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동그라미의 노래
 
 
 
카페 게시글
동그라미의 노래_자료실 스크랩 1대 박혁거세부터 29대 태종무열왕까지 걸쳐온 신라왕의 계보.
동그라미 추천 0 조회 64 10.07.15 11:39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1대 박혁거세부터 29대 태종무열왕까지 걸쳐온 신라왕의 계보.

 

 

1.박혁거세

신라의 시조.

왕호는 거서간(居西干).

13세에 왕위에 올라 재위 17년에 전국을 순시하여 농사와 양잠을 장려하였으며, 21년에는 수

도를 금성(金城)이라고 하고 성을 쌓아 나라의 기틀을 닦았다.

재위 기간은 기원전 57~기원후 3년이다. *박혁거세 거서간

부인:알영

자녀:남해차차웅,일지갈문왕,허루왕(?)

 

2.남해왕

신라의 제2대왕.

박혁거세의 맏아들로, 시조의 능을 짓고 석탈해를 사위를 맞아 대보(大輔)로 삼고 정사를 맡겼다.

제위 기간은 4~24년이다.

*남해 거서간, 남해 차차웅

부인:윤제부인(기록없음)

자녀:유리이사금,아효부인(탈해부인),나로

 

3.유리왕

신라의 제3대왕.

성은 박(), 노례 이사금(弩禮尼師今)이라고도 한다.

육부의 이름을 고치고 성()을 내렸으며 17등 관계(官階)를 제정하였다.

유리왕 5(28)에 신라 가악(歌樂)의 기원인 〈도솔가〉를 지었다.

재위 기간은 24~57년이다. *유리 이사금

부인:박씨(일지갈문왕의 딸,유리와 사촌)

자녀:일성이시금,파사이사금

 

4.탈해왕

신라의 제4대 왕.

()은 석(). 토해(吐解)라고도 한다.

국호를 계림(鷄林)이라 하였으며, 일본과 화친(和親)하면서 백제·가야와 자주 싸움을 벌였

.

재위 기간은 57~80년이다. ≒석탈해·탈해 이사금·토해 이사금.

부인:아효부인(남해의 딸)

자녀:구추(벌휴의 아버지)

 

5.파사왕

신라의 제5대 왕.

성은 박().

월성(月城)을 쌓아 백성을 옮겨 살게 하였으며 음집벌국(音汁伐國)을 정벌하고 여러 나라를

병합하여 국위를 떨쳤다.

재위 기간은 80~112년이다. ≒파사 이사금

부인:사성부인(김알지의 아들인 허루갈문왕의 딸)

자녀:지마이사금

 

6.지마왕

신라 제6대 왕.

`지마(祗磨)’라고도 부른다.

왜국(倭國)과 수교를 맺고, 백제의 협조를 얻어 말갈의 공격을 물리쳤다.

재위 기간은 112~134년이다. ≒지마 이사금·지미왕.

부인: 애례부인 김씨(김알지의 아들인 마제갈문왕의 딸)

자녀:내례부인(아달라의 부인)

 

7.일성왕

신라 제7대 왕

성은 박().

말갈의 침입을 자주 받았으나, 농본국의 정책을 펼쳐 제방을 고쳐 쌓고 농지를 개간하는 한편

백성들의 사치를 금하고 검소한 생활을 장려하였다.

재위 기간은 134~154년이다. ≒일성 이사금.

부인:박씨(지소례왕의 딸,지소례왕의 누군지 모름,)

자녀:아달라 이사금

 

8.아달라왕

신라의 제8대 왕).

성은 박().

()의 설치, 도로의 개통 따위의 내치(內治)에 힘썼다.

재위 기간은 154~184년이다. ≒아달라 이사금.

부인:내례부인(지마이사금의 딸,,사촌)

자녀:??

 

9.벌휴왕

신라 제9대 왕(?~196).

()은 석().

탈해왕의 손자로 처음으로 좌군주(左軍主), 우군주(右軍主)의 군직을 만들어 소문국(召文國)

을 정벌하였다.

재위 기간은 184~ 196년이다. ≒발휘 이사금·벌휴 이사금.

부인:기록없음.

