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 『도덕경』제14장
[원문]
“시지불견 명왈이 청지불문 명왈희 박지불득 명왈미 차삼자 불가치힐 고혼이위일
視之不見 名曰夷 聽之不聞 名曰希 搏之不得 名曰微 此三者 不可致詰 故混而爲一”
“보아도 보이지 않는 것을 이름하여 ‘이’라 하여 보자
들어도 들리지 않는 것을 이름하여 ‘희’라 하여 보자
잡아도 잡히지 않는 것을 이름하여 ‘미’라 하여 보자
이 세 가지로도 밝혀 낼 수 없는 것
그래서 세 가지가 하나로 혼연 일체를 이룬 상태”
[왕필주]
“無狀無象 無聲無響 故能無所不通 無所不往 不得而知 更以我耳目體 不知爲名 故不可致詰 混而爲一也”
“모양(狀)도 없고 형상(象)도 없으며, 소리(聲)도 없고 울림(響)도 없다.
그러므로, 통하지 않는 곳이 없으며, 가지 못하는 곳도 없다.
알 수가 없어서 다시 나의 청각·시각·촉각을 가지고도 무엇이라고 이를 불러야 될지 모른다. 그러므로, 어 이상 어떻게 따져 볼 수 없으니, 뒤섞여서 하나(1)로 여긴다.”
[원문]
“기상불교 기하불매 승승불가명 복귀어무물 시위무상지상 무물지상
其上不曒 其下不昧 繩繩不可名 復歸於無物 是謂無狀之狀 無物之象”
“그 위라서 더 밝은 것도 아니고 그 아래라서 더 어두운 것도 아니다
끝없이 이어지니 무어라 이름 붙일 수도 없다
결국, ‘없음’의 세계로 돌아간다
이를 일러 ‘모양 없는 모양’이고 아무것도 없음의 형상이라 한다”
[왕필주]
“欲言無邪 而物由以成 欲言有邪 不見其形 故曰無狀之狀 無物之象”
“없다고 말하려 해도 사물이 (이것을) 말마암아서 완성되고, 있다고 말하려 해도 그 형체를 알 수 없다. 그러므로, ‘모양없는 모양이고, 사물없는 형상이다’라고 한 것이다.”
[원문]
“시위홀황
是謂惚恍”
“이것을 ‘황홀’이라 하겠다”
[왕필주]
“不可得而定也”
“정할 수 없다.”
[원문]
“영지 불견기수 수지 불견기후 집고지도 이어금지유
迎之 不見其首 隨之 不見其後 執古之道 以御今之有”
“앞에서 맞아도 그 머리를 볼 수 없고
뒤에서 좇아도 그 뒤를 볼 수 없다
태고의 도를 가지고 오늘의 일을 처리하라”
[왕필주]
“有有其事”
“본문의 有는, 그 일이 있는 말이다.”
[원문]
“능지고시 시위도기
能知古始 是謂道紀”
“태고의 시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일컬어 ‘도의 실마리’라 한다”
[왕필주]
“無形無名者 萬物之宗也 雖今古不同 時移俗易 故莫不由乎此 以成其治者也 故可執古之道 以御今之有 上古雖遠 其道存焉 故雖在今 可以知古始也”
“어떤 형체도 없고 어떤 이름도 없는 것이 만물의 근원(宗)이다.
비록 과거와 현재가 다르고, 시대가 변하고 풍속이 바뀌었지만,
본래 이것에서 말미암지 않고 다스림을 이룰 수 없는 자는 없었다.
그러므로, 옛날의 도를 가지고서 오늘날의 일을 다스린다.
태고시대가 비록 시간상으로 멀기는 하지만, 그 도가 지금까지 보존되어 있으므로,
비록 현재에 있을지라도 태초의 시작을 알수 있다.”
[해설]
14장의 모든 말은 상대적인 無, 곧 상대적인 도에 대한 설명이다.
사실 상대적인 무는 2장과 11장 및 40장에서의 無라고 할 수 있지만,
사실 이는 有의 이면을 설명하기 위한 비유임을 알아야 한다.
단순히 그릇을 有로 그릇이 그릇으로 드러나게 하고, 요용이 있게 하는
공간을 無오 명명했을 때, 유가 무에 의해 드러나는 것은 틀림없다.
그러나, 주의해야 하는 것은, 유가 무에 의해 드러난다고 했을 때,
이미 이 문장에서의 무는 무가 아님을 알아야 한다.
유가 무에 의해 드러난다는 것이 이미 의식활동에 의해 구별되는 순간,
그 문장 속의 무도 유로 대상화되었기 때문이다.
곧 의식에 구체화되는 것이 유이고, 이면에서 드러나지 않으면서
유를 성립하게 하는 것이 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실 2장이나 11장에서의 무는 언제나 의식에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비유로 사용된 것임을 알아야 한다.
시각이나 청각 촉각에 무엇이 구분되기 위해서도
시각은 시각대로 청각은 청각대로 촉각은 촉각대로
제각기 그 이면이 있어야 되지만, 그 이면을 무엇이라고 규정할 수 없다.
상대적인 무는 그 위로 절대적인 무 곧 물아일체의 상태가 있고, 그 아래로 사물이 있다.
따라서 본문에서 “그것은 위로 분명하지도 않고, 아래로 모호하지도 않으면서,
끊임없이 계속 이어지지만, 무엇이라고 이름을 붙일 수 없다.
그러면서 사물이 없음으로 되돌아가니, 이것을 모양없는 모양이라 하고,
사물이 없는 형상이라고 한다.”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상대적인 무는 황홀한 상태로 대상화되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앞으로 보아도 알 수 있는 것이 아니고, 뒤로 보아도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상대적인 무는 언제나 분별의 세계를 존재하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것을 가지고 모든 유를 다스릴 수 있다.
또한 이것을 가지고 태초의 시작 곧 절대적인 도를 알 수 있으니, 이것을 도의 단서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