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요약 1
13. I Chronicles [krɑ́niklz / krɔ́n 크라니클즈] : 역대상(歷代上)
* sources : “Good News Translation English Bible Overview” (GNT영어성경 개요)
(Korean Translation : Lee Chang-bok)
1) I Chronicles Introduction (GNT Bible) : 역대상 소개
First and Second Chronicles are largely a retelling of events recorded in the books of Samuel and Kings but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Two main purposes govern the account of the history of the Israelite monarchy in the books of Chronicles:
역대상․역대하는 주로 사무엘서와 열왕기서에 기록 된 사건을 다른 관점에서 다른 형식으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역대기에서 다루고 있는 이스라엘 군주제 역사에 대한 설명의 주목적은 크게 다음 두 가지입니다.
1) To show that in spite of the disaster that had fallen upon the kingdoms of Israel and Judah, God was still keeping his promises to the nation and was working out his plan for his people through those who were living in Judah. As a basis for this assurance, the writer looked to the great achievements of David and Solomon, to the reforms of Jehoshaphat, Hezekiah, and Josiah, and to the people who remained faithful to God.
1) 이스라엘과 유다 왕국에 재난이 닥쳤음에도 불구하고 하나님께서 백성에 대한 약속을 지키시며 유다에 사는 사람들을 통해 자신의 백성을 위한 하나님의 계획을 세우고 계심을 보여주기 위해서입니다. 필자는 이러한 확신을 주는 근거로 다윗과 솔로몬의 위대한 업적, 여호사밧과 히스기야와 요시야의 개혁, 그리고 하나님께 신실한 백성을 주목하였습니다.
2) To describe the origin of the worship of God in the Temple at Jerusalem and especially the organization of the priests and Levites, by which the worship was carried out. David is presented as the real founder of the Temple and its ritual, even though it is Solomon who builds the Temple.
2) 예루살렘 성전에서 하나님을 예배하는 기원, 특히 예배를 드리는 제사장과 레위 인의 조직을 설명하기 위함입니다. 성전을 지은 사람이 솔로몬임에도 불구하고 성전과 그 의식의 진정한 창시자로 다윗이 소개되고 있습니다.
2) Outline of Contents : 내용 개요
Genealogies and lists (1.1—9.44) : 족보 및 목록 (1.1 ~ 9.44)
The death of Saul (10.1-14) : 사울의 죽음 (10.1-14)
The reign of David (11.1—29.30) : 다윗의 통치 (11.1 ~ 29.30)
a. Troubles and achievements (11.1—22.1) : 고난과 업적 (11.1-22.1)
b. Preparations for building the Temple (22.2—29.30) : 성전 건축을 위한 준비 (22.2 ~ 29.30)
*** 요약 2
Summary
Summary of the Book of 1 Chronicles
This summary of the book of 1 Chronicles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title, author(s), date of writing, chronology, theme, theology, outline, a brief overview, and the chapters of the Book of 1 Chronicles.
요약
역대상 요약
역대상 요약본은 역대상 책의 제목, 저자, 저작 연대, 연대기, 주제, 신학, 개요, 간략한 개요, 각 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Title
The Hebrew title (dibre hayyamim) can be translated "the events (or annals) of the days (or years)." The same phrase occurs in references to sources used by the author or compiler of Kings (translated "annals" in, e.g., 1Ki 14:19,29; 15:7,23,31; 16:5,14,20,27; 22:45). The Septuagint (the pre-Christian Greek translation of the OT) refers to the book as "the things omitted," indicating that its translators regarded it as a supplement to Samuel and Kings. Jerome (a.d. 347-420), translator of the Latin Vulgate, suggested that a more appropriate title would be "chronicle of the whole sacred history." Luther took over this suggestion in his German version, and others have followed him. Chronicles was first divided into two books by the Septuagint translators.
제목
히브리어 제목(다이브레 하야밈)은 "그날의/그해의 사건들(또는 연대기)" 또는 [그 시대의 말씀들]로 번역될 수 있습니다. 같은 문구가 열왕기의 저자나 편찬자가 사용한 출처에 대한 언급에서도 나타납니다(예: 왕상 14:19,29; 15:7,23,31; 16:5,14,20,27; 22:45). 칠십인역(구약의 기독교 이전 그리스어 번역본)은 이 책을 "생략된 것/누락된 것"이라고 언급하는데, 이는 번역자들이 이 책을 사무엘서와 열왕기에 대한 보충 자료로 간주했음을 나타냅니다. 라틴 벌게이트의 번역가인 제롬(주후 347-420)은 더 적절한 제목이 "성스러운 역사 전체의 연대기/거룩한 역사 전체의 연대기"가 될 것이라고 제안했습니다. 루터는 그의 독일어 버전에서 이 제안을 받아들였고 다른 사람들도 그를 따랐습니다. 역대기는 처음에 칠십인역 번역자들에 의해 두 권의 책으로 나누어졌습니다.
