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문관(無門關) 십사칙(十四則)
남전참묘(南泉斬猫) 남전이 고양이를 베다,
본칙(本則) 역(譯 )
남전 화상은 동당(東堂)과 서당(西堂) 스님들이 고양이를 가지고 다투기에 고양이를 들어 보이고는 말했다. 대중들이여! 한 마디 이를 수 있다면 살려줄 것이요, 이르지 못한다면 베어버리겠다. 대중들이 대답이 없자 남전은 마침내 고양이를 베어 버렸다. 저녁에 조주가 밖에서 돌아오자 남전은 낮에 있었던 일을 조주에게 들려주었다. 그러자 조주는 신을 벗어 머리에 이고는 나가버렸다. 남전이 말했다. 만약 자네가 있었다면 고양이를 구할 수 있었을 텐데!
南泉和尚, 因東西兩堂爭貓兒, 泉乃提起云, 大眾, 道得即救, 道不得即斬卻也. 眾無對, 泉遂斬之. 晚趙州外歸, 泉舉似州. 州乃脫履, 安頭上而出. 泉云, 子若在, 即救得貓兒.
평창(評唱) 역(譯)
무문은 말했다. 자, 말해 보라. 조주가 짚신을 머리에 인 까닭은 무엇일까? 만약 여기에서 한 마디를, 할 수 있다면 곧 남전의 명령이 헛되이 행해진 것이 아님을 알리라. 만약 그렇게 하지 못한다면 위험하다! 無門曰 且道. 趙州頂草鞋意作麼生. 若向者裏下得一轉語, 便見南泉令不虛行. 其或未然, 險.
송(頌) 역(譯)
頌曰 趙州若在, 倒行此令. 奪卻刀子, 南泉乞命.
게송으로 읊다. 조주가 만약 있었다면그 명령을 거꾸로 행했으리. 칼을 빼앗기고 남전도 목숨을 빌었으리.
사족(蛇足)
남전선사(南泉禪師)는 조주선사(趙州禪師) 스승이고 육조혜능(六祖慧能) 대사의 법손(法孫)이다. 한 회상(會上) 총림(叢林)을 꾸릴 만큼 고승대덕(高僧大德)이다. 많은 대중이 모여 살다 보면 하잖은 일을 가지고도 말썽이 난다. 남전선사 회상에서도 동쪽 서쪽 선방(禪房)이 나누어 져 있는데, 고양이 한 마리를 가지고 서로 자기 선방(禪房) 고양이라고 박이 터지게 싸웠다. 싸우는 소리가 조실 방까지 시끄럽게 들리자, 대중이 싸우는 현장에 나와 보니, 고양이 한 마리를 가운데 두고 입에 거품을 물고 눈알을 서로 부릅뜨고 주먹다짐을 하고 있으니, 한심하기 짝이 없는 노릇이다. 출가를, 했으면 일대사를 해결하기 위해서 금쪽같은 시간을 오로지 화두 참선을 해야 할 수행자 수좌들이 고양이 한 마리 때문에, 이런 꼴을 보이니, 조실로서는 특단의 조치가 필요했다. 양쪽 선원 싸움의 발단은 한 마리 고양이로 어리석은 중들의 소유욕 집착이 문제다. 그래서 남전 선사는 고양이 목덜미를 쥐고 계도(戒刀)를 빼어 들고 자~ 일러 보아라! 이 고양이를 살릴 방법을 한 마디 일러들 보아라! 고양이를 살릴 방법을 이르지 못하면 바로 베어버리겠다. 그렇게 소란을 피우던 그 많은 대중 중에 한마디 말하는 사람이 없자, 바로 남전선사는 고양이 목을 베어버렸다. 고양이가 죽자, 양쪽 선방 싸움은 종식이, 되었다. 그러나 낮에 양당 선원 싸움은 고양이가 죽자 끝났지만 그래도 아무 죄도 없는 고양이 죽음이 마음에 남았던지, 외출했다가 밤늦게 돌아온 조주선사에게 낮에 있었던 일을 말하고 그대라면 어찌했겠느냐? 고 묻자, 신고 다니는 짚신을 머리에 이고 뒤도 돌아보지 않고 나가버리자, 그대가 낮에 있었더라면 고양이는 살렸을 텐데 말했다는 선화(禪話)다. 부처님 계율로 보면 살생은, 금물(禁物)이다. 혜개선사는 평창에 조주선사가 짚신을 머리 위에 얹고 나간 뜻이 무엇이며? 낮에 네가 있었다면 고양이는 살렸을 텐데 말한 남전 선사 속내는 무슨 뜻이냐? 이다. 그것을 알아내는 것이 남전참묘(南泉斬猫)의 공안화두(公案話頭)를 알아내는 키, 포인트라고 한다. 보아도 모르면 쥐여주어도 모르는 것이 공안화두다.
화옹송평(和翁頌評) 역(譯)
동당 서당 어리석은 중들이여! 출가 본분을 망각하고 싸움만 하는구나! 나라는 것이 본래 나도 없는데 고양이 한 마리에 집착해서 날마다 싸움질만 하니, 싸움 말리려고 죄 없는 고양이만 베어 버렸구나! 東堂西堂愚癡僧 出家本分忘却爭 我是本來本無我 執着一猫日日諍 無罪斬猫終諍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