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녁의 피무든 동굴속으로 아― 밋업는, 그 동굴속으로 도 모르고 도 모르고 나는 걱구러지련다 나는 파뭇치이련다. 가을의 병든 미풍의 품에다 아― 는 미풍의 품에다 낫도모르고 밤도모르고 나는 술취한집을 세우련다 나는 속압흔 우슴을 비즈련다. |
① 이상화 ② 남궁벽
③ 변영로 ④ 박종화
8. 다음 중, 청신한 감각적인 시를 써 ‘모더니즘에 가까운 시인’이라는 평가를 받았으며, 「봄은 고양이로다」, 「새 한 마리」, 「연」 등의 작품을 쓴 시인은?
① 이장희 ② 노자영
③ 김기진 ④ 조명희
9. 다음 진술들 중 틀린 것은?
① 김소월은 본명이 정식이며 주로 ꡔ개벽ꡕ 지와 ꡔ영대ꡕ 지에 작품을 발표했다.
② 1926년에 나온 한용운의 ꡔ님의 침묵ꡕ은 승려생활을 하면서 민족 주체성이 일제에 의해 가리어진 사실을 크게 각성하고 그 현현됨을 노래한 시집이었다.
③ 「월광으로 짠 병실」을 쓴 박영희는 후에 「단편서사시의 길로」 등의 평론을 썼다.
④ 김동환은 「국경의 밤」, 「승천하는 청춘」 등의 장편서사시를 발표하였다.
10. 다음 중 ꡔ시문학ꡕ 동인이 아닌 사람은?
① 정지용 ② 김동명
③ 김윤식 ④ 박용철
11. 다음 중 ꡔ문학의 논리ꡕ라는 평론집을 내고 ꡔ개설 신문학사ꡕ를 쓴 바 있으며, 단편서사시를 처음으로 발표한 시인은 누구인가?
① 오장환 ② 김광균
③ 임화 ④ 심훈
12. 다음 중 시인과 작품이 잘못 묶여진 항목은?
① 박용철 ― 「떠나가는 배」 ② 신석정 ― 「빙하」
③ 유치환 ― 「정적」 ④ 김광섭 ― 「독을 차고」
13. 다음 중 김기림의 시집이 아닌 것은?
① ꡔ기상도ꡕ ② ꡔ바다와 나비ꡕ
③ ꡔ기항지ꡕ ④ ꡔ태양의 풍속ꡕ
14. 다음 중 이육사의 작품만으로 묶인 항목은?
① 「광야」, 「절정」, 「노정기」
② 「청포도」, 「성벽」, 「그날이 오면」
③ 「연보」, 「교목」, 「동천」
④ 「꽃」, 「호수」, 「제석」
15. 다음 중 신소설 발흥기에 발간되었던 신문이 아닌 것은?
① 대한매일신보 ② 조선일보
③ 황성신문 ④ 만세보
16. 다음 중 신소설 작가 최찬식의 작품이 아닌 것은?
① 「장한몽」 ② 「추월색」
③ 「안의 성」 ④ 「춘몽」
17. 최초의 신연극으로 1908년 11월 이인직에 의해 원각사에서 공연되기도 했던 신소설 작품은?
① 「혈의누」 ② 「귀의성」
③ 「은세계」 ④ 「치악산」
18.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작품과 작가를 바르게 연결한 것은?
주인공 문호는 중학교 재학중인 소년으로 여러 종반간의 누이들로부터 존경과 사랑을 받는다. 문호는 그 중에서 사촌누이인 난수에게 이성으로서의 사랑을 느낀다. 그는 열정적인 문학소년으로 장래 시인이 될 것을 꿈꾸며 난수 또한 문학을 사랑하는 소녀이다. 그러나 16세의 소녀 난수가 부호의 아들과 결혼하게 되자 문호는 실망을 참지 못하고 난수에게 함께 도피할 것을 권유하나, 난수의 소극적인 태도로 말미암아 뜻을 이루지 못하고 난수의 혼인은 그대로 진행되고 만다. 문호는 동경으로 유학을 가고 2년만에 귀국하였으나 난수의 반기는 모습은 이미 볼 수 없고 자기에게는 그 사이 얼굴도 모르는 세 살 짜리 아이가 생긴 것을 보고 인생의 허무를 자탄한다. |
① 이광수-「어린 희생」 ② 이광수-「소년의 비애」
③ 김동인-「약한자의 슬픔」 ④ 김동인-「광화사」
19. 다음 중 염상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염상섭은 문학의 모든 문제를 <개성>의 문제로 귀일시켜 이해하고자 했다.