What is the Latin Vulgate Bible? “The Vulgate” is the popular name given to the Latin version of the Bible, a translation usually attributed to Jerome. Before Jerome’s time, as the number of Latin-speaking Christians grew, the Bible was translated into Latin so that the Christians of the time could understand it. It is believed that the first Latin translation was completed around A.D. 200, although no manuscripts of this era exist today. The first Latin manuscripts were surely created in North Africa, for it seems that the church in North Africa was Latin-speaking from the start as compared to the predominantly Greek-speaking churches in Asia and Europe. 라틴어 벌게이트 성경이란 무엇입니까? "The Vulgate"는 일반적으로 제롬이 번역한 라틴어 성경에 붙은 유명한 이름입니다. 제롬 이전에는 라틴어를 사용하는 기독교인이 늘어남에 따라 당시 기독교인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성경을 라틴어로 번역했습니다. 최초의 라틴어 번역본은 A.D. 200년경에 완성된 것으로 여겨지지만, 오늘날 이 시대의 사본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최초의 라틴어 사본은 확실히 북아프리카에서 만들어졌는데, 이는 북아프리카의 교회가 아시아와 유럽의 주로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교회와 비교할 때 처음부터 라틴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Two centuries later Pope Damasus I commissioned a scholar by the name Jerome to produce one standard Latin text of the Bible; there were as many different Latin versions of the Bible as there were different forms of the text, and Damasus wanted the church to have a standard version to promote universal doctrine. Jerome completed the translation in A.D. 400, and his version was known as the editio vulgate (the current text of Holy Scripture), because he used the common (or vulgar) language of early medieval times. 200년 후에 교황 다마수스 1세는 제롬이라는 이름의 학자에게 하나의 표준 라틴어 성경을 만들도록 위임했습니다. 다양한 형태의 본문만큼이나 다양한 라틴어 버전의 성경이 있었고, 다마수스는 교회가 보편적인 교리를 장려하기 위해 표준 버전을 갖기를 원했습니다. Jerome은 A.D. 400년에 번역을 완료했으며 그의 번역본은 중세 초기의 일반(또는 일반 대중) 언어를 사용했기 때문에 editio vulgate(현재의 성경 본문)로 알려졌습니다. Jerome started by revising the Gospels, using the Greek manuscripts available. This he did because of the vast differences he found in the various Latin texts that were available. About the same time, he started revising the Old Testament by using the Septuagint (a Greek version of the Old Testament). Jerome also translated the Old Testament into Latin by using the Hebrew text, a task he did without ecclesiastical sanction. The present Vulgate contains elements which belong to every period of its development, including Jerome은 사용 가능한 그리스어 사본을 사용하여 복음서를 개정하는 것으로 시작했습니다. 그는 사용 가능한 다양한 라틴어 텍스트에서 발견한 엄청난 차이점 때문에 그렇게 했습니다. 거의 동시에 그는 칠십인역(구약의 그리스어 버전)을 사용하여 구약을 개정하기 시작했습니다. 제롬은 또한 교회의 승인 없이 히브리어 본문을 사용하여 구약성경을 라틴어로 번역했습니다. 현재 불가타성경은 다음을 포함하여 개발의 모든 기간에 속하는 요소를 포함합니다. (1) an unrevised Old Latin text of the Book of Wisdom, Ecclesiasticus, 1 and 2 Maccabees, and Baruch; (2) an Old Latin form of the Psalter, which Jerome corrected from the Septuagint; (3) Jerome’s free translation of the books of Job and Judith; (4) Jerome’s translation from the Hebrew Old Testament excluding the Psalter; (5) an Old Latin revision of the Gospels from Greek manuscripts; (6) an Old Latin New Testament, revised. (1) 지혜서, 전도서, 마카베오 1, 2, 바룩의 개정되지 않은 고대 라틴어 본문; (2) 제롬이 70인역에서 수정한 시편의 고대 라틴어 형식; (3) 욥기와 유딧기에 대한 제롬의 의역(意譯); (4) 시편을 제외한 히브리어 구약성경에서 제롬의 번역; (5) 그리스어 사본에서 복음서의 고대 라틴어 개정판; (6) 개정된 구 라틴 신약. Some of the books mentioned belong to a division known as the "Apocrypha," normally considered books of Jewish origin which lie outside the canon of the Old Testament. 언급된 책 중 일부는 일반적으로 구약 정경 밖에 있는 유대교 기원의 책으로 간주되는 "외경"으로 알려진 분류에 속합니다. 자료출처 : What is the Latin Vulgate Bible? | GotQuestions.org |
Author, Date and Sources
According to ancient Jewish tradition, Ezra wrote Chronicles, Ezra and Nehemiah (see Introduction to Ezra: Literary Form and Authorship), but this cannot be established with certainty. A growing consensus dates Chronicles in the latter half of the fifth century b.c., thus possibly within Ezra's lifetime. And it must be acknowledged that the author, if not Ezra himself, at least shared many basic concerns with that reforming priest -- though Chronicles is not so narrowly "priestly" in its perspective as was long affirmed.
저자, 날짜 및 출처
고대 유대 전승에 따르면 에스라가 역대기, 에스라, 느헤미야를 기록했지만(에즈라 소개: 문학적 형식과 저자 참조), 이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점점 더 많은 합의가 역대기의 연대를 주전 5세기 후반으로, 따라서 아마도 에스라의 생애 안에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에스라 자신은 아니더라도 저자는 적어도 개혁을 추구하는 그 제사장과 많은 기본적인 관심사를 공유했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합니다. 비록 역대기는 그 관점에서 오랫동안 확인된 것처럼 그렇게 좁게 "제사장적"인 것은 아니지만 말입니다.
Some believe the text contains evidence here and there of later expansions after the basic work had been composed. While editorial revisions are not unlikely, all specific proposals regarding them remain tentative.
In his recounting of history long past, the Chronicler relied on many written sources. About half his work was taken from Samuel and Kings; he also drew on the Pentateuch, Judges, Ruth, Psalms, Isaiah, Jeremiah, Lamentations and Zechariah (though he used texts of these books that varied somewhat from those that have been preserved in the later standardized Hebrew texts).
일부는 본문이 기본 작업이 구성된 이후에 나중에 확장되었다는 증거가 여기 저기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편집 수정이 가능성이 낮은 것은 아니지만 이와 관련된 모든 구체적인 제안은 잠정적인 상태로 남아 있습니다.
오랜 과거의 역사를 열거할 때 역대기 작가는 많은 서면 자료에 의존했습니다. 그의 작품의 약 절반은 사무엘서와 열왕기에서 가져왔습니다. 그는 또한 모세 오경, 사사기, 룻기, 시편, 이사야서, 예레미야서, 애가서, 스가랴서를 인용했습니다(그는 나중에 표준화된 히브리어 본문에 보존된 본문과 다소 다른 이 책들의 본문을 사용했지만).
And there are frequent references to still other sources: "the book of the kings of Israel" (9:1; 2Ch 20:34; cf. 2Ch 33:18), "the book of the annals of King David" (27:24), "the book of the kings of Judah and Israel" or ". . . of Israel and Judah" (2Ch 16:11; 25:26; 27:7; 28:26; 32:32; 35:27; 36:8), "the annotations on the book of the kings" (2Ch 24:27). It is unclear whether these all refer to the same source or to different sources, and what their relationship is to Samuel and Kings or to the royal annals referred to in Kings.
그리고 여전히 다른 출처에 대한 언급이 자주 등장합니다. "이스라엘 열왕기" (9:1; 대하20:34; 대하 33:18), "다윗 왕 역대지략" (27:24), "유다와 이스라엘 왕들의 책" 이를테면 "이스라엘과 유다의 왕들의 책" (대하 16:11; 25:26; 27:7; 28:26; 32:32; 35:27; 36:8), "왕들의 책에 대한 주석" (24:27:27), "왕들의 책에 대한 주석" (대하24:27). 이 모든 것들이 동일한 사료를 언급하는지 아니면 다른 사료를 언급하는지, 그리고 사무엘과 왕들 또는 왕들에 언급된 왕실 연보와 그들의 관계가 무엇인지는 불분명합니다.
