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 위에 놓는 초 개수는 정해져 있나요?
미사의 장엄함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것 가운데 하나는 제대 위에 놓인 초의 개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모든 미사 거행에서 제대 위나 곁에 적어도 두 개, 또는 주일이나 의무 축일 미사에는 네 개나 여섯 개, 또는 교구장 주교가 집전한다면 일곱 개의 촛불을 켜놓습니다.([미사경본총지침] 117항) 주교가 미사를 집전할 때 하나 더 켜는 주교 초는 제대 초보다는 가늘고 작습니다. 그것은 주교에게 예를 갖추는 전통에서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그 옛날 전기도 없는 데다가 주교가 연로한 경우엔 눈이 침침해서 경본을 읽는 데 어려움이 있었겠죠. 그래서 그 문제를 해결하려고 주교 초가 등장했을 거라는 설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초가 여섯 개일 경우는 1등급 축일입니다. 좌우 두 개씩 네 개를 놓는 것은 2등급 축일과 주일에, 평일과 기념일(3등급)에는 좌우 하나씩 두 개를 놓습니다. 그래서 제대에 놓인 초의 개수로도 그날 미사의 중요도를 가늠할 수 있는 거죠.
1등급에 해당하는 날은 보통 '대축일'이지요. 그 외에도 주님 수난 성지 주일, 성삼일, 예수 성탄, 주님 공현, 주님 승천, 성령강림 대축일, 그리고 대림시기, 사순시기, 부활시기 주일, 재의 수요일, 성주간 월-목요일, 팔부 축제(부활 팔일 축제)기간입니다.
2등급에 해당되는 날은 일반 '축일' 또는 교구의 고유축일이고, 성탄시기와 연중시기의 주일도 2등급으로 분류됩니다.
3등급은 '기념일'에 해당되며 연중 평일미사도 여기에 속합니다.
실제로 중요하지 않은 미사는 없습니다. 그러나 미사가 지니는 의미는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따라 신자들이 좀 더 마음을 기울이도록 초대하는 미사와 전례시기가 있으니까요. 이와 같이 제대를 꾸미는 장식적인 요소를 통해서도 전례의 의미를 읽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았으니, 이제는 좀 더 깊은 관심ㅇ르 갖고 미사에 참례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 박종인 신부(예수회)
첫댓글 코로나로 인해
주교님들께서 집전하시는
평화방송미사를 시청하면서
제대에 놓인
작은초 하나가 궁금했습니다
그이유를 알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