② 특정한 계급에 예속되어 특정의 이념을 추구하는 계급문학의 부당성을 비판했다.
③ 처녀작은 1921년 <개벽>에 실린 「표본실의 청개구리」이다.
④ 간결하고 짧은 센텐스의 문장으로 간결체 문장의 개성을 보여주었다.
20.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작가는 누구인가?
․홍사용, 현진건, 이상화, 박종화 등과 함께 문예동인지 <백조>를 발간해 로맨티시즘 운동을 일으켰다. ․이후에 백조파의 감상을 극복하고 사실적인 경향으로 전환하여 「17원 50전」, 「행랑자식」, 「여이발사」, 「물레방아」, 「뽕」, 「벙어리 삼룡이」 같은 작품들을 남겼다. |
① 박영희 ② 조명희
③ 최학송 ④ 나도향
21. 다음 중 1930년대의 시대적 특징과 소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카프문학이 갖는 경직된 목적성에 대한 반발로 문학적 관심이 다원화되었다.
② 일제의 군국주의적 야망이 보다 구체화되어 식민지 조선에 대한 탄압이 더욱 극심해졌다.
③ 이 시기의 소설은 근대적인 산문체의 실현과 개성적인 문체의 가능성을 확인시켜 주었다.
④ 도시소설과 농촌소설, 역사소설과 가족사소설 등도 이 시기에 등장했다.
22. 역논리의 기법, 즉 칭찬-비난의 전도라는 반어(아이러니)에 의한 풍자의 실상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채만식의 단편소설은?
① 탁류 ② 치숙
③ 태평천하 ④ 사랑손님과 어머니
23. 1930년대 주목할 만한 여성작가 중 하나로 노동자 농민의 조합적 정치적 조직화를 반영한 「홍수전후」, 고향을 잃고 유리하는 농민들의 문제를 다룬 「고향없는 사람들」 등을 발표한 사람은?
① 나혜석 ② 강경애
③ 백신애 ④ 박화성
24. 경향문학에 발맞추기는 했으나 프롤레타리아 운동 조직에는 가담하지 않았던 동반자작가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① 이기영, 이효석 ② 이광수, 이기영
③ 이효석, 유진오 ④ 유진오, 이기영
25. 다음 중 특유의 해학성을 배제하고 착취체제에 내재한 모순을 겨냥한 김유정의 작품은?
① 「따라지」 ② 「땡볕」
③ 「동백꽃」 ④ 「만무방」
26. 다음 중 이상의 소설세계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① 지문에서 한자를 마음대로 사용하고, 띄어쓰기와 구두점을 의식적으로 무시했다.
② 서사적인 사건의 흐름을 통해 의미를 전달하는 전통적인 소설의 통념을 부정했다.
③ 초기에는 자연과 인간의 내재적 본능의 순수성을 서정적으로 묘파하는 데 주력했다.
④ 주된 관심은 작가 자신의 내면적인 자의식을 표현하는 데 있었다.
27. 1935년 동아일보가 창간 15주년을 기념해 특별공모한 소설모집의 당선작으로 <브․나로드> 운동의 영향으로 씌어진 소설은?
① 「제일과 제일장」 ② ꡔ고향ꡕ
③ ꡔ흙ꡕ ④ ꡔ상록수ꡕ
28. 1936년 <中央>에 발표된 작품으로, 샤머니즘과 기독교 사이에 빚어지는 갈등을 통해 인간의 운명론적 삶을 형상화한 김동리의 단편소설은?
① 「황토기」 ② 「무녀도」
③ 「사반의 십자가」 ④ 「등신불」
29. 이광수가 감상주의 문학이 크게 번지자 그것을 비판하면서 ‘예술을 위한 예술’을 강조한 글은?
① 「문학이란 하오」 ② 「문학의 가치」
③ 「문사와 수양」 ④ 「余의 작가적 태도」
30. 신채호가 중국혁명과정을 설명하면서 3.1운동 후의 한국의 사회상을 거론하며 시대적 풍조를 비판한 글은?
① 「낭객의 신년만필」
② 「조선혁명선언」
③ 「문예계 청년에게 참고를 구함」
④ 「예술과 근면」
31. 염상섭이 권위부인을 내세우고 우상타파를 주지로 하여 예속으로부터의 자아회복과 개체로서의 자아를 존중해야 한다고 주장한 논문은?