In addition, the author cites a number of prophetic writings: those of "Samuel the seer" (29:29), "Nathan the prophet" (29:29; 2Ch 9:29), "Gad the seer" (29:29), "Ahijah the Shilonite" (2Ch 9:29), "Iddo the seer" (2Ch 9:29; 12:15; 13:22), "Shemaiah the prophet" (2Ch 12:15), "the prophet Isaiah" (2Ch 26:22), "the seers" (2Ch 33:19). All these he used, often with only minor changes, to tell his own story of the past. He did not invent, but he did select, arrange and integrate his sources to compose a narrative "sermon" for postexilic Israel as she struggled to reorient herself as the people of God in a new situation.
또한 저자는 "선견자 사무엘"(29:29), "선지자 나단"(29:29; 대하 9:29), "선견자 갓"(29:29), "실로 사람 아히야"(대하 9:29), "선견자 잇도"(대하 9:29; 12:15; 13:22), "예언자 스마야"(대하 12:15), "예언자 이사야" "(대하 26:22), "선견자들"(대하 33:19)의 예언적 글을 인용합니다. 그는 이 모든 것을 종종 약간만 변경하여 과거에 대한 자신의 이야기를 전달하는 데 사용했습니다. 그는 꾸며내지는 않았지만 바빌론유배기 이후의 이스라엘이 새로운 상황에서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자신의 방향을 재정립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동안 이야기 "설교"를 구성하기 위해 그의 자료를 선택, 정리 및 통합했습니다.
Purpose and Themes
Just as the author of Kings had organized and interpreted the data of Israel's history to address the needs of the exiled community, so the Chronicler wrote for the restored community. The burning issue was the question of continuity with the past: Is God still interested in us? Are his covenants still in force? Now that we have no Davidic king and are subject to Persia, do God's promises to David still have meaning for us? After the great judgment (the dethroning of the house of David, the destruction of the nation, of Jerusalem and of the temple, and the exile to Babylon), what is our relationship to Israel of old? Several elements go into the Chronicler's answer:
목적 및 주제
열왕기의 저자가 포로된 공동체의 필요를 해결하기 위해 이스라엘 역사의 데이터를 조직하고 해석한 것처럼 역대기 기자도 회복된 공동체를 위해 기록했습니다. 뜨거운 쟁점은 과거와의 연속성에 대한 질문이었습니다. 하나님은 여전히 우리에게 관심이 있으신가요? 그분의 언약은 여전히 유효합니까? 이제 우리에게는 다윗 왕이 없고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고 있는데, 다윗에게 하신 하느님의 약속이 여전히 우리에게 의미가 있습니까? 대심판(다윗 가문의 폐위, 나라와 예루살렘과 성전의 멸망, 바벨론으로의 유배) 이후에 고대 이스라엘과 우리의 관계는 어떠한가? 여러 요소가 역대기 작가의 답변에 포함됩니다.
Portrait of David and Solomon
The bulk of the Chronicler's history is devoted to the reigns of David (chs. 11 - 29) and Solomon (2Ch 1-9). His portraits of these two kings are quite distinctive and provide a key to his concerns:
The Chronicler also uses other models from Pentateuchal history in his portrayal of David and Solomon. Like Moses, David received the plans for the temple from God (28:11-19; Ex 25:9) and called on the people to bring voluntary offerings for its construction (29:1-9; Ex 25:1-7). Solomon's relationship to Huram-Abi, the craftsman from Tyre (2Ch 2:13-14), echoes the role of Bezalel and Oholiab in the building of the tabernacle (Ex 35:30 -- 36:7). See note on 2Ch 1:5.
다윗과 솔로몬 묘사(기술)
역대기 기자의 역사기술의 대부분은 다윗(11-29장)과 솔로몬(대하 1-9장)의 통치에 할애되어 있습니다. 이 두 왕에 대한 그의 기술은 매우 독특하며 그의 관심사에 대한 핵심을 제공합니다.
역대기 기자는 또한 다윗과 솔로몬을 묘사할 때 오경 역사의 다른 모델을 사용합니다. 모세처럼 다윗도 하나님께 성전 설계도를 받고(28:11-19; 출 25:9) 성전 건축을 위해 백성들에게 자원하여 헌물을 가져오라고 촉구했습니다(29:1-9; 출 25:1-7). . 솔로몬과 두로의 장인 후람-아비와의 관계(대하 2:13-14)는 성막 건축에서 브살렐과 오홀리압의 역할을 반영합니다(출 35:30-36:7). 대하 1:5 주석 참조.
Genealogies
Analysis of genealogie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Bible, has disclosed that they serve a variety of functions (with different principles governing the lists), that they vary in form (some being segmented, others linear) and depth (number of generations listed), and that they are often fluid (subject to change).
족보
성경 안팎의 족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족보가 다양한 기능(목록을 관리하는 서로 다른 원칙과 함께)을 제공하고 형식(일부는 세분화되고 일부는 선형)과 깊이(나열된 세대의 수)에서 다양하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종종 유동적입니다(변경될 수 있음).
*** 역대기 족보의 특징
역대상 1-9장의 족보는 크게 3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째, 다윗 가문의 계보(대상1:1-3:24)입니다. 선민 이스라엘의 족보를 아담부터 시작하여 유다 지파를 중심으로 다윗 가문에 이르기까지 기록하고 있습니다. 다윗 왕가의 족보에는 남유다 왕국을 지나 바벨론 포로로 끌려갔다가 돌아온 스룹바벨을 비롯하여(대상 3:19), 그 후손 에료에내의 일곱 아들들까지 기록되어 있습니다(대상 3:24).
둘째, 이스라엘 12지파의 계보(대상 4:1-8:40)입니다.
이스라엘 12지파의 원 조상인 야곱의 12아들부터 시작하여 포로 귀환 전까지의 각 지파별 계보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포로 귀환이라는 다소 혼란한 역사적 상황 속에서 성전 중심의 예배 회복이라는 중차대한 사명을 감당해야 하는 레위 지파의 비중을 높이 두고, 남 유다 왕국을 형성하였던 유다 지파의 베냐민 지파가 상대적으로 강조되어 있습니다. 스불론 지파와 단 지파는 아예 그 기록이 생략되어 있습니다.
셋째, 바벨론 포로 귀환 세대의 지파별 계보(대상 9:1-44)입니다. 역대상 9:1-9에는 남 유다 백성의 주요 귀환자 명단, 역대상 9:10-13에는 귀환한 제사장 명단, 역대상 9:14-34에는 귀환한 레위인 명단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느헤미야의 포로 귀환자 명단과 관련되어 있습니다(느11:3-24).
이렇게 계보를 기록함에 있어서 주로 제사장과 레위인을 강조한 것은, 선민 국가로서의 회복을 이루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하나님께 예배드리는 일과 하나님 중심의 삶이라는 것을 보여 줍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역대기 족보에 나타난 몇 가지 특징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구약의 전 역사를 이름으로 압축한 족보입니다.
