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 이름 추(鄒)자는 의부(義符)로 고을 읍(邑,⻏)자에 성부(聲符)로 꼴 추(芻)자를 했습니다. 꼴 추(芻)자는 왼손 좌(屮)자를 쌀 포(勹)자로 에워싼 모양입니다. 여기서 왼손 좌(屮)자는 풀을 뜻하고, 쌀 포(勹)자는 갈무리한다는 뜻입니다. 풀을 베어 짐승의 먹이로 사용하려고 싸서 갈무리한다는 말입니다. 추성시(鄒城市) 추천(鄒川) 추족(鄒族) 추국(鄒國) 추정(鄒靖) 추로(鄒魯) 미추홀(彌鄒忽)
달릴 추(趨)자는 의부(義符)로 달릴 주(走)자에 성부(聲符)로 꼴 추(芻)자를 했습니다. 꼴 추(芻)자는 왼손 좌(屮)자를 쌀 포(勹)자로 에워싼 모양입니다. 여기서 왼손 좌(屮)자는 풀을 뜻하고, 쌀 포(勹)자는 갈무리한다는 뜻입니다. 풀을 베어 짐승의 먹이로 사용하려고 싸서 갈무리한다는 말입니다. 추하(趨下) 추사(趨舍) 추사(趨事) 추광성(趨光性) 추리(趨利) 추향(趨向) 추명(趨命)
뺄 추(抽)자는 의부(義符)로 손 수(手,扌,才)자 변에 성부(聲符)로 말미암을 유(由)자를 했습니다. 말미암는다는 말은 그것으로부터 시작한다는 말입니다. 말이 다투어 달릴 추(駎)자도 말미암을 유(由)자가 들어 있어서 ‘추’로 읽습니다. 말미암을 유(由)자가 들어 가면 ‘축;으로 읽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굴대 축(軸), 동서 축(妯), 배꼬리 축(舳)자들입니다. 추정(抽丁) 추사(抽思) 추상(抽象) 추출(抽出) 추첨(抽籤) 생추(生抽) 노추(老抽)
추할 추(醜)자는 의부(義符)로 술독 유(酉)자에 성부(聲符)로 귀신 귀(鬼)자를 했습니다. 귀신의 특징은 머리는 크고, 발은 없어 스르르 날듯이 다니는 것입니다. 보이지는 않지만 이런 귀신의 특징을 상상해서 잘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미워할 추(魗)자도 귀신 귀(鬼)자가 들어 있어서 ‘추’로 읽습니다. 추악(醜惡) 추인(醜人) 미추(美醜) 추녀(醜女) 추마(醜魔) 추태(醜態) 추부(醜婦) 추부(醜夫)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