자녀:골정(조분,친해이사금의 부),이매(내해이사금의 부)

 

10.내해왕

신라의 제10대 왕(?~230).

209년 포상 팔국(浦上八國)의 침입을 받은 가락국의 요청으로 구원병을 파견하여 이를 물리

쳤다.

재위 기간에 여러 차례 백제의 침입을 받았으나, 이를 격퇴하였다.

재위 기간은 195~230년이다. ≒내해 이사금.

부인:석씨(골정의 딸)

자녀:우로(명원부인,조분이사금의 딸),이음,아이혜부인(조분이사금의 부인)

 

11.조분왕

신라 제11대 왕(?~247).

성은 석().

감문국(甘文國)을 정벌하여 군()으로 만들고 왜병의 침입을 물리쳤으며, 골벌국(骨伐國)

항복을 받았다.

재위 기간은 230~247년이다. ≒제귀왕·조분 이사금.

부인:아이예부인(5촌 조카)

자녀:명원부인(우로의 부인),광명부인(이추이사금의 부인),유례이사금,걸숙(기림이사금의 부)

 

12.첨해왕

신라 제12대 왕(?~261).

성은 석(). 사량벌국(沙梁伐國)을 쳐서 통합하고 고구려에 사신을 보내어 화친을 맺었으며,

달벌성(達伐城)을 축조하여 백제를 견제하였다.

재위 기간은 247~261년이다. ≒첨해 이사금.

부인:김씨

자녀:모르겠음.

 

13.미추왕

신라의 제13대 왕(?~284).

김씨 왕가의 시조로, 농사를 장려하고 여러 차례에 걸친 백제의 침입을 물리쳤다.

재위 기간은 262~284년이다. ≒미추 이사금.

부인:광명부인(조분이사금의 딸)

자녀:모르겠음.

 

14.유례왕

신라의 제14대 왕(?~298).

286년에 백제와 수교하였고, 297년에는 삼한 소국의 하나인 이서국(伊西國)의 침입을 격퇴

하였다.

재위 기간은 284~298년이다. ≒유례 이사금.

부인,자녀 모르겠음.

 

15.기림왕

신라의 제15대 왕(?∼310).

성은 석(). 조분왕의 손자이며 이찬(伊飡) 걸숙(乞淑)의 아들로, 즉위 3(300)에 왜국과

사신을 교환하였고 빈민을 구제하는 따위의 선정을 폈다.

재위 기간은 298~310년이다.≒기림 이사금·기립왕.

부인,자녀 모르겠음.

 

16.흘해왕

신라의 제16대 왕(?~356).

기림왕이 대를 이을 자식이 없이 죽자 대신들의 추대로 즉위하였다.

재위 기간은 310~356년이다. ≒흘해 이사금.

부인:김씨

 

17.내물왕

신라 제17대 왕(?~402).

고대 국가 체제를 갖추고 왕권을 강화했으며, 이 시기에 한자가 처음 사용된 듯하다.

재위 기간은 356~402년이다. ≒내물 이사금.

부인:보반부인(미추의 딸)

자녀:눌지이사금,복호,미사흔

 

18.실성왕

신라 제18대 왕(?~417).

성은 김(). 내물왕이 죽자 즉위하였으며, 고구려·일본과 수호를 맺었다.

재위 기간은 402~417년이다. ≒실금왕.

부인:아류부인 김씨(미추의 딸로 기록되어있으나 내물의 딸로 해석됨.)

자녀:아로(눌지왕비)

 

19.눌지왕

신라 제19대 왕(?~458).

고구려에 볼모로 갔다가 돌아와 실성왕(實聖王)을 죽이고 왕위에 올랐다.

백제와 공수 동맹(攻守同盟)을 맺어 고구려를 견제하였으며, 왕위의 부자 상속제를 확립하였

. ≒눌지 마립간.

부인:아로부인(실성의 딸)

자녀:자비이사금,조생부인(지증의 모)

 

20.자비왕

신라 제20대 왕(?~479).

459년 월성(月城)에 침입한 왜인(倭人)을 격퇴하였고, 474년 고구려가 백제를 공격하였을

때 백제와 나제 동맹을 맺었다.

재위 기간은 458~479년이다. ≒자비 마립간.