1) 구약의 전 역사를 압축하고 있습니다.
‘역대기’는 히브리어 ‘디브레 하야밈’으로 ‘그 시대의 말씀들’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라틴역 벌게이트 성경은 ‘거룩한 역사 전체의 연대기’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역대기 족보는 아담부터 통일 왕국과 남 유다를 중심으로 한 분열 왕국 시대의 모든 역사, 그리고 제 1차 바벨론 포로 귀환 이후에 이르기까지 약 3600년이 넘는 구약 역사의 구속사적 흐름을 이름으로 압축하여 기록하고 있습니다. 역대기 족보는 구약성경 전체 역사의 압축이면서 나아가 그 역사에 대한 구속사적 해석입니다.
2) 가장 많은 이름이 등장하는 족보입니다.
역대기 족보는 창세기에 언급된 인물들로부터 바벨론에서 귀환한 세대까지를 대부분 이름만으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성경의 족보를 구성하는 핵심이자 기본 요소는 ‘이름’입니다. 성경의 족보를 구성하는 핵심이자 기본 요소는 ‘이름’입니다. 이름은 한 사람의 생애와 함께 그 주변 인물과의 관계, 그가 속한 나라의 역사, 그와 맞물린 세계사의 시대적 흐름까지 담고 있습니다. 역대기 족보는 기록된 모든 이름뿐만 아니라 인물의 명수까지도 중요합니다. 역대상 1-9장에 기록된 인명의 수(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역대상 1장(1-54절)
아담부터 야곱까지의 족보로, 총 191명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남자 165, 여자 3, 족장 12, 족속 11)
-역대상 2장(1-55절) 유다 지파의 족보로, 총 161명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남자 133, 여자 13, 족속 15)
-역대상 3장(1-24절) 다윗과 그 후손의 족보로, 총 89명(남자 80, 여자 9)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역대상 4장(1-43절)
유다 지파와 시므온 지파의 족보로, 유다 지파(1-22절)가 108명 (남자 96, 여자 7, 족속 5), 시므온 지파 (24-42절)가 40명(남자 40)으로 총 148명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역대상 5장(1-26절) 요단 동쪽 지파들(르우벤, 갓, 므낫세 반 지파)의 족보로, 총 60명(남자60)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역대상 6장(1-81절) 레위인의 족보로, 총 119, (남자 107, 여자 1, 지파 11)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역대상 7장(1-40절) 북쪽 지파들(잇사갈, 베냐민, 납달리)과 중앙 지파들(므낫세, 에브라임, 아셀)의 족보로 총 140명 (남자 134, 여자 6)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잇사갈 지파(1-5절)가 16명, 베냐민 지파(6-12절)가 31명, 납달리 지파(13절)가 6명, 므낫세 지파(14-19절)가 22명(남자 20, 여자 2),
에브라임 지파 (20-29절)가 21명(남자 20, 여자 1), 아셀 지파(30-40절)가 44명(남자 42, 여자 2)입니다.
-역대상 8장(1-40절) 베냐민 지파의 족보로, 총 128명(남자124, 여자 4)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역대상 9장(1-44절)
바벨론 포로에서 귀환한 자들 중에 예루살렘에 정착하여 살았던 사람들의 족보로, 총 123명(남자 122, 여자1)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유다와 베냐민 지파 사람(3-9절) 중에 28명, 제사장들이(10-13절) 19명, 레위인들이 (14-34절) 35명 기록되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스라엘의 초대 왕 사울의 족보(35-44절)는 총 41명(남자 40, 여자1)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2. 수직적인 기록 형식과 수평적인 기록 형식을 모두 사용하고 있는 족보입니다.
수직적인 족보는 일반적으로 한 조상에서 어느 한 후손까지 내려가는 형식(하향식), 또는 어느 한 후손에서 한 조상으로 올라가는 형식(상향식)으로 기록된 족보입니다.
역대상 1:1-4은 아담부터 노아의 아들 셈과 함과 야벳까지 역대상 1:24-27은 셈부터 아브라함까지를 기록한 수직적인 형식(하향식)의 족보입니다.
또한 역대상 6:49-53은 아론부터 시작하여 아히마아스까지 내려오고 있고(하향식), 역대상 6:33-47은 헤만부터 시작하여 레위로 올라가는 수직적인 족보(상향식)입니다. 역대기 족보는 이러한 몇 가지 수직적인 기록 형식 외에는 대부분 수평적인 기록 형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역대기에 나오는 수평적인 기록 형식의 족보는 야벳 자손의 족보(대상 1:5-7), 함 자손의 족보(대상 1:8:-16), 셈 자손의 족보(대상 1:17-23), 이스마엘 자손의 족보(대상 1:29-31),에서 자손의 족보(대상 1:35-42), 유다 자손의 족보(대상 2:3-8), 다윗의 족보(대상 2:9-17), 다윗의 자손들의 족보(대상 3:1-9), 시므온 자손의 족보(대상 4:24-37), 대제사장과 레위 자손의 족보(대상 6:1-30)등이 있습니다.
3. 중간에 공백이 있는 경우도 있지만, 구속사의 중단 없는 전진을 보여 주는 족보입니다.
역대기의 족보가 혈통상의 모든 인물을 빠짐없이 기록한 것은 아닙니다. 하나님의 구속사적 경륜 가운데 수직적인 족보에서 어떤 부분은 과감히 생략하고 어떤 부분은 강조하여 기록하고 있습니다. 아들이 없는 상황에서 족보의 단절이 올 뻔한 위기 속에서도 족보를 이어간 자들이 있습니다(대상 2:33-41). 또한 수평적인 족보에서는 모든 사람을 다 기록한 것이 아니라 구속사에서 필요한 인물들을 선별하여 기록하기도 하였습니다.
이러한 부분은 다음에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아담부터 시작하여 노아를 거쳐 아브라함과 다윗까지 내려온 족보는 남 유다의 멸망으로 끊어진 듯 보였습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포로 귀환자들을 족보에 연결시킴으로(대상9장), 하나님의 구속사가 바벨론 포로 생활 중에도 결코 중단되지 않고 계속되었음을 보여 주셨습니다.
4. 예수 그리스도의 족보와 연결되는 족보입니다.