① 「자기의 창조한 세계」 ② 「개성과 예술」
③ 「문단의 1년을 추억하여」 ④ 「고민기의 필연성」
32. 박영희가 프롤레타리아의 전문화가 한 건축물이라면 프롤레타리아 예술은 그 구성물 중의 하나라고 주장한 글은?
① 「문예시평」
② 「화염 속에 있는 서간철」
③ 「투쟁기에 있어서의 문예 비평가의 태도」
④ 「최근 문예 이론의 신전개와 그 경향」
33. 「인간 묘사의 시대」에서 현대철학의 중심문제는 인간의 본질과 그 실재의 해명에 있고 문학의 문제는 인간묘사에 있다고 한 비평가는?
① 정인섭 ② 이헌구
③ 최재서 ④ 백철
34. 30년대 말 「박연암의 예술과 사상」에서 사실주의적 문학관을 고전작품에서 해명하는 견해를 발표하여 주목을 받은 사람은?
① 천태산인 ② 조윤제
③ 홍기문 ④ 조지훈
35. 「전통과 기교문제」에서 전통의 부재 속에서 새 문학의 창조는 기교중심의 비상한 노력이 필요하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말에 대한 고도로 주의깊은 표현술이 요청된다고 한 비평가는?
① 김환태 ② 김문집
③ 최재서 ④ 이하윤
31434 |
21132 |
34312 |
13244 |
32434 |
34231 |
23432 |
<2002학년도 기출문제>
1. 다음 중 ‘사회등 가사’가 실렸던 매체는?
① ꡔ독립신문ꡕ ② ꡔ대한매일신보ꡕ
③ ꡔ황성신문ꡕ ④ ꡔ만세보ꡕ
정답 ② ‘사회등 가사’가 실렸던 매체는 ꡔ대한매일신보ꡕ이다.
2. 다음 중 「해에게서 소년에게」와 관련이 없는 항목은?
① ꡔ소년ꡕ 창간호에 실렸다.
② 각연대응행(各聯對應行)이 일정한 자수율을 지니고 있다.
③ 5연으로 되어 있는 작품이다.
④ 근대적 평등의식을 주제로 다루었고 열린 세계를 지향하는 활달한 자세를 펴보였다.
정답 ③ 최남선의 「해에게서 소년에게」는 총 6연으로 되어 있는 작품이다.
3. 다음 진술 중 틀린 것은?
① 「우리 영웅」은 이광수가 쓴, 을지문덕 장군을 기리고 회고하면서 위기에 처한 나라를 걱정하는 우국시이다.
② ꡔ三人詩歌集ꡕ은 이광수와 주요한 그리고 김동환의 합동시집이다.
③ 최남선은 1910년 ꡔ소년ꡕ지에 「태백시집」을 발표하였다.
④ 상해 임시정부에서 간행한 ꡔ독립신문ꡕ에서도 「아아 경술 8월 29일」, 「독립군가」, 「독립군」 등 항일투쟁의 시가들이 발표되었다.
정답 ① 「우리 영웅」은 이광수가 이순신 장군을 기리고 회고하면서 위기에 처한 나라를 걱정하는 우국시이다.
4. 다음 중 김억과 관련이 없는 항목은?
① 「봄은 간다」
② ꡔ해파리의 노래ꡕ
③ ꡔ잃어진 진주ꡕ
④ 「에튜우드」
정답 ④ 「봄은 간다」는 김억의 창작시이다.
ꡔ해파리의 노래ꡕ는 1923년에 나온 김억의 시집이다.
ꡔ잃어진 진주ꡕ는 1924년에 김억이 시몬즈의 작품선집으로 꾸민 번역시집이다.
5. 다음 중 「석양은 꺼지다」, 「벽모의 묘」, 「태양의 침몰」 등 낭만적 상징주의 성향의 작품을 쓴 시인은?
① 주요한 ② 황석우
③ 오상순 ④ 변영로
정답 ② 황석우는 <<태서문예신보>와 <<창조>>지에 작품을 발표하여 근대시를 형성하는 초기시인으로서 그 활동을 폈다. 황석우는 <<폐허>>지에 「석양은 꺼지다」, 「벽모의 묘」, 「태양의 침몰」 등을 발표하였으며, 그의 시적 경향은 낭만적 상징주의라고 말할 수 있다.
6. 다음 중 ꡔ백조ꡕ에 「흐르는 물을 붓들고서」, 「그것은 모다 꿈이엇지마는」, 「나는 왕이로소이다」 등의 시편을 발표했던 시인은?
