1963년 1월 1일 수원시로 편입되었다,
◉ (? 5) 봉담(峰潭) 경기도 화성시 중부에 있는 읍 읍소대지로는 상리이다, 2001년 화성군이 시로 승격되면서 봉담면인 봉담읍으로 승격한 봉담읍은 행정동 46개동 법정동 16개동을 관할하는 봉담읍은 동북방향으로 수원에 접경하고 있으며 동방향으로는 태안읍과 남방향으로 정남면 남서방향으로는 팔단면 및 향남면과 접경하고 있는 지형 이름에서 유래
◉ (? 4) 어천(漁川) 화성군 매송면 어천리 410번지에 옛 수인선 협궤열차역이있으므로 옛 역명으로 제정(制定) 어천이란 구한말까지는 어량천(於良川)으로 불려오다가 1914년 행정구역개편 때 어천리로 개칭되었다고 한다,
◉ (? 3) 야목(野牧) 화성군 매송면 야목리 444번지의 수인선 협궤열차 옛 역명으로 제정(制定), 야목이란 조선말에는 행정구역상 송동면 야목리었다 마을 앞에는 들이 넓게 펼쳐져있고 산기슭에는 초목이 우거져있어 소를 방목하는 데 적합하다고 하여 야목(野牧)이란 이름이 얻어졌다고 하다,
◉ (? 2) 사리(四里) 안산시 사리는 1914년 3월 1일 반월면 사리로 개칭되었다, 안산시는 일동 이동 사동은 숫자로 표기된 지명이 대표적이다, 그 후 1949년 8월 15일 화성군 반월면 사리가 되었다, 이어 1986년 1월 1일 안산시 사동(四洞)이 되었다, 사동은 신도시개발 전에는 화성군 양감면 면장보다 사리이장을 한다고 할 만큼 화성군 관내에서는 리(里)면적이 제일 컸다고 한다,
◉ 상록수(常綠樹) (★ 아산1대학) 안산시 상록구 상록수로 61 (본오동 409번지에 위치한 상록수역은 경기도 안산시에 있는 한국철도공사 안산선의 역이다. 역명은 상록구의 명칭에서 따왔으며, 일제 강점기의 문학가 심훈의 소설 《상록수》의 공간적 배경이 되는 지역인데서 상징적으로 제정되었다. 부역명은 안산1대학으로, 인근에 안산1대학이 있다.
◉ (? 1) 한대앞(漢大前) (☯ 4선 환승) 안산시 상록구 상록수로 337(미동 산 17-3번지)에 위치한 한대앞역은 경기도 안산시의 역 중 하나로 안산선과 수인선이 접속하는 곳이다. 안산선에는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전동차가 운행하고 있고 수인선은 오이도에서 한 대 앞 까지는 기존선로이며 한 대앞 부터 수원까지 옛 협궤열차 선로를 변경하여 2013년 이후 수인선이 완전 개통예정이다, 인근 상록수 1동 1271번지에 한양대학교 캠퍼스가 있어서 명명했지만 실제로는 약 3.4km 떨어져 있고 길이 복잡하여 오히려 중앙역에서의 교통이 편리하다. ※한대앞역에서 오이도역까지 노선 공유
◉ (450) 중앙(中央) 안산시 단원구 중앙대로 920 (고잔동 167-378번지)에 위치한 중앙역은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에 있는 역이다. 안산선에는 수도권 전철 4호선이 운행되며 수인선은 현재 폐역상태이다. 역명은 안산시의 중앙에 있다고 하여 제정되었으며 실제로 안산시의 중심가들도 중앙역 일대에 많다. 1994년까지 수인선 열차가 운행하던 역으로, 현재까지도 역명판, 승강장 등 수인선의 역 시설이 남아 있다. 1.2km 인근에 안산종합버스터미널이 있다. 평일 아침 3회 안산발 급행열차가 정차한다 .※한대앞역에서 오이도역까지 노선 공유