히브리어 성경에서는 역대기가 구약성경의 제일 마지막에 있는 책입니다 그러므로 역대기 족보는 신약성경에서 가정 먼저 나오는 마태복음 1장 예수 그리스도의 족보와 연결됩니다. 역대기 족보는 구약성경에 나타난 구속사를 압축하고 있으며, 마태복음 1장에서는 지금까지 이어온 구속사(족보)의 주인공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족보를 통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역대기 족보는 구약 성경의 모든 족보가 메시아를 대망하고 있음을 보여 줍니다. 마태복음 1장 예수 그리스도의 족보는 구약과 신약을 연결해 주는 단단한 이음새로서, 구약에서 신약으로 넘어가는 관문에 기록되어 예수 그리스도가 구약의 핵심이요. 신약의 근거가 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5. 역대기에는 두 가지 종류의 족보가 있습니다.
역대기 족보에 나오는 ‘족보’를 뜻하는 히브리어는 주로 ‘야하스’와 ‘톨레도트’가 쓰였습니다.
1) 족보를 뜻하는 히브리어 ‘야하스’가 있습니다. 야하스는 ‘족보에 오르다’라는 뜻으로, 이 말은 단순히 그들의 혈통이 확인되고 계수되었다는 의미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선민 이스라엘 백성으로 인정되고 확인되어 족보에 기록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① 시므온 지파의 족보입니다.
역대상 4::33 “그 각 성읍 사면에 촌이 있어 바알까지 미쳤으니 시므온 자손의 주소가 이러하고 각기 보계가 있더라”
② 갓 지파의 족보입니다.
역대상 5:17 “이상은 유다 왕 요담과 이스라엘 왕 여로보암 때에 족보에 기록되었더라”
③ 베냐민 지파의 족보입니다.
역대상 7:9 “저희는 다 그 집의 족장이요 큰 용사라 그 자손을 보계대로 계수하면 이만 이백 인이며”
④ 아셀 지파의 족보입니다.
역대상 7:40 “이는 다 아셀의 자손으로 족장이요 뽑힌 큰 용사요 방백의 두목이라 출전할만한 자를 그 보계(대로 계수하면 이만 육천인이었더라”
⑤ 모든 이스라엘의 공적 족보입니다.
역대상 9:1 “온 이스라엘이 그 보계대로 계수되고 이스라엘 열왕기에 기록되니라”
⑥ 문지기들의 족보입니다.
역대상 9:22 “택함을 입어 문지기 된 자가 모두 이백 열 둘이니 이는 그 향리에서 그 보계대로 계수된 자”
⑦ 르호보암이 기록된 족보 책입니다.
역대하 12:15 “르호보암의 시종 행적은 선지자 스마야와 선견자 잇도의 족보 책에 기록되지 아니하였느냐 ”
2) 족보를 뜻하는 히브리어 ‘톨레도트’가 있습니다.
톨레도트는 ‘낳다’라는 뜻의 ‘얄라드’에서 유래되어, ‘출생, 후손, 족보, 어떤 사건이나 사람의 역사’를 뜻합니다. 톨레도트는 시바점이 되는 한 사람의 조상으로부터 시작되었다는 사실이 강조되며, 구속사 가운데 핵심 내용이 선별된 족보입니다.
① 이스마엘의 세계(世界)입니다.
역대상 1:29 “이스마엘의 세계는 이러하니”
② 잇사갈 지파의 족보입니다.
역대상 7:4 “저희와 함께 한 자는 그 보계와 종족대로 능히 출전할만한 군대가 삼만 육천인이니...”
③ 베냐민 지파의 족보입니다.
역대상 7:9 “저희는 다 그 집의 족장이요 큰 용사라 그 자손을 보계대로 계수하면 이만 이백인이며”
④ 예루살렘에 정착한 베냐민 지파 사람의 족보입니다.
역대상 9:9 “또 저의 형제들이라 그 보계대로 계수하면 구백 오십 륙인이니 다 그 집의 족장 된 자들이더라”
⑤ 헤브론의 족보입니다.
역대상 26:31 “헤브론 자손 중에 여리야가 그 세계와 종족대로 헤브론 자손의 족장이 되었더라...”
이 외에도 역대기에 톨레도트가 세 번 더 사용되었는데, 문맥상 ‘족보’라는 의미보다 ‘세대’라는 의미가 적합하여 “대대로”라고 번역하고 있습니다(대상 7:2, 8:28, 9:34).
6. ‘온 이스라엘’을 중심한 족보입니다.
역대상 1-9장은 인류의 기원인 아담부터 시작해서 아브라함까지, 아브라함에서 다윗 왕까지 다윗 왕에서 바벨론 포로 귀환까지의 긴 역사를 거대한 족보로 요약하여 기록하고 있습니다. 모든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선택에 의해 지명된 언약 백성으로서 하나가 되는 것입니다. 여기에는 단과 스불론을 제외한 모든 지파의 간략한 족보가 소개되어 있습니다.
‘온 이스라엘의 역사’를 족보로 대신한 것입니다. 역대상 9:1에는 “온 이스라엘이 그 보계대로 계수되고 이스라엘 열왕기에 기록되니라...”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역대기에는 “온 이스라엘”(콜-이스라엘), “이스라엘 온 회중”, “이스라엘 온 무리”와 같은 말씀이 자주 등장하는데, 무려 52회나 언급되었습니다.
참고로, 열왕기에는 33회, 에스라에 4회, 느헤미야에 3회 언급되었습니다.
7. 유다 지파와 레위 지파를 중심한 족보입니다.
족보에 기록된 인물이 많다는 것은 그 가문이 구속사적으로 중요한 가문이거나 또는 번성한 가문임을 뜻합니다. 역대기 족보는 이스라엘 12지파를 중심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그 가운데 다윗 왕이 속한 유다 지파의 족보와 대제사장이 속한 레위 지파의 족보가 핵심입니다. 유다 지파를 통해 다윗 왕이 태어났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약속의 자손인 예수 그리스도께서도 유다 지파 자손으로 오셨기 때문입니다(창 49:10, 히 7:14). 역대상 1-3장의 족보는 아담부터 다윗 왕과 솔로몬 왕, 남 유다 왕까지 그리고 포로기와 귀환 이후 약 주전 400년대 초에 살았던 다윗의 후손까지 기록하고 있습니다. 또 역대상 4:24-34에는 유다 지파 가운데 거한 시므온 지파에 관해서도 기록하고 있습니다.
한편 아브라함부터 다윗의 마지막 후손까지의 인물들은 마태복음 1장에 기록된 예수 그리스도의 족보의 근거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레위(제사장) 지파의 족보는 역대기 족보 구조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역대상 6장은 총 81절로 구성되어, 역대상 1-9장의 족보 가운데 가장 깁니다. 레위인들의 성전 봉사 제도는 다윗 왕이 임종 직전에 체계화한 것으로 역대상 23-26장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역대상 6장 전체가 레위 가문의 자손들에 대한 기록이고, 9장에도 포로 귀환 이후 예루살렘에 정착한 제사장들(대상 9:10-13), 예루살렘에 정착한 레위 사람들(대상 9:14-16), 예루살렘에 정착한 회막 문지기와 나머지 레위 사람들(대상 9:17-34)이 소개되고 있습니다. 역대기에 나타난 12지파의 족보 가운데서 레위 지파의 족보가 가장 길고 상세하며 또한 두 번이나 반복적으로 언급되었습니다(대상 23:1-24).
