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학사(Histoire de la philosophie),
브레이어(Bréhier, 1876—1952)
- 제4권. 17세기, Le dix-septième siècle 1-273
제9장, 존 로크 John Locke 240-260
# 존 로크 (John Locke, 1632-1704) 생애
1632 8월 29일 섬머셋셔(Somersetshire)의 작은 마을 라잉턴(Wrington)에서 법조인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청교도 혁명 당시 올리버 크롬웰 밑에서 싸운 의회파 군대의 기병대장이었다.
영국 서부 항구도시 브리스틀(Bristol)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영국내전(English Civil War, 1642-1651) 잉글랜드왕국의 왕당파와 의회파 사이 내전]
1647(열다섯)년 웨스트민스터 기숙사학교에 입학하여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했다.
1649(열일곱) 청교도 혁명(크롬웰의 승리): 찰스 1세(Charles I, 1600–1649) 처형.
1652(스물) 크라이스트 처치(옥스퍼드)에 장학생으로 입학하여 언어, 논리학, 윤리학, 수학, 천문학을 두루 공부하면서 데카르트 철학을 처음으로 알게 된다.
1656(스물넷)년 학사(Bachler of Art)를 받은 후 2년간 석사과정을 밟았다.
1658(스물다섯) 의학으로 방향을 바꾸었다.
1660(스물여덟)년 옥스퍼드 대학의 튜터로 5년간 활동한 후 1664년경부터 과학, 특히 의학을 연구하였다.
[1662 [예배] 통일령(Act of Uniformity 1662): 챨스 2세(Charles II, 1630-1685)가 카톨릭에 대항하여 프로텐스탄트의 예식을 통일하는 통일령(Act of Uniformity 1662) 제정. ]
1665(서른셋) - 1666년 공사 비서로서 독일의 브란덴부르크에 머물렀으며, 이를 계기로 로크는 약 10여년 간 정치무대에서 활동을 한다. - 여기서 가톨릭교도와 개신교도들이 서로 다른 종교를 믿지만 질서있게 함께 사는 것을 목격하고, 후일 <관용에 관한 편지(A Letter concerning Toleration>를 쓰는 동기를 마련한다.
[1666 런던 대화재(Great Fire of London)은 1666년 9월 2일 일요일부터 9월 6일 목요일까지 런던을 휩쓴 화재이다.]
1666(서른넷) 관용론(Essai sur la tolerance, 1666) [세 가지를 쓴다?, 이중 첫째 것]
1667(서른다섯). 관용에 관한 시론(Essay Concerning Toleration) (원고를 남김)
1667년 이래로 로크는 샤프츠버리 백작의 주치의 였다.
1668(서른여섯) 왕립학회(Royal Society, 1660-) 회원이 되다.
- 해부학(Anatomca, 1668)
1669 의술론(De Arte medica, 1669)
1671 변호사 띠렐(James Tyrrell, 1642–1718)과 의사인 토마스(David Thomas, 1634경-1694) 등과 토론.
1672(마흔)년에 프랑스에 첫째 체류.
1675(마흔다섯)-1679년, 둘째 프랑스 체류. 주요 저서인 <인간 오성론>의 저술을 시작하였다. 이 시기에 로크는 심한 천식으로 정계에서 은퇴한 후 프랑스의 몽펠리에르에서 약 4년간에 걸쳐 휴양 생활을 한 후 1679년 영국으로 돌아온다.
1684 홀란드에 있었다(1689까지). 여기서 스피노자(1632-1677) 없는 스피노자 그룹을 만났다.
[1688 명예 혁명(Glorious Revolution). 의회와 네덜란드의 오라녜 공 빌럼이 연합하여 제임스 2세를 퇴위시키고 잉글랜드의 윌리엄 3세(William III, 1650-1702)로 즉위하였다] - 제임스 2세(James Ⅱ, 1633-1701: 스튜어트 왕조의 재위: 1685-1688)
1689(쉰일곱)년 명예혁명(1668)에 의한 윌리엄 3세의 즉위로 귀국하였다. - [윌리엄 3세(Guillaume III, (Willem III en néerlandais et William III en anglais), 1650-1702)[영국 왕. 재위, 1689–1702]]
1689. 관용에 관한 편지(A Letter Concerning Toleration.