① 박종화 ② 이상화
③ 홍사용 ④ 박영희
정답 ③ 홍사용은 ꡔ백조ꡕ3호에 「흐르는 물을 붓들고서」, 「그것은 모다 꿈이엇지마는」, 「나는 왕이로소이다」 등의 시편을 발표했다.
7. 1920년대초 우리 시단을 지배했던 퇴폐적이고 병적인 낭만주의적 경향을 부정하고 현실적 관심을 시화하는 데 주력하며, 「한개의 불빛」, 「백수의 탄식」 등의 시편을 쓴 사람은?
① 김형원 ② 조명희
③ 박영희 ④ 김기진
정답 ④ 김기진은 1920년대의 낭만적인 경향에서 이탈하여 현실적 관심을 시화하는 데 관심을 기울인 시인이며, 「한개의 불빛」, 「백수의 탄식」 등의 시편을 썼다.
8. 다음 중 시인과 작품이 잘못 연결된 것은?
① 이상화-「잠업는 꿈」
② 조명희-「성숙의 축복」
③ 한용운-「알수 업서요」
④ 김소월-「나의 집」
정답 ① 「잠업는 꿈」은 한용운의 작품이다.
9. 다음 중 ꡔ금성ꡕ 동인이 아닌 사람은?
① 양주동 ② 류춘섭
③ 이장희 ④ 남궁벽
정답 ④ 양주동, 류춘섭, 이장희는 <<금성>>동인이었으며, 남궁벽은 <<폐허>>동인이었다.
10. 다음 작품의 작자는?
북국에는 날마다 밤마다 눈이 오느니 회색하늘 속으로 눈이 퍼부슬 때마다 눈속에 파뭇기는 하-연 북조선이 보이느니
갓금 가다가도, 당나귀 울니는 눈보라가 막북강 건너로 굵은 모래를 쥐여다가 추움에 어넛하는 백의인의 귀뽈을 따리느니 (하략) |
① 노자영 ② 오상순
③ 김동환 ④ 정인보
정답 ③ 김동환의 「눈이 내리느니」라는 시이다.
11. 다음 진술 중 틀린 것은?
① 이장희는 청신한 감각적인 시를 써 ‘모더니즘에 가까운 시인’이라는 평가를 받았으며, 「봄은 고양이로다」, 「새 한 마리」, 「연」 등의 작품을 남겼다.
② 「독을 차고」, 「두견」 등의 작품은 김영랑의 후기 작품에 속한다.
③ 유치환은 특히 근대 도시문명의 건강성을 중시하였고, 시의 건강성과 명랑성을 주장하였으며 「태양의 풍속」과 같은 작품이 있다.
④ 조지훈의 시풍은 전통적인 생활양식이 깃든 한국적 정신과 미의식을 섬세한 감성으로 포착하여 시화한 것이었으며, 「고풍의상」, 「승무」, 「다부원에서」 등의 작품을 발표하였다.
정답 ③ 「태양의 풍속」은 유치환의 작품이 아니라, 김기림의 작품이다.
12. 다음 중 1933년 ꡔ조선문학ꡕ지에 「목욕간」을 발표한 뒤 ꡔ시인부락ꡕ 동인으로 활동하면서 ꡔ성벽ꡕ, ꡔ헌사ꡕ, ꡔ병든 서울ꡕ 등의 시집을 간행한 시인은?
① 오장환 ② 박용철
③ 서정주 ④ 김기림
정답 ① 오장환은 1933년 <<조선문학>>지 11월호에 「목욕간」을 발표하면서 작품활동을 시작하였다. 그후 ꡔ시인부락ꡕ 동인으로 활동하면서 ꡔ성벽ꡕ, ꡔ헌사ꡕ, ꡔ병든 서울ꡕ 등의 시집을 간행하였다.
13. 다음 중 임화의 작품이 아닌 것은?
① 「우리 오빠와 화로」
② 「네거리의 순이」
③ 「우산쓴 요꼬하마의 부두」
④ 「비오는 날 회관 앞에서」
정답 ④ 「우리 오빠와 화로」, 「네거리의 순이」,「우산쓴 요꼬하마의 부두」는 모두 임화의 작품이다.
「비오는 날 회관 앞에서」는 김기진의 작품이다.
14. 다음은 누구의 작품인가?
(전략) 2 새는 울어 뜻을 만들지 않고, 지어서 교태로 사랑을 가식하지 않는다.
