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인구100만명 돌파...'밀리언 시티'
경기 용인시가 인구 100만 명을 돌파했다
100만명의 '밀리언 시티'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대도시의 기준이다
수도권의 어정쩡한 도농 혼합지역이 1995년 시 승격 22년 만에 거둔 외형 성장은 축하할 만 하다
기초 지방자치단체 주 밀리언시티는 수워노가 고양과 경남창원 정도뿐이다
1970년 대 초만 해도 10만 명을 밑돌던 용인이 시 승격 때 24만 명에서 20여 년 만에 또 4배로 커진 비약적 성장은
의미가 깊다
무엇보다 메갈로 폴리스 로 커진 메트로 서울의 어엿한 발전축이 됐다
서울강남~성남~용인~수원~화성~평택의 수도권 남부벨트는 산업화, 집적화 , 동시화로 변모한 현대 한국의 대표적 지역이다
물론 성장의 그늘도 무시할 수없다
난개발 ,과밀화 베드타운화 같은 도시화로 변모한 현대 한국의 대표적 지역이다
수도권 도시들은 국토균형발전을 저해한 당사자라는 비판까지 받고 있다
이런 구조적 문제는 성남을 비롯해 부천 안산 화성 같은 준 밀리언시티들이 함께 느끼는 애로다
밀리언시티들은 기업유치 등 투자활성화로 서울 의존도를 낮추고 단체장과 기초의회는 '여의도 정치의 하청업자'수준에서
벗어나 지방분권, 자치 발전을 자율로 이뤄야 할 책무가 있다
외형성장만 내세울 게 아니라 덩칫값을 해야한다
재정자립,풀뿌리 민주주의 정착, 건전한 지역 경쟁은 중앙과 지방이 함께 고민해야 할 과제다
정부로선 수도권이 아닌곳에선 왜 밀리언시티가나오지 않는가도 진지하게 고밀할 필요가 있다
특별자치시라는 특별한 지위에 국가적 지원이 집중된 세종시도 인구 26만명 선에 그친다
반면 동해안의 소도시 울산으 대규모 공업단지 덕에 일지감치 미릴언시티가 됐고 광역시 지위를 누린지도 한참
억눌러도 수도권은 커지고 수요와 자립기반이 없는 지방 혁신 도시들은 그대ㅣ로인 이유는 무엇인가
집적화의 이점과 도시지역의 앞선 인프라를 기반으로 하는 경제 산업이 성장하는 것은 자연스런 현상이다
그런 과정에서 도시형 일자리도 생긴다
수도권에 대한 인식도 바뀔 때가 됐다.
02-557-0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