1689/90. 정부에 관한 두 논문(Two Treatises of Government) (published throughout the 18th century by London bookseller Andrew Millar by commission for Thomas Hollis)
1689/90. 인간 오성에 관한 시론(An 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1690)
1690(쉰여덟)년 공소원장이 되고, 망명중 집필한 <인간 지성론>을 발표하여 일약 유명해졌다.
1691(쉰아홉) 이익 축소와 화폐가치의 상승에 관한 고찰 (Some Considerations on the consequences of the Lowering of Interest and the Raising of the Value of Money, 1694(fr. Considérations sur les conséquences de la diminution de l’intérêt et de l’augmentation de la valeur de l’argent (1691)
1693(예순하나). 교육에 관한 사상들(Some Thoughts Concerning Education
1695(예순셋) 크리스트교의 합리성(The reasonableness of Christianity, 1695)
1697(예순다섯) 오성의 안내에 관하여(Of the Conduct of the Understanding 1697)
1698(예순여섯) 사제/신부(Sacerdos, 1698) 로마 공화국에 관한 반성들(Réflexions sur la République romaine)
1700(예순여덟)년 에식스(Oates, High Laver, Essex)에 은퇴하였다가
1704(일흔둘)년에 에식스에서 사망하였다.
*
427 플라톤(Platon, Πλάτων, 본명 아리스토클레스 Aristoclès, 기원전 427-347)(80살), 고대 그리스 아테네의 철학자, 소크라테스의 제자. 우주론을 이데아, 데미우르고스, 플라노메네 아이티아, 세 위상으로 전개한다. (소크라테스 나이 42살이었고) [그리고 18살 이후에 배울 수 있을 있었다면, 소크라테스 나이 60살이었으며 10여년을 따라다니며 배울 수 있었을 것이다.]
O
205 플로티노스(Plotin, Πλωτῖνος, 205-270) 알렉산드리아 철학자. 그의 제자 포르피리오스가 작품 54편을 보존했다.
1533 엘리자베스 1세(Elizabeth I, Elizabeth Tudor, 1533-1603) 영국을 44년간 통치 1558년 11월 17일부터 1603년 3월 24일까지 44년간 통치.
1588 토머스 홉스(Thomas Hobbes, 1588-1679)[아흔하나] 잉글랜드 왕국의 정치철학자, 최초의 민주적 사회계약론자.
1596 데카르트(René Descartes, 1596-1650) 프랑스 수학자, 물리학자, 철학자.
1614 모어(Henry More, 1614-1687) 영국 철학자, 캠브리지대학 플라톤학파.
1616 스미스(John Smith, 1616-1652) 캠브리지 플라톤학파. 도덕 종교 철학자.
1617 커드워드(Ralph Cudworth, 1617–1688), 영국 성공회 신부, 고전문헌학자, 신학자, 철학자. 캠브리지 대학의 플라톤주의 중에 주도 인물. 우주에 대한 진실한 지적 체계(The True Intellectual System of the Universe, 1678)
1619 토마쌩(Louis de Thomassin d’Eynac, Louis Thomassin, 1619-1695) 프랑스 신학자, 오라트와르 신부. 끌로드(Claude Thomassin, 1615-1690, 프랑스 종교인 오라트와르 소속.) 그의 사촌이다.
1620 프레데릭 윌리엄(Frédéric-Guillaume Ier 1620-1688 [선거후, 1640–1688], deu. Friedrich Wilhelm von Brandenburg), 독일의 브란데부르크 선거후.