부인:김씨(파호갈문왕의 딸),김씨(미즐희의 딸),김씨(미사흔의 딸)

자녀:소지마립간

 

21.소지왕

신라의 제21대 왕(?~ 500).

각 지방에 우역(郵驛)을 두었고, 경주에 시장을 설치하였다.

백제와는 혼인 동맹을 맺고, 고구려와는 여러 번 싸웠다.

재위 기간은 479~500년이다. ≒비처 마립간·소지 마립간.

부인:선혜부인(내숙의 딸,삼국유사에 거문고 갑을 쏘라는 이야기 주인공),묘심과 사통

자녀:오도(위화랑과 사통하여 옥진공주와 금진을 낳음.)

벽화부인(위화랑의 동생),보도(법흥왕의 비)

 

 

22.지증왕

신라 제22대 왕(437~ 514).

성은 김(). 이름은 지대로(智大路지도로(智度路지철로(智哲老).

국호를 신라로 정하고 왕이라는 칭호를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순장법(殉葬法)을 금하고 농사를 장려하여 우경법(牛耕法)을 처음으로 시행하였으며, 울릉도

를 점령하여 국토를 개척하고, 중국식을 따라 왕에게 시법(諡法)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재위 기간은 500~514년이다. ≒지증 마립간.

부인:연제부인

자녀:법흥왕,입종갈문왕(진흥왕의 부)

 

23.법흥왕

신라 제23대 왕(?~540).

성은 김(). 이름은 원종(原宗).

이 무렵 불교가 들어왔고, ‘건원(建元)’이라는 연호를 썼다.

처음으로 율령을 반포하여 백관(百官)의 공복(公服)을 정하는 등 국가 체제의 확립에 힘을 기

울였다.

재위 기간은 514~540년이다.

부인:보도부인(소지마립간의 딸)-자녀:지소태후(진흥왕의 모)

옥진공주(위화랑과 오도의 딸)-자녀;비대(아들)

벽화부인(소지왕의 후비)-자녀:삼엽()

보과부인(백제 동성왕의 딸)-자녀:남모(),모랑(아들,3세 풍월주)

계부 박영실

박이사부와 사통 -자녀: 세종(아들),황화,숙모(진지왕의 모),송화,3 궁주를 낳음.

이화랑(위화랑의 아들)과 사통 - 자녀:만호낭주

 

24.진흥왕

신라 제24대 왕(534~576).

성은 김(). 이름은 삼맥종(三麥宗심맥부(深麥夫).

한강 하류 지역을 빼앗아 삼국 통일의 기반을 마련하였고, 변경에 순수비를 세웠다.

팔관회를 처음 열었으며, 황룡사를 지어 불교 진흥에 힘썼다.

또 화랑 제도를 창시하고 《국사(國史)》를 편찬케 하였으며, 가야금을 제작·연주하게 하는

따위의 문화 창달에도 이바지하였다.

재위 기간은 540~576년이다.

부인:사도부인-자녀:동륜(진평왕의 부)구륜

숙명궁주 박씨(지소태후와 박 이사부의 딸),이화랑과 사통)-자녀:진진왕(이화랑의 자식?)

이화랑과의 자녀:원광,보리,화명,옥명

소비 부여씨

월화궁주 김씨:자녀 천주

금진(위화랑과 오도의 딸)-자녀:난성공주,보명궁주(진흥왕의 아들 동륜과 사통)

 

25.진지왕

신라 제25대 왕(?~579).

성은 김, 이름은 사륜(舍輪)·금륜(金輪).

내리서성(內利西城)을 쌓아 백제의 잦은 침공을 방비하였다.

상대등 거칠부에게 국사를 맡겼으며, 중국 진()나라에 조공을 바쳐 화친하였다.

실정으로 폐위 되었다.

재위 기간은 576~579년이다.

부인

지도부인(선혜왕후의 사자인 기오와 홍도낭주-사자부인의 자매-의 딸, 원래 동륜과 결혼하였으나 서로 관심이 없어 진지왕과 사통, 진평왕과도 관계)

도화랑()

자녀

용수-진지왕의 아들인지 동륜의 아들인지 분명치 않음,

천화공주(후에 용춘에게 재가),

천명공주(용수 사후 용춘에게 재가)

용춘- 부인 천명공주(무열왕의 어머니), 호명공주

비형(도화녀의 자)

 

26.진평왕

신라 제26대 왕(?~632).