역대기 족보 1-9장의 X자형 구조를 통해 볼 때도, 역대상 6장의 대제사장과 레위인들의 족보가 12지파 족보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역대기 족보의 X자형 구조-
A 역대상 1:1-54 이스라엘 전(前)의 세계(이스라엘의 뿌리)
B 역대상 2:1-2 이스라엘의 모든 아들들
C 역대상 2:3-4:23 유다-다윗 왕의 지파
D 역대상 4:24-5:26 이스라엘의 지파들
E 역대상 6:1-47 대제사장과 레위의 자손들
F 역대상 6:48-49 제사장들의 의무
F' 역대상 6:50-53 대제사장들
E' 역대상 6:54-81 정착지의 레위 자손들
D' 역대상 7:1-40 이스라엘의 지파들
C' 역대상 8:1-40 베냐민- 사울 왕의 지파
B' 역대상 9:1上 모든 이스라엘
A' 역대상 9:1下-34 이스라엘의 재건
역대상 6장 레위 지파의 족보를 중심으로 그 이전에는 5지파(유다, 시므온, 르우벤, 갓, 므낫세 반)의 족보를, 그 이후에는 나머지 6지파(잇사갈, 베냐민, 납달리, 므낫세 반, 에브라임, 아셀)의 족보를 대칭 구조로 소개함으로써,이스라엘 역사에 있어서 레위인과 제사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출처) 역대기 족보의 특징 :: 아촌의 이야기 (tistory.com)
There are three general areas in which genealogies function: the familial or domestic, the legal-political, and the religious. In the domestic area an individual's social status, privileges and obligations may be reflected in his placement in the lineage (see 7:14-19); the rights of the firstborn son and the secondary status of the children of concubines are examples from the Bible. In the political sphere genealogies substantiate claims to hereditary office or settle competing claims when the office is contested. Land organization and territorial groupings of social units may also be determined by genealogical reckoning -- e.g., the division of the land among the 12 tribes.
족보가 기능하는 세 가지 일반적인 영역이 있습니다: 가족 또는 국내, 법적-정치적, 종교적 영역을 의미합니다. 국내 영역에서 개인의 사회적 지위, 특권 및 직무는 그의 신분배치를 좌우하는 반영요소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참조 7:14-19). 맏아들의 권리와 첩 자녀의 이차적 지위는 성경의 한 예입니다. 정치 영역에서 족보는 세습 직분에 대한 주장을 입증하거나 직분에 대한 경쟁이 있을 때 이를 해결합니다. 사회 단위의 토지 분할조직 및 영토 그룹화는 족보 계산 및 확인(예: 12지파 간의 토지 분할)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습니다.
In Israel military levies also proceeded along genealogical lines; several of the genealogies in Chronicles reflect military conscription (5:1-26; 7:1-12,30-40; 8:1-40). Genealogies function in the religious sphere primarily by establishing membership among the priests and Levites (6:1-30; 9:10-34; Ne 7:61-65). As to form, some genealogical lists trace several lines of descent (segmented genealogies) while others are devoted to a single line (linear genealogies).
이스라엘에서는 군사 징수금도 족보를 따라 진행되었습니다; 역대기의 여러 족보는 군대 징집을 반영하고 있습다(5:1-26; 7:1-12,30-40; 8:1-40). 족보는 주로 제사장과 레위 인들 사이에 회원 자격을 부여함으로써 종교적 영역에서 기능합니다(6:1-30; 9:10-34; 느 7:61-65). 형태와 관련하여 일부 족보 목록은 여러 계통의 혈통을 추적하는 반면(분할된 족보) 다른 계통은 단일 계통(선형 족보)에 전념합니다.
Comparison of genealogical lists of the same tribal or family line often brings to light surprising differences. This fluidity of the lists may reflect variation in function. But sometimes changes in the status or relations of social structures are reflected in genealogies by changes in the relationships of names in the genealogy (see notes on 1:35-42; 6:22,27) or by the addition of names or segments to a lineage (see notes on 5:11-22; 6:27; 7:6-12). The most common type of fluidity in Biblical materials is telescoping, the omission of names from the list. Unimportant names are left out in order to relate an individual to a prominent ancestor, or possibly to achieve the desired number of names in the genealogy.
동일한 지파나 가계의 족보 목록을 비교하면 종종 놀라운 차이가 드러납니다. 이러한 목록의 유동성(가변성)은 기능의 변화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때로는 사회 구조의 지위나 관계의 변화가 계보의 이름 관계의 변화 (1 : 35-42; 6 : 22,27 참조) 또는 계보에 이름이나 종파를 추가함으로써 계보에 반영됩니다 (5 : 11-22; 6 : 27; 7 : 6-12 참조). 성경 자료의 가장 일반적인 유동성 유형은 목록에서 이름을 생략하는 텔레스코핑입니다. 중요하지 않은 이름은 한 개인을 뛰어난 조상과 연결하기 위해 또는 족보에서 원하는 수의 이름을 얻기 위해 제외됩니다.
Some Biblical genealogies, for example, omit names to achieve multiples of 7: For the period from David to the exile Matthew gives 14 generations (2 times 7), while Luke gives 21 (3 times 7), and the same authors give similar multiples of 7 for the period from the exile to Jesus (Mt 1:1-17; Lk 3:23-38).
The genealogies of Chronicles show variation in all these properties; the arrangements often reflect the purpose for which the genealogies were composed prior to their being adopted by the Chronicler as part of his record.
예를 들어, 일부 성서 족보는 7의 배수를 얻기 위해 이름을 생략합니다. 다윗부터 유배 기간에 대해 마태는 14세대(7의 2배)를 제공하는 반면 누가는 21세대(7의 3배)를 제공하며 동일한 저자는 유사한 배수를 제공합니다. 포로기부터 예수까지의 기간(마 1:1-17; 눅 3:23-38)에 대해 7의 배수를 제공합니다. 역대기의 족보는 이러한 모든 특성에서 다양성을 보여줍니다. 배열은 종종 연대기 작가가 기록의 일부로 채택하기 전에 족보를 구성한 목적을 반영합니다.