◉ (451) 고 잔(古 棧) 안산시 단원구 중앙대로 784 (고잔동 453-53번지)에 위치한 고잔역은 수인선의 역으로 처음 영업을 시작하였다. 이 부근은 1990년대 초까지만 해도 전형적인 어촌 지역으로, 역에서 바다가 보일 정도였다. 안산선이 생길 때에도 고잔역 부근은 어촌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어서, 1988년 안산선 개통 당시에는 전철역을 만들지 않았다가, 1992년에 지역 교통 편의를 위하여 안산선의 전철역을 건설하게 되었다. 참고로 인천광역시 남동구 고잔동과 혼동되기 쉽다. 역명은 동명에서 명명되었다,※한
대앞역에서 오이도역까지 노선 공유
☞ 고장동 유래 조선시대에는 안산군 잉화면 고잔리라 했다가, 1914년 3월 1일 부령 제111호에 따라 시흥군 수암면 고잔리로 개칭되었고, 이어 1986년 1월 1일 법률 제3798호에 의거 안산시 고잔동(安山市 古棧洞)으로 되었다. 고잔은 고지(串)안쪽에 있는 마을이란 뜻이며 고잔(古棧)이란 한자는 뜻과는 상관없이 붙여진 것이다. ※한대앞역에서 오이도역까지 노선 공유
(452) 공 단(工 團)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 27-1번지에 위치한 공단역은 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 안산선의 역이다. 수도권 전철 4호선이 운행된다. 역명은 인근의 반월국가산업단지에서 따온 것이나, 시에서는 장기적으로 소사-원시선의 계획에 더불어 역명을 변경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부천과 시흥을 거쳐 반월공단이 있는 원시동까지 연결되는 소사-원시선이 공단역을 거쳐간다. 이 노선이 건설되면, 공단역은 환승역이 된다. ※한대앞역에서 오이도역까지 노선 공유
◉ (453) 안 산(安 山) 1998년 10월 25일 개통한 안산시 단원구 중앙대로 435 (원곡동 377-1번지)에 위치한 안산역은 안산시에서 따왔으며 안산시는 고종 1895년에 인처부에 딸린 한 군이 되었다가 1914년에 시흥, 과천, 안산의 3개군이 시흥군이란 명칭으로 통합되었다, 그 후 1976년 시흥군의 수암면 군자면과 화성군의 반월면 일부가 증가되어 1986년 1월 1일 시(市) 승격과 함께 안산시의 뿌리를 찾아 안산시로 부르게 되었다, ※한대앞역에서 오이도역까지 노선 공유
◉ (454) 신길온천(新吉溫泉)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 216-2번지에 위치한 신길온천역은 개통 이전의 임시 역명은 신길역(新吉驛)이었는데, 이는 수도권 전철 1호선 및 5호선의 환승역인 경부선 신길역과 역명 중복을 피하기 위해, 이 역이 계획될 당시에 역 인근에 온천이 개발될 예정이었으므로 신길온천역으로 정식 명명되었다. 그러나 현재는 온천 개발 계획이 전면 백지화된 상태로 본의아니게 온천없는 온천역이 되고 말았다. 일부 객지 승객들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역내 승강장 벽면에는 「우리역 주변에는 온천시설이 없습니다. - 신길온천역장」이라는 안내문을 볼 수 있으며, 한때 역명 변경이 추진되기도 했지만 아직은 마땅히 새 역명이 정해지지 않은 상태로 그대로 이 역명을 유지하고 있다. ※한대앞역에서 오이도역까지 노선 공유