1621 샤프츠버리 1세(1st Earl of Shaftesbury, Anthony Ashley Cooper, 1st Baron Ashley, 1621-1683), 탁월한 정치적 인물, 챨스 2세(Charles II, 1630–1685)의 정책을 주도했다. Anthony Ashley Cooper, 1st Earl of Shaftesbury PC, FRS, (22 July 1621 – 21 January 1683)
1624 시댄햄(Thomas Sydenham, 1624–1689) 영국 외과의사, Observationes Medicae (1676)
1627 보일(Robert Boyle, 1627-1691) 아일랜드 태생, 영국 자연철학자, 화학자, 물리학자. 이다. 그는 1641년 겨울동안에 노년의 갈릴레이(1564-1642)에게 직접 천문학을 배웠다.
1630 챨스 2세 (Charles II, 1630-1685) 영국,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왕(1660에서 죽을 때까지 1685). 카톨릭에 대항하여 프로텐스탄트의 예식을 통일하는 통일령(Act of Uniformity 1662) 제정.
1632 존 로크(John Locke, 1632—1704), 홉스(1588-1679)보다 마흔넷 어리지만 동시대를 47년간 살았다.
1632 스피노자(1632-1677) 포르투칼 유태계 이민자 계열의 네덜란드 철학자.
1634 토마스(Dr David Thomas, c.1634-1694), 영국 의사, 로크와 편지교환. 틴달(Matthew Tindal, 1657–1733)도,
1638 말브랑쉬(Malebranche, 1638-1715) 프랑스 제수이트 신부, 신학자, 철학자.
1641 돋웰(Henry Dodwell 1641–1711) 더블린 출생, 영국-아일랜드 학자, 신학자. 논쟁적 작가. Dissertations upon Irenaeus (1689)
1642 뉴턴 (Isaac Newton 1642–1726) 영국 물리학자. 천무학자.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Philosophiæ Naturalis Principia Mathematica (1687)
1642 띠렐(James Tyrrell, 1642–1718), 영국 작가, 휘그당 정치철학자, 역사가. - 로크 친구이자 후원자. 두 정부론을 쓸 때 그의 집에 머물렀다고 한다.
1646 라이프니츠(Gottfried Wilhelm Leibniz, 1646-1716) 독일의 수학자, 과학자, 철학자.
1646 마샴(Sir Francis Masham, 3rd Baronet, 1646경–1723) 귀족 가계인 마샴 가계의 일원이다. 부인인 마담 마샴(Damaris Cudworth, Lady Masham, 1659–1708) 영국작가, 철학자, 신학자 여성교육의 주장자로서 페미니스트선구자. - 성공회 신부이며 철학자인 커드워드(Ralph Cudworth, 1617–1688)의 딸이다.
1650 윌리엄 3세(Guillaume III, (Willem III en néerlandais et William III en anglais), 1650-1702)[영국 왕. 재위, 1689–1702] 홀란드 총재, 영국과 아일랜드왕(윌리엄 2세), 그리고 스코틀랜드를 합병 통합 왕(윌리엄 3세) William of Orange - 선대 제임스2세(James Stuart II, Jacques II (roi d'Angleterre), 1633-1701)이며, 계승자가 여왕 앤(Anne, 1665-1714)이다.
1657 르클레르크(Jean Le Clerc, lat. Johannes Clericus, 1657–1736), 제노바 신학자. 크리스트교 경전 주석가이며, 비판적 해석으로 유명하다. 로크의 책을 요약본(오성론 요약본(Abrégé de d’Essai, 1688))으로 냈다.
1661 뷔피에(Claude Buffier, 1661–1737), 폴란드 가계, 제수이트 신부, 프랑스 철학자, 역사가, 프랑스 상식론의 대표자. 리드(Thomas Reid 1710–1796)의 영향을 입었다. 형이상학 원론(Elémens de métaphysique, 1725),
1668 꼬스뜨(Pierre Coste, 1668-1747) 프랑스 인쇄가, 번역가. 로크 작품 번역.
- 보세(Jean-Pierre Bosset, s.d.)에 의해 출판된 존 윈(John Wynne, s.d.)의 영어 요약본 번역.
