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게회

쪄낸성개

성게,전복물회

전복성게국

성게(제주도 말로 구살)
인심은 성게국에서 난다”는 속담이 있다. 성게 알을 얼마나 많이 넣고 국을 끓이느냐에 따라 얼마나 귀한 손님으로 대접을 받았는가 하는 척도가 되었던 모양이다.
성게는 여름철 별미다.
과일도 제철 과일이 몸에 좋다고 하듯이, 요즘처럼 무더위가 기승을 부릴 땐 더없이 좋은 보양식이다.
성게는 전 세계에 800여 종이 서식하고 있다. 우리 제주 해역에는 식용으로 할 수 있는 보라성게, 분홍성게, 말똥성게가 주종을 이룬다.
성게는 가시 돋친 극피동물을 대표한다. 선조들은 이들 가시가 밤송이처럼 보였는지 성게를 ‘밤송이조개’라 불렀다. 그래서인지 ‘자산어보’는 성게를 율구합(栗毬蛤)이라 기록하고 있다.
최근에는 성게알젓, 성게미역국이 인기를 끌면서 기호에 따라 다양한 조리법이 개발되고 있다.
성게가 좋은 점은 엽산 함유량이 높아 소화흡수에 좋고, 단백질과 비타민, 칼슘, 인, 철분, 무기질, 사포닌, 아연 등이 많아 산후조리, 자양강장, 알코올 해독 등에 좋다.
특히 한의학에서는 성게를 해담이라고 명명하여 결핵뿐만 아니라 가래를 제거하는 거담 작용도 뛰어나다고 한다.
제주도에서 성게는 잠수들이 직접 손으로 채취하는 고급 수산물이다. 일본에서는 성게를 운단이라 하여 고급 식당에서나 구경할 수 있을 만큼 아주 귀한 고급식품이다.
요즘 제철을 만난 성게는 알이 살쪄서 입안에서 녹는 맛이 기가 막히다.
도내 바닷가마다 성게를 채취해서 가족들이 둘러 앉아 알을 까는 모습도 정겨운 어촌풍경이 되었다.
관광객들도 싱싱한 성게를 현장에서 구입해서 그 맛을 본다면 행복한 추억 만들기가 될 것이다.
무더위에 지친 분들에게 성게 알은 아주 귀하고 뜻 깊은 선물이 되지 않을까.
성게국 만들기
* 요리재료 : 전복 4~5마리, 성게 한줌 ,참기름,소금약간,국간장 1술
-미역을 불려서 썰고 참기름, 쪽파, 깨소금, 국간장을 넣어 버무린다. 물이 끓으면 위의 양념된 미역을 먼저 넣어 한소끔 끓이고나서
성게알을 그 위에 붓고는 다시 한번 끓인다. 너무 오래 끓이면 쓴맛이 생긴다.
- 미역과 오분자기를 참기름으로 살짝 볶은 후 한소끔 끓인 후 성게국과 국간장, 소금으로 간만하면
맛깔나는 성게국이 완성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