◉ (455) 정 왕(正 往)(★ 학국산업기술대) 2000년 7월 28일 개통한 시흥시 마유로 418번길 (정왕동 2325-12번지)에 위치한 정왕역은 동명에서 명명되었으며, 현 정왕역 자리에는 수인선 군자역(君子驛)이 있었으며, 수인선 1937년 8월 5일 개통과 동시에 개업해 여객영업을 하다가 1994년 9월 1일 수인선 한대앞 ~ 소래 구간의 운행 중단에 따라 폐역 되었다. 이후 수인선의 복선 전철화 계획에 앞서 현 안산 ~ 오이도 구간이 안산선의 연장선으로서 전철화 공사가 진행될 당시의 임시 역명은 수인선의 역명에서 따온 '군자역'이었으나,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의 5호선과 7호선의 환승역인 군자역과 역명의 중복으로 인한 혼선이 우려되어 현재의 역명을 정식 명칭으로 정하였고 개업과 동시에 인근에 한국산업기술대학교가 있어 부역명이 추가되었다. ※한대앞역에서 오이도역까지 노선 공유
☞ 정왕동의 동명유래는 1914년 시흥군 과천군 안산군이 시흥군으로 흡수 통합 되면서 시흥군 군자면 정왕리로 되었다가 1989년 시흥군이 시흥시로 승격함에 따라 정왕동으로 개칭된 동명이며 조선 영조시대에 봉수대가 설치되어 1895년까지 사용되었던 중요한 군사지역이었다,
◉ (456) 오이도(烏耳島) 2000년 7월 28일 개통한 오이도역은시흥시 정왕동 878번지에 위치한 경기도 시흥시에 위치한 안산선 연장노선의 종점이다. 상당수 수도권 전철 4호선 열차가 시·종착하는 역이다. 인근에 오이도와 시흥차량사업소가 있다. 역사 위의 역명판은 2003년의 당시 철도청 로고를 간직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한대앞역에서 오이도역까지 노선 공유
☞ 역명은 오이도가 섬 아닌 섬이 된 것은 1922년에 일제가 염전을 만들기 위해 이곳과 안산시간 재방을 쌓은 뒤부터였다, 그 후 오이도는 자동차가 드나드는 섬 같은 육지가 되었다, 이곳 지명은 조선초기에는 오질애(吾叱哀)였다가 성종(成宗) 조에 오질이도(吾 叱耳島)로 개칭된 후 정조(正祖) 조에 현재의 이름이 오이도가 되었다, 오이도역은 수인선 군자역 자리는 정왕동의 중심지에 위치하므로 서울의 군자역과 혼동이 예상되어 정왕역으로, 근접해 있는 오이도 지명 되찾기 일환과 시의 문화유산을 널리 소개하기 위하여 오이도역으로 제정 하였다,
◉ (457)달월(達月) 월곶(月串)은 바다를 향해 뽀죽 하게 내민 땅이라고 하여 인근에서는 월곶을 통칭해 달월이라고 부른다하여 달월역은, 1995년 12월 31일까지 협궤열차가 인천 송도 소래 달월 군자(현정암) 고잔 야목, 어천 수원까지 15개역을 운행하던 곳에다 옛 역명인 달월역으로 제정(制定), 조선시대에는 수군만호(水軍萬戶)가 설치 될 만큼 군사상 중요시 되던 곳이다,
◉ (458) 월곶(月串) 시흥시 월곶동의 월곶역은 소래포구 맞은편에 있는 포구로서 뽀죽 하게 내민 땅이라 하여 월곶포구라 하였다, 이곳은 아직은 널리 알려지진 않았지만 오이도에서 4호선연장으로 많은 발전이 기대된다,
◉ (459) 소래(蘇來) 인천시 남동구 논현동에 있는 어항이며 소래포구(蘇來浦口)라고도 한다, 소래포구는 1933년 소래염전이 들어서고 1937년 국내 유일의 협궤열차(挾軌列車)가 다니는 수인선이 개통됨에 따라 발전된 마을이다 그 후 1974년 인천내항(仁川內港)이 준공된 후 새우잡이를 하던 소형어선의 출입이 어려워지면서 한산했던 소래포구가 일약 새우파시로 부상했으며 지금은 새우 꽃게 젓갈등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그날그날 어획(漁獲)한 선도(鮮度)가 높은 생선을 공급하는 어시장이 되어 서울 인천을 비롯한 수도권 주민들이 즐겨 찾는 어시장으로 발전하였으며 우선 2009년의 송도까지 지하철 개통을 앞두고 있다,
