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장축산물시장 국립농관원 축산물 이력관리

서울시 성동구에는 마장축산물시장이 있습니다.
성동구청 홈페이지에서는 마장축산물시장을 “1963년 도축장이 들어서면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마장동 우시장이 1998년 주변개발로 도축장이 타 지역으로 이전하면서 현재의 마장축산물시장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수도권 축산물유통의 60~70% 담당하고 있는 축산물 전문 도·소매시장으로, 1,500여개 점포에 연간 이용객 수가 200만 명에 달하는 국내 최대의 축산물시장이다. 주변에 청계천을 끼고 있어 관광과 쇼핑을 함께 할 수 있는 곳으로, 확실한 정품·정확한 정량·저렴한 정찰가격으로 승부하는 상인들과 국내산 한우의 깊은 맛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곳이다.”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마장축산물시장은 1,500여개 점포가 있다고 합니다. 입구에 들어서니 특수부위, 부산물, 등심, 삼겹살 등 다양한 고기를 판매하는 상점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축산물하면 쇠고기, 돼지고기 등이 가장 먼저 떠오릅니다. 한우는 언제 먹어도 맛있는 고기이며, 돼지고기 또한 많은 사랑을 받는 음식입니다.
축산물하면 또 떠오르는 게 있지 않나요? 바로 국민이 안심하고 축산물을 먹을 수 있게 노력하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하 농관원)의 축산물이력관리입니다.

축산물을 판매하는 상점에 ‘축산물 (소) 등급판정확인서’가 있습니다. 등급판정확인서에는 신청인, 도축장, 이력번호, 품종, 성별, 중량, 등급 등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판매하고 있는 한우꽃등심과 모듬부위의 이력번호가 ‘축산물 (소) 등급판정확인서’와 같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이제부터 축산물이력관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축산물이력관리는 “가축 및 축산물의 생산ㆍ도축ㆍ가공ㆍ유통과정의 각 단계별 정보를 기록ㆍ관리하여 문제 발생 시 이동경로를 따라 추적하여 신속한 원인 규명과 회수 등 조치를 가능하게 위해 시행하고 있는 정책"입니다. 축산물이력관리가 도입된 배경은 유럽과 일본, 미국의 광우병 발생 등으로 국내 소비자들의 식품위생 및 안전성에 관심이 높아져 이력제 필요성이 제기됐고 EU, 일본, 호주 등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미국도 개체식별시스템을 통해 질병관리 등에 활용하는 등 다수 국가에서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도입되었습니다.

▲ 농관원 홈페이지, 축산물 이력관리
축산물 이력관리는 ‘농관원 홈페이지 -> 업무소개 -> 원산지관리 -> 축산물 이력관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농관원 홈페이지에서 축산물 이력관리를 보면, 소고기는 “소 출생시 개체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최종 쇠고기 판매단계까지 동일한 번호가 기록·유지되도록 관리”한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돼지고기는 “농장식별번호를 부여하여 관리하고 도축 시 이력번호를 부여하여 유통단계 관리”를 합니다. 위 마장축산물시장에서 본, ‘축산물 (소) 등급판정확인서’의 소 이력번호는 소 출생 시부터 부여된 개체식별번호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농관원은 소고기와 돼지고기 이력관리 중 “포장처리·판매 지도감독”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산 소고기의 식육판매업소, 포장처리업소, 유통전문판매업소에 대해 지도, 감독하고 있으며, 시정명령, 출입검사, 과태료 부과·징수의 행정지도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식육포장처리업소는 이력번호 표시·관리로 “△ 가공업체 등으로부터 매입한 이력대상 축산물을 포장할 경우 이력번호 단위로 가공하고, 이력번호 단위 가공이 어려울 경우 여러 개의 이력번호를 혼합하여 묶음번호 구성 후 가공, △ 이력(묶음)번호 단위로 매입내역을 기록ㆍ관리 및 전산신고, △ 포장처리실적(묶음번호 구성내역 포함) 기록ㆍ관리 및 전산신고, △ 반출시 거래내역 기록ㆍ관리 및 전산신고, △ 이력(묶음)번호는 속ㆍ겉포장지, 거래내역서에 표시”를 해야 합니다.
식육판매업소는 이력번호 표시·관리로 “△ 식육 포장업체 등으로부터 매입한 이력대상 축산물을 판매할 경우 축산물 또는 포장육 등에 표시된 이력(묶음)번호를 확인한 후 축산물 또는 식육표시판에 같은 번호를 표시, △ 이력번호가 다른 여러 개의 동일 축종의 축산물을 한 개로 포장할 경우 묶음번호를 표시할 수 있음. 이력번호가 다른 여러 개의 동일 축종의 축산물을 한 개로 포장할 경우 묶음번호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식육판매업소의 경우 여러 이력번호의 축산물을 한 개로 포장 처리, 판매할 경우 이력축산물 묶음번호를 표시해야 합니다.

▲ 농관원 홈페이지, 묶음번호 구성체계
묶음번호는 설명한 것처럼, 여러 이력번호의 축산물을 혼합해 판매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럴 경우 묶음번호를 표시해야 하는데, 쇠고기는 20마리 이하, 돼지고기는 이력번호 30개 이하로 합니다. 단, 쇠고기 갈비, 세절육, 분쇄육 등은 50마리 이하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 축산물이력제 홈페이지 (http://aunit.mtrace.go.kr/)
구입한 축산물의 개체식별번호, 이력번호, 묶음번호를 축산물이력제 홈페이지에 입력하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축산물 이력정보 앱의 세부사항
모바일 앱 ‘축산물 이력정보’로 축산물이력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앱에서 조회 후, 세부사항을 터치하면 위와 같이 다양한 정보를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재밌는 부분은 조회건수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10월 25일 기준으로 소 이력번호 ‘002097056919’ 총 6,278,711건이 조회됐고, 10월 25일에는 11,300건이 조회됐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력번호로 소의 출생년월일, 소의 종류, 성별, 도축일자, 육질등급, 구제역 예방접종최종일자, 브루셀라 검사최종일자, 결핵검사, 각 부위와 부산물 생산량까지 소의 모든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 농관원 홈페이지 원산지 정보
농관원에서는 원산지 식별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농관원 홈페이지 -> 정보광장 -> 원산지식별정보’에서는 곡류, 잡곡류, 축산물류 등 13종류의 다양한 농축산물의 원산지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각 품종에 따라 세부적인 정보도 제공하고 있으니 농축산물 구입 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돼지고기는 삼겹살(냉동, 냉장), 흑돼지 삼겹살, 돼지등뼈, 돼지등갈비, 목심(냉동, 냉장), 족발 등의 원산지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쇠고기는 쇠갈비, 등심, 사태, 양지 쇠꼬리, 우족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농관원의 축산물이력관리는 소비자가 안심하고 축산물을 구매하고 먹을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정책입니다. 축산물 구입 시 축산물 이력번호, 묶음번호, 개체식별번호를 활용해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