성은 김. 이름은 백정(白淨).

중국 수나라와 친교를 맺고 불교의 진흥을 꾀하였다.

진지왕이 폐위되자 진지왕의 형인 동륜의 아들로 왕위를 계승 하였다.

609년에 수나라의 도움을 받아 고구려를 원정하였고, 당나라가 선 뒤에도 계속 친교를 맺어 고구려를 견제하였다.

재위 기간은 579~632년이다.

부인

마야부인(갈문왕 복승의 딸) 천명, 덕만을 낳음

승만부인

화명부인

옥명부인- 자녀:미실(),미생(아들)

(아시공과 삼엽궁주의 아들인 미진부+묘도)-미실, 미생 미실이 처음으로 만난 남자는 이사부와 지소태후의 아들인 박세종, 지소태후에게 쫓겨난 후 사다함(비량과 위화랑의 누나인 벽화의 아들인 구리지와 위화랑의 딸 금진의 아들)과 관계. 그러다 사다함이 전장에 나가있는동안 세종의 정부인이 되어 사다함은 죽고 미실이 아들을 낳는데 하종이다( 하종이 사다함의 아들이라는 설이 있음.) 그 이후 미실은 사람이 변하여 색욕과 권력욕만 남게 됨. 동륜의 아이를 임신하고 진흥왕과도 관계. 그리고 원화가 된 후 설원랑(금진과 설성의 아들인)과 관계하고 자신의 친남동생인 미생과도 관계. 그러다 동륜의 사망사건으로 궁궐에서 쫓겨남. 그러다 진흥왕이 다시 그녀를 찾고 진지왕도 그녀와 결탁하던 중 진흥왕 사망. 사도부인과 함께 자신의 말을 듣지 않는다고 진지왕 폐위. 13살의 어린 진평왕의 첫여자가 됨. 그 후에도 20여년가 권력을 휘두르다 죽음.

(비조부와 가야왕 찬실의 딸 문화공주가 사통하여 낳은 아들)과 윤궁(거칠부와 미진부의 누나 )사이에서 태어남.

 

27.선덕여왕(진평왕의 자녀)

신라 제27대 왕(?~647).

성은 김. 이름은 덕만(德曼).

진평왕이 아들이 없이 죽자, 여자로서 신라 첫 번째 왕이 되었다. 김춘추에게 중국 당나라의 원군을 청하게 하여 백제를 침공하고, 9(640)에는 당나라에 유학생을 보내어 그 문화를 받아들였다.

재위 기간은 632~647년이다.

삼서제로 남편을 3명 둠.

남편:용춘(선덕여왕 남편 부군), 흠반, 을제

 

28.진덕여왕

신라 제28대 왕(?~654).

성은 김. 이름은 승만(勝曼).(진평왕의 동생인 갈문왕 국반과 월명부인의 딸)

연호를 태화(太和)로 정하고, 648년 김춘추를 당나라에 보내 군사 원조를 받았으며 김유신을 기용하여 국력을 키워 삼국 통일의 기초를 닦았다.

성골이 대가 끊어지다.

재위 기간은 647~654년이다.

남편:?

자녀:?

 

29.태종무열왕

신라의 제29대 왕(602~661).

성은 김. 이름은 춘추(春秋). 묘호는 태종(太宗). 진지왕의 손자로 신라 첫 번째 진골출신 왕이 되었다. 율령을 정비하고, 당나라와 연합하여 660년 백제를 멸망시키고 삼국 통일의 기반을 닦았다.

재위 기간은 654~661년이다. ※무열왕.

부인: 보량궁주(설화랑과 미실의 아들인 보종의 딸)

자녀-딸 고타소를 둠(김품석과 결혼) 둘째 아기를 출산하다 죽음.

문명부인(김유신의 여동생): 자녀- 문무왕, 인문, 문왕, 노차, 지경, 개원, 지소()를 낳음.

보희부인(김유신의 여동생, 문명의 언니) : 자녀- 개지문, 차득령, 마득외 딸 둘을 낳음

자녀 11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