◉ (460) 논현택지(論峴宅地) 인천시 남동구 노현2지구 택지개발로 논현역을 설립예정
◉ (461) 논현(論峴)(☯ 인천도시철도 2호선과 연결예정) 논현이란 옛날 마을에서 중요한 일이 있을 때 어른들이 마을 뒤의 망월산 넓은 공터에 모여서 의논이 있어 논고개였는데 이것이 한자어로 논현(論峴)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또 다른 하나는 옛날 사신(使臣)들이 중국으로 떠날 때 배웅나온 가족들과 이야기 하며 넘는 고개라 하여 논현이라 불렀다는 이야기가 잇다하여 이 고개이름에서 동네 명칭이 된 데에서 유래
◉ (462) 남동(南東) 인천시 남동구의 지명 명칭에서 유래
◉ (463) 승기(承基) 남구 관교동 옛 승기 마을은 옛날 오랫동안 폐허로 남아있던 마을이 다시 생겨나서 이어졌다하여 승기(承基)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승기천은 승기마을에서 시작하여 서남쪽으로 흘러서 남촌 저수지를 이루고 노현동에서 바다로 흘러간다는 승기천에서 명명 된 것이다
◉ (464) 연수(延壽) 인천시 연수구의 지역은 1413년(태종13년) 전국 74개 도호부중의 하나인 인천도호부 관할구역이었다, 연수구는 인천광역시 남쪽에 돌출한 해안선을 따라 동쪽으로는 선학동 연수동, 동춘동 지역이 승기천을 경계로 문학산 남쪽에 있어 따뜻하고 장수하는 사람이 많았다하여 연수동이라는 동명에서 유래
◉ (465) 송도(松島) 청량산을 배경으로 서해의 푸른 바닷가에 위치한 송도는 원래부터 유원지로 개발한 곳이라 한다, 지금은 매립되어 송도해상 신도시의 시작점이 된 아암도의 경치는 일품이었으며 해수욕장 수문이 있는 곳이 능허대였다고 한다, (능허대(凌虛臺)란 백제 근조고왕 27년부터 개로왕 21년까지 사신들이 중국을 왕래할 때 출발했던 나루터) 송도란 이름은 이곳이 마치 섬과 같이 생기고 소나무가 많아서 붙여진 동명에서 유래
◉ (466) 용현(龍現) 인천시 남구 용현동은 1906년 5월 인천부가 동리명을 개정할 때 독정리 비룡리로 개칭되 그 후 1946년 1월 1일 광복 후 용형동리라 개칭하였다, 남구는 인천광역시 남쪽에 돌출한 해안선을 따라 남동구와 접해있는 용정동은 옛 용정리 앞바다에서 장마 때 용이 승천하였다는 전설에서 생긴 동명에서 유래
◉ (467) 남부(南部) 인천의 행정구역인 동부, 서부, 남부, 북부의 하나인 인천남부지명에서 유래
◉ (468) 국제여객터미널(國際旅客터미널) 중구 항동7가 85-72번지에 위치한 국제여객터미널에서 유래
◉ (469) 인천(仁川) 수인선종착역이며 ☞ (☯ 수도권전철 1호선과 연개)
☟ 인천 지하철 2호선 경량전철 계획
※ 인천 지하철 2호선 노선 사실상 확정
2007년 ~ 2014년 사업규모 27개 정거장, 서구 오류동〜검단사거리~공항철도 경서역~서구청〜가정오거리〜주안역〜인천시청〜남동구청〜인천대공원을 잇는 연장 28.9㎞이다. 시는 인천도시철도 2호선에 경전철 시스템을 도입키로 하고, 건설교통부와 기획예산처에 타당성 예비조사와 국비대상 사업 선정을 요청했다. 시는 2호선을 오는 2008년 착공해 2014년 말 완공을 목표로 추진중이며, 정거장 26곳과 차량기지 1곳이 들어설 예정이다. 2호선은 경인전철과는 주안역에서, 인천1호선과는 인천시청역에서 환승하게 된다.
