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레마을에서 태어난 김유정은 줄곧 서울에서 자라고 생활하다 1931년에 23살의 나이로 귀향합니다.
금병의숙이라는 일종의 야학을 설립하여 농촌계몽운동을 벌이던 그가 처녀작인 <산골 나그네>를 발표 한 것은 2년 후인 1933년. 실레마을에서 실제로 목격한 일을 소재로 활용한 처녀작 이후로도 김유정 소설의 대부분이 실레마을에서 구상되었고 작품의 등장인물도 상당수가 이곳에 실존했던 인물들이었습니다.
김유정문학촌에는 마을의 지도와 함께, 각각의 장소가 배경이된 작품 설명이 명시된 안내판이 있습니다.
저 뒷산은 <동백꽃>의 배경이 되었고, 이 물레방아는 <산골나그네>의 그 물레방아고, 저 위의 집은 <봄봄>의 장인 김봉필의 집이라는 안내판을 들여다보고 있자면 실레마을 전체가 김유정 작품의 산실이자 그 현장이란 것을 실감하게 됩니다.
문학촌에는 기념관과 함께 나즈막한 뒷산을 배경으로, 김유정이 태어난 생가와 디딜방아, 정자 등이 그 시대 모습대로 재현되어 있습니다.
아담한 규모의 문학촌을 문학관이 아니고 왜 문학촌이라 명했을까. 그것은 이곳에 김유정의 유품이 단 한 점도 없기 때문인데 병마와 투병하다 외롭게 숨을 거둔 후 오랜 친구인 안희남이 유고, 편지, 일기, 사진 등 일체의 유품을 가져가 보관하던 중 6.25 때 모두 가지고 월북한 탓입니다.
하지만 기념관에 들어서면 유물이 없어도 충분히 김유정을 느껴볼 수 있습니다.
먼저 잔잔한 목소리로 김유정의 일대기를 설명하는 비디오물을 감상하며 그의 불행한 삶과 그 속에서 꽃피운 예술세계를 접한 후, 김유정이 태어난 해부터 사망할때까지 연대별로 당시 한국 문학의 흐름을 파악해볼 수 있습니다.
** 봄·봄(김유정)과 동백꽃(김유정)의 줄거리
1. 봄·봄(김유정)
‘나’는 점순이와 혼례를 올리기로 하고 3년 7개월이나 변변한 대가 없이 머슴일을 해 주고 있다. 음흉하고 교활한 장인은 점순이가 덜 컸다는 이유로 혼례를 미루고 ‘나’는 구장에게 억울함을 호소하여 중재를 요청하지만 구장은 결국 장인의 편을 든다. 뭉태가 충동질하고 점순이 성례를 부추겨 더 이상 참을 수 없는 ‘나’는 결국 장인과 대판 몸싸움을 벌이고, ‘나’와 장인의 싸움에서 내 편을 들 줄 알았던 점순이는 아버지의 편을 든다. 장인은 가을에 혼례를 올려 주겠다며 ‘나’를 다독이고 신이 난 ‘나’는 다시 일하러 나간다.
2. 동백꽃(김유정)
점순은 ‘나’의 수탉을 때리고, 자기네 수탉과 ‘나’의 수탉을 싸움 붙여 놓아 ‘나’를 약올린다. 나흘 전 일하고 있는 ‘나’에게 점순이 다가와서 감자를 쥐어 준다. 그러나 자존심이 상한 ‘나’는 이를 거절한다. ‘나’는 매번 싸움에 패하는 ‘나’의 수탉에게 고추장을 먹여 보기도 하지만 점순네 수탉을 이기지는 못한다. 어느 날 나무를 하고 오는 길에 점순이 닭싸움을 시켜 놓은 것을 보고 화가 난 ‘나’는 점순네 닭을 죽이고 만다. 그리고 겁이 나서 울음을 터뜨리는데 점순이 ‘나’를 달래 준다. 점순과 ‘나’가 같이 동백꽃 속으로 쓰러지면서 화해한다.
**봄·봄(김유정)과 동백꽃(김유정)의 이해와 감상
1. 봄·봄(김유정)
‘봄·봄’은 김유정의 작품 중에서 가장 해학성이 넘치는 작품이다. 우직하고 순진한 ‘나’와 장인의 행동은 웃음을 짓게 하지만 이 웃음 속에는 날카로운 현실 비판이 숨어 있다.
1930년대는 ‘지주 - 마름 - 소작인’의 지배 구조가 형성되었던 시기로 극심한 빈곤과 일제의 수탈에 시달렸던 농민들은 농촌 인구의 80%가 소작인이 되었다. 이를 통제하는 친일 지주들은 자신의 대리인으로 마름을 두었는데, 이 작품에서는 마름인 장인이 강자로 등장해 ‘나’와 점순의 결혼을 빌미로 ‘나’에게 임금도 주지 않고 고된 일을 시킨다. ‘나’가 구장에게 중재를 요청해도, 소작인인 구장이 마을의 어른이자 지식인이라 해도 마름인 장인에게 대항할 수는 없는 것이다. 즉, 이 작품은 농촌에서 마름이라는 강자가 머슴이라는 약자를 착취하고 있는 심각한 수탈의 상황을 ‘데릴사위’ 라는 소재를 통해 매우 해학적으로 그려 내고 있다.
2. 동백꽃(김유정)
이 작품은 농촌을 배경으로 순박한 소년, 소녀의 사랑을 해학적이면서 서정적인 필치로 그린 소설이다. 짧고 간결한 문장과 속도감 있는 사건 전개, 토속적인 어휘 구사 등이 특징적인 김유정의 대표작이다.
주인공인 ‘나’는 어수룩하면서도 눈치가 없는 순박한 농촌 청년이다. 이에 반해 점순은 집요하고 억척스러운 편인데 점순의 이러한 성격이 ‘나’의 성격과 대조되어 남녀의 애정을 소재로 하면서도 매우 해학적인 분위기를 띠게 된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감자, 닭싸움 등의 소재는 ‘나’에 대한 점순의 관심과 애정을 매개하는 소재이며, 작품의 후반에 등장하는 동백꽃은 그 알싸한 향기를 통해 작품의 서정적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한편, 두 남녀의 풋풋한 애정을 승화시켜 주는 소재이다. 이러한 서정적 장치들로 인해 이 작품은 소작농과 마름 사이의 계층적 갈등을 넘어서서 사춘기 두 남녀가 사랑에 눈뜨는 과정을 해학적으로 묘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