1670 톨랜드(John Toland, 1670–1722) 아일랜드 합리주의 철학자, 자유사상가, 풍자가. 정치철학과 종교철학 팜플랫을 썼다. 로크 철학의 영향을 받았다. 범신론(pantheisticon, 1720).
1671 샤프츠버리 3세(Anthony Ashley Cooper, 3rd Earl of Shaftesbury, 1671–1713) 영국 귀족, 휘그당 정치인, 철학자, 작가 A Letter Concerning Enthusiasm, To My Lord *****. 1708(London).
1675 클라크(Samuel Clarke, 1675-1729) 영국 신학자, 철학자. 성공회 주교. 앤 여왕의 전속신부. 신의 현존과 속성들의 증명(A Demonstration of the Being and Attributes of God, 1704), Evidences of Natural and Revealed Religion. 1705
1676 콜린스(Anthony Collins, 1676–1729) 영국 철학자, 수필가, 영국 이신론의 선구자. 로크와 친하다. Essay concerning the Use of Reason in Propositions, the Evidence whereof depends on Human Testimony (1707), 자유로운 사유의 담론(A Discourse of Freethinking, occasioned by the Rise and Growth of a Sect called Freethinkers (1713), Anthony Collins, Essai Sur La Nature Et La Destination De L'Ame Humaine, Londres (1769): 이 작품은 콜린스 작품을 프랑스어로 번역한 모양인데 콜린스의 원본이 무엇인지 모르겠네?
1685 조지 버클리(George Berkeley, 1685-1753) 아일랜드의 철학자, 성공회 주교. 아메리카 선교(1730-1732)
1694 볼떼르(Voltaire, François-Marie Arouet, 1694-1778) 프랑스 작가, 극작가, 시인, 철학자. 철학 편지들(Lettres philosophique, 1734), 뉴턴 철학 원론(Eléments de la philosophie de Newton (1737). 풍습론과 국민정신(Essai sur les mœurs et l'esprit des nations, 1756).
1711 데이비드 흄(David Hume, 1711-1776) 스코틀랜드 철학자, 경제학자, 역사가. 계몽주의 시기에 루소와 더불어 친구였다.
1821 로도카나키(Michel-Emmanuel Rodocanachi, 1821-1901) 그리스 재산가. 영국의 무역과 은행에 영향을 준 재력가. / 로도카나케(Ροδοκανάκη) 가문은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그리스 재력가 가문으로 유명하다. (4:18, 57MLE)
*** [로크: 에밀 브레이어 “철학사” 4권 9절]
# 참고문헌Bibliographie 259-260.
I.
Locke(1632-1704), Works, 4 vol. Londres 1768 (réédition en 1777, 1784, etc.); Philosophical Works, éd. St-John, 2. vol., Londres, 1854 (dernière édition, 1908); Essai sur l’entendement humain, trad. Coste, Amsterdam, 1700; Oeuvres complètes, nouv. éd. revue par Thurot, 7. vol., Paris, 1822-1825; Original letters of Locke, Sidney und Shaftesbury, éd. Thomas Forster, Londres, 1830 et 1847; Lettres inédites de Locke à Thoynard, van Limborch and Edward Carke, éd. B. Rand, Oxford, 1927; Essai sur le pouvoir civil de John Locke, trad. et annoté par J. L. Fyot. Paris, 1953.
J. Locke, Lettre sur la tolérance, éd. R. Klibansky, trad. et intr. par R. Polin, Paris, 1965.
Government and a letter conserning toleration, third edition by J. W. Gough, Oxford, 1966.
Lord King(1776-1833), The Life of John Locke with extracts from his correspondance, Journals and commonplace books, Londres, 1829 et 1930.
H. R. Fox Bourne(1776-1833), The Life of John Locke, 2. vol., Londres, 1876.
G. Bonno(1837-1909), Relations intellectuelles de Locke avec la France, Berkeley, 1955.
J. W. Yolton(1921–2005), J. Locke and the way of Ideas, Oxford, 1956.
M. Cranston(1920–1993), John Locke, A biography, Londres, 1957.
II.