※ 미개통구간의 역명은 모두 가칭이며, 차후 변경될 수 있다
◉ 201 오류 ◉ 202 ◉ 203 검단1구 ◉ 204 검단 검단신도시 원당지구
◉ 205 검단2지구 ◉ 206 당이지구 ◉ 207 신공항고속도로 ◉ 208
◉ 209 ◉ 2010 서구청 ◉ 211 가정지구 ◉ 212 가좌공단 ◉ 213
◉ 214 ◉ 215 가좌IC ◉ 216 ◉ 217 ◉ 218 주안역 ◉ 219 ◉ 220
◉ 221 시청역 ◉ 222 ◉ 223 ◉ 224 연수지구 ◉ 225 남동구청
◉ 226 인천대공원
☟ 우이∼ 신설 경전철 계획
우이∼미아∼신설 경량전철은 10.7㎞에 13개 정거장이 들어서고 모두 지하로 건설된다. 총 투입비용은 7300억원으로, 기존 지하철보다 차량 자체가 적고 한번에 2량 정도가 운행될 것으로 보인다. 차량은 무인자동운전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소음과 에너지 소모가 적은 친환경적 차량으로 설계된다. 건교부는 "우이∼신설 경량전철이 완공되면 서울의 대표적인 대중교통 취약지역 중 하나인 미아·정릉지역 교통난이 해소되고 현재 길음 및 미아뉴타운지역의 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수유동에서 삼양 사거리, 정릉, 아리랑 고갯길, 성신여대입구(4호선 환승) 보문역(6호선 환승) 신설역(1, 2호선 환승)을 연결하는 사업이다, 역명은 미정이다,
◉ (L 01) ◉ (L 02) ◉ (L 03)◉ (L 04) ◉ (L 05)◉ (L06) ◉ (L07) (L 08)◉ (L 09) ◉ (L 10) ◉ (L 11) 선신대, (L 12) 보문역 ◉ (L 13) 신설역
☟ 용인 경전철 계획
철도 및 지하철에 비해 건설비가 저렴하고 입체적인 도로 공간의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적은 사업비로도 건설이 가능합니다. 버스와 지하철의 중간 규모의 수송능력이 있으면서도 최첨단 정밀, 자동화된 무인 운전으로 운영되어 급증하는 교통수요에 적절한 대처가 가능한 대중교통시스템입니다. 경량전철 시스템은 전용궤도에서 운행되므로 지상의 도로 교통체증 등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이동시간이 대폭 단축되어 러시아워 시간대에도 목적지까지 정확한 시간에 도착할 수 있습니다.
경량전철 시스템은 동력원으로 환경친화적인 전기를 사용하기에 배기가스 등 오염물질을 전혀 배출되지 않으며 소음과 진동이 적어 승차감이 뛰어나고 열차운행시 전력, 업무 등의 제반설비를 종합상황실에서 하므로 정시성과 안정성, 효율성 등에서 아주 뛰어납니다.
용인경전철은 용인시 기흥구 구갈동의 “구갈역”을 출발하여 포곡면 전대리의 “전대•에버랜드역”에 이르는 총 연장 18km의 노선에15개의 역사와 차량기지 1개소로 운영될 예정으로, 2011년 말 오리와 수원을 연결하는 분당선 연장선이 완공되면 출발역인 구갈역에서 분당선 연장선의 기흥역으로 환승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노선을 간략히 설명드리면, 현 녹십자 부지에 위치한 구갈역을 출발하여, 구갈지구와 동백지구 등의 주거지역을 통과하여, 용인시 중심가에 위치한 금학천 천변도로와 경안천 고수부지를 종단한 후 둔전리 지역을 통과하여 에버랜드 앞에 위치한 종착역 전대•에버랜드역에 도착하게 되는데, 총 소요 시간은 30분 정도로 예상 됩니다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결정된 역 이름은 구갈역 - 강남역 - 지석역 - 어정역 - 동백역 - 초당역 - 삼각역 - 시청용인대역 - 명지대역 - 김량장역 - 운동장 송담대역 - 고진역 - 보평역 - 수포역 - 전대·에버랜드 등이다,
◉ 1 구갈(舊葛) (☯ 분당선) 구갈역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한 용인경전철의 전철역이다. 용인시에서 최초 개통된 경전철역으로 인근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 경기도 용인시에서 사업비의 대부분을 부담해 신설하였다 오리역~수원역 간 19.5㎞의 분당선 연장선과 구갈역과 만나 환승이 이뤄진다. 서울에서 분당을 거쳐 수원으로 이어지는 분당선 연장선과 연결되면 용인경전철 이용객이 연결 전보다 30% 이상 늘어날 것으로 용인시는 보고 있다.