3 ―포수는 한 덩이 납으로 그 순수를 겨냥하지만, 매양 쏘는 것은 피에 젖은 한 마리 상한 새에 지나지 않는다. |
① 박남수 ② 박목월
③ 박두진 ④ 이호우
정답 ① 박남수의 「새」라는 시이다.
15. 1906년 이인직의 <혈의 루>가 발표된 지면은 무엇인가?
① 대한매일신보 ② 중앙신보
③ 만세보 ④ 황성신문
정답 ③ 이인직의 「혈의 누」는 광무 10년 7월 22일부터 같은 해 10월 10일까지 50회에 걸쳐 <만세보>에 연재되었다.
16. 다음 중 신소설의 발생 요인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① 갑오경장 등의 사회제도 개편화 작업으로 삶의 양식이 변화되었다.
② 서구문학의 유입과 우리 소설의 내재적 전통축적도 신소설의 내용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③ 고종이 국문 존중 칙령을 내림으로써 국어운동이 활발해지고 독서 대중이 확보되었다.
④ 상업주의와 결탁하지 않는 관보가 소설에 지면을 제공함으로써 예술로서의 소설 장르 형성에 기여했다.
정답 ④ 이재선은 신소설이 발생하게 된 몇 가지 필연적 요인을 다음과 같이 주장한 바 있다.
첫째, 1876년 개항을 비롯해 1894년 일련의 사회제도의 개편화 작업 등은 삶의 양식을 바꾸어 놓았고, 이러한 변화된 삶의 양식이 필연적으로 새로운 문학양식을 요구하게 되었다.
둘째, 문학사회학적인 입장에서 생산자(작가)-분배자(출판자 및 서적 판매업자)-수요자(독자)라는 교환회로의 관계가 새롭고 원활하게 형성되기 시작했다.
셋째, 민간신문의 출현이 신소설 발생의 주요한 역할을 했다. 관보와 달리 경영을 위해서 불가피하게 상업주의, 개화적인 교도주의의 기능을 함께 가졌던 개화기의 민간신문은 소설을 발표할 수 있는 주요한 매체였다.
넷째, 우리 소설의 내재적인 전통축적 및 외국문학의 영향을 들 수 있다.
17.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신소설 작품은 무엇인가?
1912년에 발표된 이 작품은 최찬식의 신소설로 오랜 시일에 걸쳐 많은 애독자를 가진 신소설 중 하나였다. 한국은 물론, 일본의 동경, 영국의 런던, 만주 등지를 무대로 하여 벌어지는 지식층 남녀의 애정 문제를 소재로 한 것으로서 자유결혼과 신교육관을 주제로 다루었으나, 그 기저에 흐르는 윤리관은 양쪽 부모끼리 어릴 때에 정해 준 혼인약정을 끝까지 고수한다는 기성도덕률에 얽매이고 있다. 그러나 갑오경장 후의 사회 현실 속에서 부패한 관료정치에 대한 민중의 봉기를 나타내어 시대의식을 반영하고, 아울러 작품 첫머리를 비롯한 여러 장면의 생생한 묘사로 신선한 감각을 풍겨주는 점은 애정문제의 기구한 스토리와 더불어 이 작품이 독자를 박력 있게 이끌고 가는 중요한 요소가 되게 하였다. |
①「빈상설」 ②「능라도」
③「추월색」 ④「귀의성」
정답 ③ 최찬식의 대표적 신소설인 「추월색」은 지식층 남녀의 애정을 다루어 자유결혼과 신교육관을 주제로 한 것이다.
18. 다음 중 1910년대의 소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신소설은 1910년대에 들어서면서 점차 대중성을 띠게 된다.
② 신소설 초기의 강렬한 시대의식은 변질되고 독자의 호기심을 자극할 만한 흥미위주의 사건 구성으로만 기울었다.
③ 이광수와 김동인의 2인 소설시대가 개막되었다.
④ 이광수는 신문학사상 최초의 장편소설인 『무정』을 매일신보에 연재함으로써 근대소설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정답 ③ 1910년대의 문단은 이광수와 최남선 두 사람에 의해 주도되었다.
19. 다음 중 <창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한국 최초의 문예동인지였다.
② 춘원류의 계몽주의 문학을 거부하였다.
③ 염상섭을 주축으로 한 서울 출신의 일본유학생들이 간행하였다.
④ 김동인의 「배따라기」는 <창조> 9호(1921. 5.)에 발표된 작품이다.
