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희연 해금 교본 1저자최희연출판부산대학교출판부 | 2016.10.28.페이지수128 | 사이즈 210*297mm판매가서적 13,500원
책소개
『최희연 해금 교본』 제1권. 해금 정악의 운지방법을 6가지로 정리하여 128곡의 연습곡을 만들었고, 각각의 연습곡을 활용할 수 있는 정악곡을 함께 실었다. 그리고 책의 오른편에는 정간보, 왼편에는 오선보를 함께 기보하여 실제의 음정을 제시하고, 나아가 오선 악보에 대한 이해력을 돕고자 악보의 효율성을 최대화하였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저자
최희연
저자 : 최희연
저자 최희연
- 국립국악고등학교 졸업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졸업 (교사자격증 취득)
- 서울대학교 대학원 음악과 석사
- 서울대학교 음악박사 (Doctor of Musical Arts)
- 최희연 해금독주회 I (부산문화회관 중강당, 1998)
- 최희연 해금독주회 II (부산 금정문화회관 소극장, 2001)
- 최희연 해금독주회 III (부산문화회관 소극장, 2006)
- 제318회 국립국악원 목요상설 최희연 해금독주회 ‘민들레는 까치가 사랑하였소’
(서울 국립국악원 우면당, 2008)
- 최희연 해금독주회 V ‘영산회상과 산조’ (서울 국립국악원 우면당, 2009)
- 최희연 해금독주회 VI ‘해금, 그 전통과 미래’ (국립부산국악원 예지당, 2011)
- 부암아트홀 초청 토요음악회 최희연 해금독주회VII (서울 부암아트홀, 2012)
- 최희연 해금독주회 VIII ‘평조회상’ (서울 한국문화의집 KOUS, 2013)
- 최희연 해금독주회 IX ‘경풍년과 산조’ (국립부산국악원 예지당, 2013)
- 제56회 조선일보주최 ‘신인음악회’ (서울 세종문화회관 소극장, 1993)
- 서울시 교육청 주관, 그룹 ‘청소년을 위한 음악회’ 9회 (1998~1999)
- 그룹 제1회 정기 연주회 (서울 문화일보홀, 1998)
- ‘원영실, 최희연 異人 음악회’ (서울 국립국악원 우면당, 부산문화회관중강당, 2000)
- 제106회 부산 시립 국악관현악단 정기연주회 해금협연(부산 문화회관 대극장, 2001)
- 제11회 김해시립 가야금연주단 정기연주회 협연 (김해 칠암문화센타, 2003)
-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렉쳐콘서트 I’(서울대학교, 2004)
- 강사준 교수 회갑기념 연주회 해금 협연 (서울 국립국악원 우면당, 2004)
-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해금독주회 I’ (서울대학교 문화관, 2004)
-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렉쳐콘서트 II’ (서울대학교, 2005)
-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해금독주회 II’ (서울대학교 문화관, 2005)
-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해금독주회 III’ (서울대학교 문화관, 2006)
-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해금독주회 IV’ (서울대학교 문화관, 2006)
- Canada Ontario주 Chatham시 Lambton-kent 교육청
교환학생 특강 Lecture Concert “Korean Traditional Music-Haegeum”
(부산 동성초등학교, 2007, 2008)
- 선화 김정자 교수 정년퇴임 기념음악회 (서울 국립국악원 예악당, 2007)
- 제14회 해금연구회 정기연주회 해금협연 (서울 국립국악원 우면당, 20...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접기
목차
책머리에 3
해금에 대하여 7
해금의 구조와 명칭 9
해금 연주 자세 10
활의 사용과 소리내기 13
12율명(律名) 16
정간보 읽기 17
조율과 운지법 19
해금의 표현기호 24
제1지법의 연습곡 29
수연장(밑도드리) 48
제2지법의 연습곡 53
염양춘(계면두거) 62
제3지법의 연습곡 65
만파정식(취타) 76
제4지법의 연습곡 81
송구여(웃도드리) 92
제5지법의 연습곡 97
계면가락도드리 108
제6지법의 연습곡 113
길타령(일승월항) 122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출판사서평
해금은 두 줄로 된 찰현악기(擦絃樂器)입니다. 두 줄 사이에 활을 끼워서 연주하는 해금은 지판(指板)이 없어서 정확한 음자리가 결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오로지 왼손의 장력(張力)과 감각을 이용하여 음높이를 조절해야 합니다. 바로 이러한 점 때문에 누구든 처음 해금을 배우고 연주할 때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본인은 오랜 시간 학교 등의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해금을 가르쳐 왔습니다. 그래서 해금을 전공하기 위해 공부하는 학생들뿐 아니라, 때로는 부전공으로 해금을 선택한 학생들도 가르칠 기회가 있었습니다. 해금을 배울 때는 산조(散調)나 창작곡을 공부하기에 앞서 정악(正樂)을 먼저 공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악을 공부하면서 왼손의 음자리를 익히고, 활의 사용법을 원활하게 하는 연주법을 학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던 중 저는 이 학습과정에서 좀 더 체계적으로 정악곡에 접근하는 방법을 모색하게 되었습니다. 정악을 통한 해금의 학습 도입단계에서는 왼손의 역할이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따라서 왼손의 정확한 운지와 오른손의 활 사용법을 익숙하게 하여 보다 쉽게 정악곡에 접근할 수 있게 유도하는 연습곡의 필요성을 느끼고 이 책을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이 책에서 해금 정악의 운지방법을 6가지로 정리하여 128곡의 연습곡을 만들었고, 각각의 연습곡을 활용할 수 있는 정악곡을 함께 실었습니다. 그리고 책의 오른편에는 정간보, 왼편에는 오선보를 함께 기보하여 실제의 음정을 제시하고, 나아가 오선 악보에 대한 이해력을 돕고자 악보의 효율성을 최대화하였습니다.
그 옛날 피아노를 전공하기 위해 수많은 악보집을 연습하던 저의 유년기를 떠올리며, 해금을 공부하는 많은 학생에게 미력하나마 이 책이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