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학십도(聖學十圖)》
(1) 《성학십도(聖學十圖)》에 관하여
조선 중기의 유학자 이황(李滉)이 선조 1년(1568) 12월에 선조에게 올린 상소. 17세의 나이로 왕위에 오른 선조에게 68세의 노대신(老大臣)이 즉위 원년에 경연(經筵)에 입시하였을 때 올린 글이다. 선조가 성군이 되기를 바라는 뜻에서, 군왕의 도(道)에 관한 학문의 요점을 그림으로 설명하였다. 성학(聖學)이라는 말은 유학을 가리키며, 모든 사람으로 하여금 성인이 되도록 하기 위한 학문이라는 뜻이 담겨 있다. 《성학십도》는 서론의 내용이 담긴 <진성학십도차(進聖學十圖箚)>와 10개의 그림 및 해설로 되어 있다. <진성학십도차>에서는 왕 한 사람의 마음의 징조가 중요함을 강조하면서 경(敬)의 내면화를 중요시한다. 십도(十圖)란 태극도(太極圖)·서명도(西銘圖)·소학도(小學圖)·대학도(大學圖)·백록동규도(白鹿洞規圖)·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인설도(仁說圖)·심학도(心學圖)·경재잠도(敬齋箴圖)·숙흥야매잠도(夙興夜寐箴圖)의 10가지 그림이다. 그림 가운데 5개는 천도에 근원하여 성학을 설명한 것이고, 나머지 5개는 심성에 근원하여 성학을 설명한다. 7개는 옛 현인들이 작성한 것이고, 3개는 이황 자신이 작성하였다. 《성학십도》는 그림과 함께 앞부분에 경서(經書)와 주희(朱熹) 및 여러 성현의 글을 인용한 다음 퇴계 자신의 학설을 전개하고 있다.
(2) 《성학십도(聖學十圖)》요약
도(圖)의
순서 |
명 칭 |
구성에 따른 저자 |
기본 내용 |
도(圖) |
설(說) |
해설 |
보설
(補說) |
제1도 |
태극도
(太極圖) |
주돈이
(周敦頤) |
주돈이(「태극도설(太極圖說)」) |
주희
(朱熹) |
이황
(李滉) |
우주의 근원인 태극에서 음양과 오행을 거쳐 인간과 만물이 생겨나는 과정을 설명함. |
천도
(天道) |
제2도 |
서명도
(西銘圖) |
정복심
(程復心) |
장재(張載)(「서명(西銘)」) |
주희/양시(楊時)/요로(饒魯) |
이황 |
<상도>는 이일분수(理一分殊)를 설명하고, <하도>는 하늘을 섬기는 것이 부모를 섬기는 것과 같아야 함을 설명함. |
제3도 |
소학도
(小學圖) |
이황 |
주희(「소학제사(小學題辭)」) |
주희 |
이황 |
소학을 통해 오륜을 비롯한 유교의 실천 규범에 대해 설명함. |
제4도 |
대학도
(大學圖) |
권근(權近) |
대학 경1
장(經一章) |
주희 |
이황 |
대학의 경 1장을 통해 삼강령과 팔조목을 설명하고, 공부하는 과정과 효과에 대해 설명함. |
제5도 |
백록동규도
(白鹿洞規圖) |
이황 |
주희(「동규후서(洞規後敍」) |
* 해설 없음 |
이황 |
오륜의 규범과 오교의 가르침에 따른 학문의 요체를 설명함. |
제6도 |
심통성정도
(心統性情圖) |
상도(上圖) : 정복심
중도(中圖) : 이황
하도(下圖) : 이황 |
정복심(「심통성정도설(心統性情圖說)」) |
* 해설 없음 |
이황 |
사단과 칠정을 설명함. |
심성
(心性) |
제7도 |
인설도
(仁說圖) |
주희 |
주희(「인설(仁說)」) |
* 해설 없음 |
이황 |
인(仁)의 의미와 인의 실현에 대해 설명함. |
제8도 |
심학도
(心學圖) |
정복심 |
정복심(「심학도설(心學圖說)」) |
* 해설 없음 |
이황 |
몸의 주재인 마음과, 마음의 주재인 경(敬)의 구조를 밝혀 경이 심학의 근본임을 설명함. |
제9도 |
경재잠도
(敬齋箴圖) |
왕백(王栢) |
주희(「경재잠(敬齋箴)」) |
주희/오징(吳澄)/진덕수(眞德秀) |
이황 |
심(心)을 중심에 두고, 경을 실천하는 세부 항목에 대해서 여러 가지 상황을 중심으로 설명함. |
제10도 |
숙흥야매잠도
(夙興夜寐箴圖) |
이황 |
진백(陳柏)(「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 |
* 해설 없음 |
이황 |
경을 중심에 두고, 하루 동안의 시간에 따른 공부 방법에 대해 설명함. |
(3) 《성학십도(聖學十圖)》
<제1 태극도(第一太極圖)>

<제2 서명도(第二西銘圖)>

<제3 소학도(第三小學圖)>

<제4 대학도(第四大學圖)>

<제5 백록동규도(第五白鹿洞規圖)>

<제6 심통성정도(第六心統性情圖)>


<제7 인설도(第七仁說圖)>

<제8 심학도(第八心學圖)>

<제9 경재잠도(第九敬齋箴圖)>

<제10 숙흥야매잠도(第十夙興夜寐箴圖)>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