*** 마태복음 1장의 선택적 족보에 나타난 구조적 의미
1. 들어가기
마태복음 1장의 족보에는 생략된 부분이 있다. 마1:8에는 "요람은 웃시야를 낳고"라고 기록되어있는데, 그 사이에 "아하시야-요아스-아마샤"를 생략했다(대상3:11-14 등). 또한 마1:11-12에서는 요시야와 여고냐 사이에 여호야김을 생략했다(왕하23:43; 24:6 등). 그래서 어떤 이는 마태복음 1장의 족보가 생략되어 있기 때문에 창세기 5장과 11장의 족보 가운데도 생략된 곳이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하지만, 창세기 5장과 11장의 족보기록 형식은 "누가 누구를 몇 세에 낳고"라는 통일된 형식을 가지고 시간을 전해주려는 의도가 있으며, 그 형식이 전해주는 바에 따르면 시간적으로 생략된 곳은 없다. 반면, 마태복음 족보는 아브라함부터 예수님에 이르기까지 오히려 의도적 생략을 통해 "열네 대, 열네 대, 열네 대"로 소개한다. 이는 시간을 알려주는 창세기 5장과 11장의 족보와는 기록형식 자체가 다르다.
또한 마태복음 1장은 이러한 생략뿐만 아니라 '다윗'은 두 번 중복하여 기록하고 둘로 계수한다. 마태복음 1장은 왜 이런 형태로 족보를 기록하고 있을까?
2. 마태복음 1장 족보의 시작
마1:1은 신약성경을 여는 말씀이다. 신약성경은 예수님을 구약성경에 예언된 메시아(히.마쉬아흐, 헬.그리스도)이심을 선포하면서 시작한다.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 예수 그리스도의 계보라"(마1:1)로 시작하는 마1:2-16까지의 족보기록의 목적은 메시아예언의 성취를 증거하고 설명하는 것에 있다. 메시아에 대한 구약성경의 예언의 말씀은 아브라함에게 "땅의 모든 족속이 너로 말미암아 복을 얻을 것이라"(창12:3), "네 씨로 말미암아 천하 만민이 복을 받으리니"(창22:18), 이삭에게 "네 자손으로 말미암아 천하 만민이 복을 받으리라"(창26:4), 야곱에게 "땅의 모든 족속이 너와 네 자손으로 말미암아 복을 받으리라"(창28:14), 유다에게 "규가 유다를 떠나지 아니하며 통치자의 지팡이가 그 발 사이에서 떠나지 아니하기를 실로가 오시기까지 이르리니 그에게 모든 백성이 복종하리로다"(창49:10), 이사야를 통하여 "이새의 줄기에서 한 싹이 나며 ... 그의 입의 막대기로 세상을 치며 그의 입술의 기운으로 악인을 죽일 것이며"(사11:1-4), 나단을 통하여 다윗에게 "네 집과 네 나라가 내 앞에서 영원히 보전되고 네 왕위가 영원히 견고하리라"(삼하7:16)고 알려주셨다.
신약을 여는 선포로서 마1:1은 이 가운데 특히 아브라함과 다윗을 메시아예언의 중심에 두었다. 예수님께서 그리스도로 오실 것으로 작정되신 것은 이미 "창세 전에" 하나님의 계획 가운데 있었지만(엡1:4, 곧 창세 전에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택하사), 예언으로 시작된 것은 선악과사건 이후 창3:15 "여자의 후손"으로 오실 메시아예언으로 시작한다. 그 후 노아홍수사건을 거쳤으며, 바벨탑사건을 거쳐 언어는 혼란되었으며, 여러 언어들, 여러 민족들과 여러 나라들로 나뉘고, 여러 가지 종교들이 생겨나 혼잡해진 상태에서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을 택하시고 부르심을 통해 창3:15의 메시아예언의 성취가 구체적으로 시작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아브라함은 "예수님께서는 구약에 예언된 그리스도이심"을 혈통적으로 증명하는 데 중요하다.
'다윗'의 경우, 에스겔서는 다윗을 메시아의 예표로 기록했으며(겔34:23-24; 37:24-25), 마태복음 기록 당시에 메시아족보 예언 성취의 중심에 있었다. 왜냐하면, 그 이전까지의 족보예언은 이미 지났고, 이제 다윗의 후손 가운데 누가 메시아로 오신 분이냐가 중요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마1:1은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 예수님의 메시아족보 예언의 성취를 선포한다.
3. 생략을 통한 "열네 대"씩 '3'개의 그룹핑
"그런즉 모든 대 수가 아브라함부터 다윗까지 열네 대요 다윗부터 바벨론으로 사로잡혀 갈 때까지 열네 대요 바벨론으로 사로잡혀 간 후부터 그리스도까지 열네 대더라"(마1:17)에서 생략되고 중복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그룹 "아브라함부터 다윗까지 열네 대"는 1아브라함 - 2이삭- 3야곱 - 4유다 - 5베레스 - 6헤스론 - 7람 - 8아미나답 - 9나손 - 10살몬 - 11보아스 - 12오벳 - 13이새 - 14다윗이다. 제2그룹 "다윗부터 바벨론으로 사로잡혀 갈 때까지 열네 대"는 1다윗-2솔로몬-3르호보암-4아비야-5아사-6여호사밧-7요람-8웃시야-9요담-10아하스-11히스기야-12므낫세-13아몬-14요시야인데, 여기서 다윗은 중복으로 계수하였고, 요람과 웃시야 사이에 아하시야, 요아스, 아마샤는 생략하였다. 제3그룹 "바벨론으로 사로잡혀 간 후부터 그리스도까지 열네 대"는 1여고냐 - 2스알디엘 - 3스룹바벨 - 4아비훗 - 5엘리아김 - 6아소르 - 7사독 - 8아킴 - 9엘리웃 - 10엘르아살 - 11맛단 - 12야곱 - 13요셉(을 낳았으니 마리아에게서) - 14그리스도(라 칭하는 예수님)인데, 여기에는 요시야와 여고냐 사이에 여호야김을 생략하였다.
왜 억지스럽게 보이도록 생략하고 중복하면서 "열네 대"씩 '3'개의 그룹이라고 말하는 것일까? 우선 "열네 대"에서 '14'라는 수가 가지고 있는 의미는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14일은 유월절 양을 잡는 날이며(레23:5), 유월절 어린 양은 그리스도(고전5:7) 예수님을 의미한다. 14는 7의 배수이며, 구약성경에는 7의 배수를 사용하여 전체를 나타내는 족보기록방식이 있다. 창 10:2-5의 야벳의 자손들의 목록은 14명(7명의 아들, 7명의 손자)으로 선택적으로 소개되었다. 창10:1-11:9에서 노아의 아들들로부터 파생된 열방의 숫자는 70명이 소개되었다. 애굽으로 70명이 내려갔다고 말한다(창46:27; 출1:5). 여기에는 모두 생략된 부분이 있으며, 7의 배수로 전체를 대신했다. 따라서 마태복음 1장의 족보기록은 구약의 전통을 따르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다윗'이라는 이름의 히브리어 알파벳 수 값도 달렛(4)+바브(6)+달렛(4)=14이다.