☞ 구갈동 유래 본래 용인현의 구흥면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을 개편할 때 구흥면의 하관곡리와 내기, 갈곡을 합쳐 구갈리라 함. 1914 부,군,면 개편당시 기곡면 일원, 구흥면 일원, 지내면의 덕용, 영통 2개동을 합치고 내읍삼면의 일부를 합친 후 기곡면에서의 “기”자와 구흥에서의 “흥”자를 따서 기흥면이라 칭함 2005년 10월. 1일 용인시 3개구 신설로 기흥구 구갈동으로 행정구역변경 (구갈동 신설)
◉ 2 강남대(江南大) 경기도 기흥구 구갈동 산 111번지에 1936년 설립한 강남대학교의 이를을 따 제정하였다,
◉ 3 지석역(지석역) 동백 초입구의 신일유토빌단지 (용인시 동백지구에서 `지석역 임광 그대가 아파트)앞에 이름 따 추가역 확정과 동시에 역사명을 지석역으로 확정되었습다,
◉ 4 어정역(漁汀驛)은 현재의 용인시 기흥구 어정동에 위치했던 수려선의 역이였다. 신갈~삼가 사이에 위치했던 역으로 역일대는 텃밭으로 변했으며 역사가 있던 자리는 공터로 남아있다. 현재 새로운 어정역이 용인경전철에 건설되고 있다.
◉ 5 동백역(東栢驛) 동명에서 명명되었다, 본래 용인현 동변면(洞邊面)에 속했던 지역으로 동막(東幕)과 백현(栢峴)을 합치고 두마을 명칭의 두문자를 합쳐서 동백리라 하였으며 2005. 10. 31일 구청개청에 따라 동백동으로 변동
◉ 6 초당(草堂) 처인구 삼가동 서쪽에서 구성 초당곡으로 넘어가는 옛 지명에서 제정
◉ 차량기지
◉ 7삼가역(三街驛)은 현재의 용인시 처인구에 위치했던 수려선의 역이였다. 신갈~삼가 사이에 위치했던 역으로 역일대는 텃밭으로 변했으며 역사가 있던 자리는 공터로 남아있다. 현재 새로운 삼가역이 용인경전철에 건설되고 있다.
☞ 삼가동은 용인읍 지역으로 1996년 3월 1일 용인군이 시로 승격되면서 역북리와 삼가리를 합쳐 “역삼동”이라 하였다. 삼가동 서쪽에서 구성 초당곡으로 넘어가는 길 즉, 용인정신병원쪽으로 넘어가는 작은 메주고개로 가는 세갈래 길이 있어서 세거리, 삼가리, 삼거동으로 불리웠으며 1914년 행정구역을 개편할 때 수여면의 서동(西洞)을 합쳐서 삼가리라 하고 용인면의 일부가 되게 하였다. 삼거동, 새터말, 궁촌, 메주고개, 상직동, 주막거리 등 소지명이 있다.
◉ 8 시청·용인대(市廳 龍仁大) 인근에 용인시청이 있으며 1985년 2월 현재의 용인 캠퍼스로 이전한 후 1988년 12월 4년제 정규대학으로 개편되었다. 1992년 3월 용인대학교로 교명을 바꾸었다.
◉ 9 명지대(明知大) 인근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동산 38-2번지에 위치한 명지대학교에서 제정하였다,
◉ 10 김량장역(金良洞驛)은 동명에서 명명되었다, 고려시대에 김령역이 있었으며, 조선시대에는 김령역·김령원이 있었다. 시장이 섰으므로 김령장이라고도 불렀는데, 뒤에 변음되어 '김량장'이 되었다. 2005년 용인시 3개구청 신설에 용인시 처인구 김량장동으로 변경되었다. 일설에 의하면 김량이라는 사람이 맨 처음 시장을 벌여, 그의 이름을 따서 김량장이라고 불렀다고도 한다. 조선 영조 때의 『읍지』를 보면, 김량장이라는 장시의 명칭이 보이고 있어, 김량장의 유래가 오래된 것임을 알 수 있다.