Ch. Bastide(1873–19..?), John Locke, ses théories politiques et leur influence en Angleterre, Paris, 1906.
R. Polin(1910-2001), La politique morale de John Locke, Paris, 1960.
III à V.
H. Marion(1846-1896), J. Locke, sa vie et son oeuvre, Paris, 1878.
A. Campbell Frazer(1819–1914), Article Locke dans Encyclopaedia britannica, 1882; Locke, dans Philosophers classics, Londres, 1890; Prolegomena, dans l’édition de l’Essay, 1894; J. Locke as a factor in modern thought, Proceedings of the british Academy, I, 1903, p. 221.
H. Ollion(1878–1946), La philosophie générale de J. Locke, Paris, Alcan, 1908.
A. Carlini(1878–1959), La filosofia di Locke, 2 vol., Florence, 1920.
G. V. Hertiling(1843-1919), Locke und die Schule von Cambridge, Freiburg i. Brisgau, 1892.
J. Gibson(1864-1943?), Locke’s theory of knowledge and its historical relations, Cambridge, 1917.
A. Tellkamp(1885-?), Das Verhältnis John Locke’s zur Scholastik, Münster in Westfalen, 1927
S. P. Lamprecht(1890–1973), Locke’s attack upon innate Ideas, The philosophical review, XXXVI, 1929, p. 56.
R. Jackson(?-?), Locke’s distinction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qualities, Mind, XXXVIII, 1929, p. 56.
J. Dewey(1859–1952), Substance, power and quality in Lock, The philosophical Review, XXXV, 1926, p. 22.
VI.
Frederic J. Powicke(1854-1935), The Cambridge platonists, Londres, 1926.
E. Cassirer(1874-1945), Die platonische Renaissance in England und die Schule von Cambridge, Berlin, 1932.
Ernest Albee(1865-1917), Clarke’s Ethical philosophy, The philosophical Review, XXXVII, 1922, p. 304 et 403.
A. Lantoine(1869-1949), Un precurseur de la franc-maçonnerie, suivi de la traduction française du Pantheisticon, Paris, 1927.
G. Lyon(1853–1929), L’idealisme anglais au XVIIIe siècle, Paris, 1888. ㅎ.
André Leroy(1892–1967), Mylord Shaftesbury, A. letter concerning Enthusiasm, texte et traduction, introduction et notes, Paris, 1930.
R. L. Brett(1917–1996), The third earl of Shaftesbury, 1951.
Dorothy B. Schlegel(?-?), Shaftesbury and the french deiste, 1956.
Samuel Clarke(1675–1729), Oeuvres philosophiques, trad. Jourdain, Paris, 1843.
E. Leroux(1883–1942) et A. Leroy(1892–1967), La philosophie anglaise classique, Paris, 1952.
S. Hutin(1929-1997), Henry More (1614-1687), Essai sur les doctrines théosophiques chez les platoniciens de Cambridge, Thèse dactylographiée, Paris, 1959; Les disciples anglais de Jacob Boehme, Paris, 1960.
**
1632 로크(John Locke, 1632-1704), 영국 철학자. 의사.
1675 클라크(Samuel Clarke, 1675–1729), 영국철학자. 성공회 신부, 로크와 버클리 사이의 중요인물. 라이프니츠와 편지교환.
1776 킹(Peter King, Lord, 1776-1833) 영국 귀족 관료, 정치가, 경제적 작가. 이 가문은 전통적으로 휘그(the Whig)당에 속했다.
1819 프레이저(Alexander Campbell Fraser, 1819–1914), 스코틀랜드 신학자, 철학자. Annotated Edition of Locke's Essay (1894)
1837 본(Henry Richard Fox Bourne, 1837-1909), 영국 사회개혁가, 작가. 기자. Civilisation in Congo Land (1903)
1843 헤르틀링(Graf von Hertling, Georg Friedrich Karl Freiherr von Hertling, 1843-1919) 카톨릭, 철학교수. 늦은 나이에 정계로, 프러시아 장관을, 일차대전에 수상 지냄,
1846 마리옹(Henri Marion, 1846-1896) 프랑스 철학자, 교육자. 교육학의 자리를 처음 만든자. L’éducation des jeunes filles, 1902..
