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회시운(輪廻時運)
(천도교) 수레바퀴처럼 돌고 도는 운수
■ 윤회(輪廻)
윤회 또는 삼사라(輪廻, 산스크리트어: संसार 삼사라, reincarnation, rebirth, cyclicality of life or existence)는 다르마 계통 종교들의 주요 교리로서,
해탈의 경지에 도달하지 못한 사람은 그 깨달음, 경지 또는 구원된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하여 이 세상으로 재탄생한다는 내용의 교리이다.
이 세상에서 겪는 삶의 경험이 자신의 발전에 더 이상 필요치 않는 상태 또는 경지에 도달할 때 비로소 이 세상으로의 윤회가 끝난다.
윤회, 즉, 삶과 죽음의 인생사는 어둠을 극복하여 깨달음 또는 구원에 이르는 여정이다.
힌두교 · 자이나교 · 불교 · 시크교 등 주로 인도계 종교에서 윤회를 믿으며 중요한 교의 중의 하나로 여기고 있다.
서양의 경우, 고대 이집트 종교 · 피타고라스 학파 · 영지주의 · 헤르메스주의(Hermeticism) 등에서 윤회를 믿었거나 믿고 있다.
■ 헤르메스주의(Hermeticism)
헤르메스주의(Hermeticism),헤르메스학 또는 서양의 헤르메스 전통(Western Hermetic Tradition)은 이집트 신인 토트와 그리스 신인 헤르메스가 결합된 신 또는 반신적 존재인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의 저작인 것으로 전통적으로 가정하는, 혼합주의가 널리 행해졌던 헬레니즘 이집트(305~30 BC) 시대와 기원후 1~3세기에 주로 성립된 외경적인 저작들("코르푸스 헤르메티쿰")에 기초하는 일군의 철학적 · 종교적 믿음들 또는 지식들("그노시스")이다.
헤르메스주의의 믿음들 또는 지식들은 서양의 밀교 전통에 심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르네상스(14~16세기) 시대 동안 크게 중요시되었다.
어원
기원전 5세기 초 그리스 고전기의 헤르마의 두상: 수염이 있는 헤르메스를 표현하고 있다.
기원전 520년경의 그리스 고전기의 헤르마: 헤르메스를 나타낸 것으로 여겨지며 남근이 남아 있는 희귀한 사례이다.
"헤르메스의 · 헤르메스주의의"로 번역되는 "허메틱(Hermetic)"이라는 낱말은 중세의 라틴어 "헤르메티쿠스(Hermeticus)"로부터 왔다.
그리고 라틴어 "헤르메티쿠스"는 그리스 신 헤르메스(Hermes)의 이름에서 유래하였다. 예를 들어, 프란츠 바르돈(Franz Bardon)에 대해 말할 때 헤르메스주의의 저술가들(Hermetic writers) 중의 한 명이라고 할 때 처럼, 허메틱(Hermetic)이라는 영어 형용사 단어가 사용된 것은 17세기부터이다.
"허메틱"과 동의어인 "허메티컬(Hermetical)" 역시 17세기에 나타났다. 한 예로, 토머스 브라운 경(Sir Thomas Browne)은 1643년에 출판된 자신의 저서 《레리기오 메디시(Religio Medici)》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이제, 이들 개별적이고 담당하는 일이 서로 별도인 영(靈)들 외에도, 내가 아는 한, 세상 전체에 상응하는 어떤 보편적이고 공통되는 대령(大靈)이 있을 것이다. 이는 플라톤이 가졌던 견해였으며 또한 현 시대까지의 "헤르메스주의의 철학자들(Hermetical Philosophers)"이 지금도 여전히 가지고 있는 견해이다.
— 《레리기오 메디시(Religio Medici)》, 1부 32절
그리스 신 '헤르메스(Hermes)' 이름의 어원이 그리스어 "헤름(Herm)" 또는 "헤르마(Herma)"에 있으므로 "허메틱(Hermetic)"이라는 낱말의 어원도 최종적으로는 그리스어 헤름 또는 헤르마에 있다.
헤름 또는 헤르마는 그리스 고전기 이전의 고대 그리스에서 사용되었던 "사각형의 기둥 또는 석주(石柱)로 맨 위에는 수염이 있는 두상이 놓여 있다.
이러한 형태의, 사지가 없는 사각형의 헤르메스 기둥은 가공되지 않은 바위에서 한 단계 더 진전된 형태의 것이다."
"헤르메스"라는 단어의 기원은 신들과 의사소통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던 석주와 관련이 있으며 "헤름(Herm)"으로 시작되는 이름들이 사용된 것은 최소한 기원전 600년 전부터이다.
고전기 이전의 그리스인들은, 지금의 "신(god 또는 God)"이라는 단어처럼, 모든 신에 대해 사용하는 일반 명칭으로 "헤르메스(Hermes)"라는 이름을 사용하였으며, 헤르메스가 지식의 신과 관련 맺어진 것은 기원후 2세기의 아테네에서였다.
"허메틱(Hermetic)"이라는 낱말은 존 에버라드(John Everard)가 라틴어본으로부터 영문 번역하여 1650년에 출판한 《코르푸스 헤르메티쿰》의 "포이만드레스(Pimander)"에서 사용되었다.
메리 앤 애트우드(Mary Anne Atwood)는 듀프레즈노이(Dufresnoy)가 허메틱이라는 낱말이 1386년에 사용되었다고 말했다는 것을 자신의 저서에서 언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