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 간 |
내 용 | |
09:30-09:50 |
등 록 | |
09:50-10:00 |
개회식 개회사 인사말: 학회 회장 박동호(회장, 경희대) |
사회: 박성태(성균관대)
|
<제1부> 주제 특강 | ||
10:00-10:50 |
주제 특강1 음운론 및 대조언어학과 관련된 발음 교육 연구 동향 |
사회: 우창현(대구대) 발표: 허 용(한국외대) |
10:50-11:00 |
휴 식 | |
11:00-11:50 |
주제 특강2 음성학을 활용한 발음 교육 및 습득 연구 동향 |
사회: 강현화(연세대) 발표: 김선정(계명대) |
11:50-13:30 |
점심 식사 |
<제2부> 분과별 발표 | |||
|
Session 1 한국어 발음 교육I 사회: 김용경(경동대) |
Session 2 한국어 발음 교육II 사회: 정희창(동덕여대) |
Session 3 한국어 어휘 및 문법 교육 사회: 이병규(서울교대) |
13:30-14:00 |
일본어 동경 방언과 경판 방언 화자의 한국어 억양 연구 |
우리말 어두 유음의 변이음에 관한 연구 |
어휘 계량단위 재고 -어휘 계량의 언어 간 대조의 관점에서- |
발표: 우에다 아스카,권성미(부경대) 토론: 이상직(충남대) |
발표: 조남민(한국기술교육대) 토론: 정호성(국립국어원) |
발표: 민경모(계명대) 토론: 김명광(대구대) | |
14:00-14:30 |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의 연음규칙 적용에 관한 연구 |
발음 영역 채점에 있어서 채점자 특성에 따른 채점 경향 연구 |
어휘 기능 범주 이론에 관하여 |
발표: 정미지(서울시립대) 토론: 김성규(서울대) |
발표: 이향(이화여대) 토론: 이선웅(경희대) |
발표: 이영제(고려대),김의수(외대) 토론: 조용준(건국대) | |
14:30-15:00 |
KSL 교재에 나타난 발음 교육 항목에 대한 분석과 교육 방안 |
중국어권 여성 학습자들의 학습단계별 한국어 단모음의 발음습득 연구 |
비유를 활용한 감정 표현 교육 연구 |
발표: 손달임(한국기술교육대) 토론: 강현자(계명대) |
발표: 장국화(배재대) 토론: 진정란(한국사이버외대) |
발표: 타니자키 미쯔코(서울대) 토론: 권경일(경희대) | |
15:00-15:30 |
휴 식 | ||
|
Session 4 한국어 발음 교육III 사회: 최윤곤(동국대) |
Session 5 한국어 기능 교육 사회: 김정남(경희대) |
Session 6 한국 문화 교육 사회: 이선이(경희대) |
15:30-16:00 |
잘 듣고 따라하세요? -지각적 환상에 대한 음성학적 접근 |
Vygotsky의 언어 발달과 읽기의 의미 구성 연구 |
교수요목을 통한 한국문화 교육의 위계화 방안 연구 |
발표: 윤은경(대구사이버대) 토론: 진문이(서울대) |
발표: 김희경(한성대) 토론: 박정진(가톨릭대) |
발표: 김해옥(연세대) 토론: 윤영(호남대) | |
16:00-16:30 |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발음 교재 분석 |
학문 목적 중국인 학습자의 수준별 요약문 쓰기 전략 분석 |
한국문학의 인지학적 교육방안 |
발표: 박지윤(이화여대) 토론: 김상수(동명대) |
발표: 이은경(연세대) 토론: 배현숙(동국대) |
발표: 신주철(한국외대) 토론: 김종수(경희대) | |
16:30-17:00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실제와 효과적인 지도 방안 |
한국어사 지식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 교육방안의 다양화를 위한 시론 |
발표: 백로(곡부사범대) 토론: 임형재(한국외대) |
발표: 권화숙(세명대) 토론: 조태린(대구대) |
발표: 이희정(대구대) 토론: 오지혜(세명대) | |
17:00~ |
총 회 사회: 박성태(성균관대)
폐회사: 박동호 (회장, 경희대) |
포스터 발표 |
원카이(한국외대 석사): 한국어 음운단어의 음높이에 대한 연구 미설(한국외대 석사): 중국어 성조가 한국어 한자음에 미치는 영향 최현아(한국외대 석사): 악센트/강세에 따른 한국어와 영어 낱말의 운율 비교 연구 양선미(한국외대 석사): 한국어 강세구의 피치 패턴에 대한 연구 김미영(세명대 석사): 동화를 활용한 단계별 한국어 글쓰기 이현숙(선문대 석사): 결혼이민자의 다문화정책 참여 실태에 관한 연구 전경미(인하대 석사):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 명절문화 인식과 갈등 전경미(인하대 박사): A Case Study on Types of Conflict Multicultural Adolescents Experience 정경희, 김미라(인하대 석사): Analysis of the Career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s 정소민(인하대 석사), 정가흔, 김효진, 배혜선(학익여고):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Activity' in out-of-school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최승은(인하대 석사): A Study on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tudents through Multicultural Chorus Music Activity 팜티휀짱, 김수경(인하대 석사): The bilingual education phenomena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cus on Korean & Vietnamese language 이미정(인하대 박사): The role of the regional public library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