◉ 11 운동장·송담대(運動場 송담대) 인근에 공설운동장과 송담대학교가 위치해있어 제정
◉ 12 고진
◉ 13 보평
◉ 14 수포
◉ 15 전대·에버랜드 2010년 6월 용인 경전철(에버라인)이 기흥(구갈)역부터 전대(에버랜드)역까지 개통되면 더 쉬운 접근이 가능해진다
※ 에버랜드 리조트는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에 있는 놀이동산(테마파크)으로, 1976년 용인자연농원으로 처음 개장한 이래 대한민국의 놀이동산 중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한다. 1996년 에버랜드로 개명하였고 2002년 세계 유원지 입장 관객수 순위에서 6위에 올랐다. 원래 에버랜드는 안성시 (당시 안성군)에 지어지려고 했으나 안성 시민들이 지나치게 반대하여 결국 삼성은 용인시에 에버랜드를 짓게 되었다. 에버랜드 리조트에는 놀이 기구뿐 아니라 동물원과 ‘캐리비안 베이’라는 이름의 워터파크를 가지고 있다. 에버랜드 리조트는 삼성그룹의 계열사 중 하나인 삼성에버랜드에서 관리하고 있다.
☟ 의정부 경전철 계획
의정부경전철은 의정부시 시내 탑석 ~ 발곡간 노선에 C자형으로 건설되는 경전철이다. 2011년 8월에 완공될 예정이다. 경전철이란? 건설비가 지하철에 비해 월등히 저렴하고 입체적 도로공간 활용이 가능하며 지하철과 버스의 중간 규모의 수송력을 갖추고 있으며 정밀하고 자동화된 무인 운전으로 운영되어 운영비 절감이 가능한 최첨단 대중교통 시스템입니다. 목적지까지 이동시간 단축과 정확한 배차시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대기오염 및 진동소음이 적은 환경 친화적 교통수단입니다.
※ 미개통구간의 역명은 모두 가칭이며, 차후 변경될 수 있다
◉ (110) 발곡 정거장 : 옛 지명의 "발이술리"에서 유래
◉ (111) 회룡 정거장 : 현재 경원선(수도권전철1호선)의 전철역명을 사용
◉ (112) 범골 정거장 : 옛날 마을 뒷산에 동굴이 하나 있는데 범이 많이 살 았다 하여 동굴 이름을 범굴이라 했다하여 붙여진 이름
◉ (113)의정부 정거장 : 현재 경원선(수도권전철1호선)의 전철역명을 사용
◉ (114) 의정부시청 정거장 : 의정부시청의 고유 명칭을 사용
◉ (115) 흥선 정거장 : 현재의 가능3동사무소 옆에 흥선대원군의 직곡산장 이 있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 ♦ (116) 역명없음
◉ (117) 중앙 정거장 : 의정부의 중앙에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 (118) 동오 정거장 : 옛 마을 명칭이 동오리에서 유래
◉ (119) 새말 정거장 : 조선 성종의 열 번째 아들 경명군의 후손들이 이 곳 에 와서 마을을 새로 개척해 살기 시작하여 붙여진 이름
◉ (120) 경기도 제2청사 : 경기도 제2청사의 고유 명칭을 사용
◉ (122) 효자 정거장 임진왜란때 의병장 정문부의 효성을 기려 어룡골 뒤 에 봉유리를 효자봉이라 불렀다는데서 유래
◉ (123)곤제 정거장 : 지금으로부터 약 500여년전 양주조씨 두 형제가 이 곳에 와서 마을을 개척하고 살기 시작하였다고 해서 곤제라 불리움
◉ (124) 이룡 정거장 : 효자봉 형세가 갈용음수형으로 마치 용이 누워서 부용천 물을 마시는 것과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
◉ (125) 송산 정거장 : 송산 조견이 "충신은 두 임금을 섬기지 아니한다"하 여 새왕조의 부름을 여러번 받았으나 벼슬을 버리고 이 곳에서 한 거하였다고 해서 유래된 지명으로 송산동의 중심에 위치
◉ (126) 탑석 정거장 : 옛날에 돌로 만든 탐이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 차량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