'3'개의 그룹에서 '3'에서도 의미를 찾는다면, '3'은 성부성자성령 하나님의 수이다.
4. "다윗"의 중복 기록
아하시야, 요아스, 아마샤, 그리고 여호야김은 생략하면서도 "다윗"은 왜 두 번 중복하고 있을까? 예수님께서 이 땅에 오셨을 때, 당시의 메시아족보 예언 성취의 중심에는 "다윗"이 있었다. 메시아는 다윗의 후손으로 오시는 분이어야 하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당시 사람들은, 예수님께서 귀신 들려 눈멀고 말 못하는 사람을 고쳐주셨을 때 놀라면서 "이는 다윗의 자손이 아니냐"라고 말한다(마12:22-23). 두 소경과 가나안 여자도 "다윗의 자손이여 불쌍히 여기소서"라고 외친다(마9:37; 15:22). "다윗의 자손 예수여 나를 불쌍히 여기소서"라고 외친다(막10:47, 눅18:38), 예수님께서 나귀새끼를 타시고 예루살렘성으로 입성하실 때 앞에서 가고 뒤에서 따르는 무리들이 소리 높여 무엇이라고 외치는가! "호산나 다윗의 자손이여"라고 환호한다[호산나는 "야솨"(구원하소서)와 "나"(제발)의 히브리어 합성어에서 왔다]. "호산나 다윗의 자손이여 찬송하리로다 주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여 가장 높은 곳에서 호산나 하더라"(마21:7-9).
이와 같이, 당시에 메시아를 식별하는데 '다윗'은 매우 중요했기 때문에, 마태복음 1장의 족보를 14대, 14대, 14대로 기록하기 위하여 생략을 가하는 중에서도 오히려 '다윗'은 두 번 중복하여 포함시켰던 것 같다. 또한 공교롭게도 '다윗'이라는 이름의 히브리어 알파벳 수 값 '14'는 7의 중복 수이기도 하다.
또한 원어성경(헬라어) 마1:1은 "다윗의 자손이요, 아브라함의 자손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족보 책."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순서적으로 본다면 다윗을 더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킹제임스(KJV) 번역성경 마1:1은 다음과 같다. "The book of the generation of Jesus Christ, the son of David, the son of Abraham. NIV 번역성경 마1:1은 다음과 같다. "A record of the genealogy of Jesus Christ the son of David, the son of Abraham:"
5. 마태복음 1장 족보와 누가복음 3장의 족보
눅3:23은 "요셉의 아들이니 요셉의 위는" 앞에 "사람들이 아는 대로는(헬.호스 헤노미제토, as was supposed)"라고 단서를 붙인다. 사실은 마리아의 아들이고 마리아의 족보이기 때문이다. 마태복음 1장에서도 "아브라함이 이삭을 낳고"로 시작하여 요셉의 족보를 기록하지만, 마지막에 예수님을 낳은 것은 요셉이 아니라고 말을 맺는다. "야곱은 마리아의 남편 요셉을 낳았으니 마리아에게서 그리스도라 칭하는 예수가 나시니라"(마1:2-16). 마리아는 다윗의 아들 나단을 따라 태어났으며(눅3:23-31), 요셉은 다윗의 아들 솔로몬을 따라서 왔다(마1:6-16). 그러므로 마리아나 요셉이나 모두 다윗의 자손이다.
그렇다면 눅3:23은 왜 "마리아의 위는"이라고 하지 않고 "요셉의 위는"이라고 했을까? 원어성경(헬라어)에는 그저 "그 위는"이라고 기록되어있다. 그러므로 필자의 사역으로 직역하자면 "사람들의 아는 대로는 요셉의 아들이지만 (사실은 마리아의 아들이며,) 그 위는"으로 번역할 수 있겠으며, 정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이탤릭체로 괄호 안의 내용을 추가하였다.
6. 결론
마태복음 1장의 족보는 유대인 족보기록의 전통을 따라 통일성을 유지하는 가운데 족보기록의 목적에 따라 생략과 중복을 사용하여 구조적으로 정교하게 기록되었다.
김홍석박사(한국창조과학회 성경위원장, 구약학)
© 2020 Christianitydaily.com All rights reserve
[출처 마태복음 1장의 선택적 족보에 나타난 구조적 의미 : 칼럼 : 미주 종교신문1위 : 기독일보 (christianitydaily.com) ]
Outline
개요
족보: 창조에서 회복까지(대상 1-9)
족장들(ch. 1)
야곱/이스라엘의 12아들(2:1-2)
유다 가족(2:3;4:23)
시므온의 아들들(4:24-43)
르우벤, 갓, 므낫세 반쪽 지파(5장)
레위와 가족(6장)
잇사갈, 베냐민, 납달리, 므낫세, 에브라임, 아셀(7-9장)
다윗의 통치(대상 10-29장)
사울의 죽음(10장)
예루살렘 함락; 다윗의 권력 기반(11-12장)
언약궤의 귀환; 다윗 왕국의 설립(13-16장)
왕조의 약속(17장)
다윗의 정복(18-20장)
인구 조사(21장)
성전 준비(22장)
성전 봉사의 조직(23-26장)
왕국의 행정 구조(27장)
계승과 성전을 위한 다윗의 마지막 준비 (28:1;29:20)
솔로몬의 계승; 다윗의 죽음 (29:21-30)
솔로몬의 통치 (대하 1-9)
지혜의 은사(1장)
성전 건축(2:1;5:1)
성전 봉헌식(5:2;7:22)
솔로몬의 기타 활동(8장)
솔로몬의 지혜와 영화와 죽음(9장)
분열과 유다 왕들의 역사(대하 10-36장)
르호보암(10-12장)
아비야(13:1;14:1)
아사(14:2;16:14)
여호사밧(17:1;21:3)
여호람과 아하시야(21:4;22:9)
요아스(22:10;24:27)
아마샤(25장)
웃시야(26장)
요담(27장)
아하스(28장)
히스기야(29-32장)
므낫세 (33:1-20)
아몬 (33:21-25)
요시야(34:1;36:1)
요시야의 후계자들 (36:2-14)
포로와 회복(36:15-23)
From the NIV Study Bible, Introductions to the Books of the Bible, 1 Chronicles
Copyright 2002 © Zondervan. All rights reserved. Used with permiss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