1853 리용(Georges Lyon, 1853–1929) 프랑스 철학자. 고교철학교수. L'idéalisme en Angleterre au XVIIIe siècle, 1888
1854 포윅(Frederick James Powicke, 1854-1935), 철학자라고 하고 영국 철학자 사전에 실려있다고 한다.
1859 듀이(John Dewey, 1859–1952) 미국철학자. 심리학자, 교육개혁가.
1865 알비(Ernest T Albee, 1865-1917), 영국철학자. A history of English utilitarianism, 1902
1869 랑똰(Albert Lantoine, 1869-1949) 프랑스 프랑마송, 수필가. 시인 소설가. Un précurseur de la Franc-maçonnerie, John Toland(1670-1722), 1928)
1885 텔캄프(August Tellkamp, 1885-?), 교수, 독일 카톨릭 신학자. Das Verhältnis John Locke's zur Scholastik. 1927)
1864 깁슨(James Gibson, 1864-1943?). 영국(?) 철학사, 종교사 전공. / James Jerome Gibson, 1904–1979) 미국 심리학자.
1873 바스티드(Charles Bastide, 1873–19..?), 영어를 프랑스어로 번역. 문학으로 교수자격. 영국 전공자. L'Angleterre nouvelle. Régime parlementaire. Société. Colonies, 1929), A la mémoire de Henri-Léon Hovelaque (1938)
1874 카시러(Ernst Cassirer, 1874-1945), 독일 철학자, 스웨덴 국적자. 네오칸트주의자이며, 나토릎과 코헨(Paul Natorp et Hermann Cohen)과 함께 마르부르트 학파.
1878 올리옹(Henri Ollion, 1878-1946) 1878–1946), 프랑스 철학자. La philosophie générale de J. Locke, 1908
1878 카를리니(Armando Carlini, 1878–1959), 이탈리아 철학자.
1883 르루(Emmanuel Leroux, 1883–1942), 프랑스 철학사가, 렌 대학 문학부 교수.
1890 램프레히트(Sterling Power Lamprecht, 1890–1973), 미국 철학자, Our Philosophical Traditions: A Brief History of Philosophy in Western Civilization, 1955(김태길, 윤명로, 최명관 교수들이 번역한 것이다.)
1892 르화 (André-Louis Leroy, 1892–1967) 프랑스 철학자. [영국전문가?]
1897 잭슨(Reginald Stanley Jackson, 1897–1969) 오스트레일리아 정치가. [en.Wiki에는 철학을 공부했다는 기록이 없다. 그 외 다른 사람이 없다. ]
1910 뽈랭(Raymond Polin 1910-2001), 프랑스 철학자, ENS, 철학교수자격. 자유주의(Le libéralisme: espoir ou péril, 1984)(avec Claude Polin).
1917 브레트(Raymond Laurence Brett, 1917–1996) 영국 대학 교수, The Third Earl of Shaftesbury: A Study in Eighteenth-Century Literary Theory. 1951.
1920 크랜스턴 Maurice William Cranston, 1920–1993), 영국 철학자, 교수, 작가. 루소 전공. Rousseau biography(3vol. 1982, 1991, 1997)
1921 욜톤(John W. Yolton, 1921–2005) 미국 철학사가. J. Locke and the way of Ideas, 1956.
1922 도로시 B. 슐레겔(Dorothy B. Schlegel, ?1922-2006?), 여성학자들은 다음 기록을 찾을 수 없다.
1929 위땡(Serge Hutin, 1929-1997) 프랑스인 신지학, 이색종교, 연금술, 프랑-마송, 장미십자단, 비밀조직에 관한 저술가. 카발라 저술이 있다고 생각했는데 fr.Wiki에 카발라 이야기는 없다.
(57MKG)(7:15, 57MLE) (7:25, 57MM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