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사항 | l 매 화 스쿨오브 학 멤버들은 교복을 입고 새로운 학교에 방문하게 됨 l 멤버들은 각자 맡은 과목이 있으며, 각 학교의 해당 과목 브레인들과 배틀을 벌이게 됨
1. 오프닝 -새로운 학교에 지식 배틀을 위해 방문하게 된 스쿨오브 학 멤버들. -오프닝 멘트와 함께 학교가 위치한 지역에 대한 인서트와 함께 소개 VCR, 학교 특성 있을 시 (지역거점 과학고, 외고, 예고 등) 같이 간단히 언급 -해당 학교의 분야별 대표 브레인에 대한 힌트지가 제공되고 멤버들이 각자 맡은 분야에 맞는 브레인을 찾아감 2. 바디 l 브레인 찾기 -학교의 브레인을 찾아가는 멤버들. 학생들에게 물어물어 학교의 ‘이 과목 최강자’를 찾아냄. (1박2일 서울대편 참고) (브레인 학생은 미리 섭외) -학생들을 통해 힌트를 모아서 4명이 각자의 상대 학생을 찾아내는 과정을 스피디하게 보여줌 -이 과정에서 학교 특색 시설 혹은 프로그램 있을 시에 강조 -학생 간 라이벌 구도가 있는 경우 (전교 1등 vs 2등) 강조 -상대 브레인 학생을 모두 모은 멤버들. 상대 학교 브레인들의 자기소개 및 인서트 -멤버들은 브레인들과 함께 배틀이 벌어질 강당으로 향함
l 배틀 시작 -강당에 모인 전교생 (수용 규모에 따라 조정), 그리고 앞에 스쿨오브 학 멤버들과 브레인 각 4명씩이 배틀을 시작함 -과목 순서는 매 화마다 변경되는 방식. -배틀을 벌일 문항은 직접 제작진이 선별 혹은 제작한 ‘입시’ 문제들로 구성 -영어의 경우 원어민도 납득하기 어려운 수능식 독해문제로 구성하여 난이도 맞추기 -과목 4개 총합 4개 라운드로 진행되며, 동시에 같은 문제를 풀고 정답 유무를 가름 / 둘 다 정답 시 일찍 푼 사람이 승자가 됨 -서로가 문제 푸는 모습은 볼 수 있되 풀이과정은 못 보도록 장치 설치 -4개라운드 2:2로 동점 시 학생 쪽이 가장 자신있는 브레인 내보내고, 스쿨오브 학 멤버들은 이에 응함 -스쿨오브 학이 승리 시 승리 포인트가 쌓이고, 총 7번 우승 시마다 멤버들의 소원 들어주기 찬스 (하찮은 소원도 ok – 칠판 바꿔주세요, 힌트권 등) -배틀 학교가 승리 시 브레인 학생들이 학교를 위해 정한 소원 들어주기 (~먹고 싶어요 – 협찬과 연결, 기념사진 찍고 싶어요 – 사진 개개인이 찍어주는 식… 작가와 미리 협의해서 선정)
3. 클로징 -학교 강당에서 배틀교 학생들과 함께 스쿨오브 학 멤버들이 프로그램 이름 부르는 컷 -학교별 브레인 학생들의 소감 인터뷰 짧게 삽입 -처음 오프닝했던 학교 앞 Or 지역 명소 앞에서 클로징멘트
l 해외 특별편 제작도 가능. (학교 다녀오겠습니다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