정답 ③ <창조>는 1919년 2월에 창간되어 1921년 5월 통권 제9호로 종간되었다. 국판, 100면 내외이다. 당시 일본에 유학중이던 문학가들이 도쿄[東京]에서 창간하였다. 창간동인은 김동인․주요한․전영택․김환․최승만 등 5명이고, 종간까지는 이광수․이일․박석윤․김명순․오천석․김관호․김억․김찬영․임장화 등 13명이 동인으로 참여하였다.
편집 겸 발행인은 주요한이었고, 제3호 이후부터는 김환․고경상․김동인․ 전영택․김찬영 등이 맡았다. 창간호부터 제7호까지는 도쿄에서 펴냈고, 제8~9호는 국내에서 펴냈다. 특정한 사상이나 노선을 따르지 않고 동인들의 작품을 제한없이 실었다.
주요 수록작품으로 김동인의 《약한 자의 슬픔》《마음이 옅은 자여》 《배따라기》, 전영택의 《천치? 천재?》 등의 단편소설과 한국 최초의 근대 자유시인 주요한의 《불놀이》와 《별 밑에 혼자서》 등이 있다. 모두 시 70여 편, 소설 21편, 희곡 4편, 평론 16편, 번역시 49편이 소개되었다.
구어체를 많이 써 문체면에서 큰 변화를 가져왔고, 새로운 문학사조였던 자연주의와 사실주의 문학을 개척하였으며, 본격적인 자유시의 발전 등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뒤이어 나온 《폐허》《백조》 등과 함께 우리나라 근대문학의 주춧돌 같은 구실을 하였다.
20. 다음 중 현진건의 단편소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빈처」는 물질과 정신, 돈과 사랑과 같은 이원적인 대비 구조를 통해 식민지 지식인의 혼돈을 보여주었다.
② 「운수 좋은 날」은 당대 사회에 대한 관찰을 아이러니의 비전으로 재구성하여 형상화했다.
③ 「고향」은 1926년 3월에 발표되었고, 일제 말 치안 상의 이유로 압수처분된 단편집 『조선의 얼골』에 수록된 작품이다.
④ 「B사감과 러브레터」는 현진건의 데뷔작으로 <개벽>에 발표되었다.
정답 ④ 현진건은 1920년 11월 <개벽>에 습작 수준의 처녀작 「희생화」를 발표하여 문단에 데뷔했다.
21.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작가는 누구인가?
단편 「고국」을 <조선문단>(1924)에 발표하여 문단에 등단했고, 이후 단편 「박돌의 죽음」, 「기아와 살육」 등의 경향파적인 문제작을 계속 발표했다. 「홍염」은 서간도 한 귀퉁이의 마을을 배경으로 러시아풍의 침울하고 장중한 묘사력을 보인, 프로문학의 대표작이다. 그의 작품들은 카프문학의 경우와는 달리 극단적인 빈궁 속에서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주인공이 깨달음의 과정을 그리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
① 최학송 ② 이기영
③ 나도향 ④ 조명희
정답 ① 최서해는 불우한 가정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각지로 전전하며 품팔이․나무장수․두부장수 등 밑바닥 생활을 뼈저리게 체험, 그 귀중한 체험이 그의 문학의 바탕을 이루었다. 1924년 단편 《고국(故國)》이 《조선문단(朝鮮文壇)》지에 추천되면서 문단에 데뷔, 계속 《탈출기(脫出記)》 《기아와 살육(殺戮)》을 발표하면서 신경향파문학(新傾向派文學)의 기수로서 각광을 받았다. 특히 《탈출기》는 살 길을 찾아 간도로 이주한 가난한 부부와 노모, 이 세 식구의 눈물겨운 참상을 박진감 있게 묘사한 작품으로 신경향파 문학의 대표작으로 평가된다. 그의 작품은 모두가 빈곤의 참상과 체험을 토대로 묘사한 것이어서 그 간결하고 직선적인 문체에 힘입어 한층 더 호소력을 지니고 있었으나, 예술적인 형상화가 미흡했던 탓으로 초기의 인기를 지속하지 못하고 불우한 생을 살다가 일찍 죽었다. 그가 신경향파의 대표적 작가이면서도 1925년의 카프 발족에 가담하지 않은 것은, 그의 ꡐ빈궁(貧窮) 문학ꡑ이 어디까지나 목적의식적인 것이 아니라 그의 체험과 생리에서 우러나온 자연발생적인 것이었음을 말해 준다. 작품으로는 전기 외에 《십삼원(拾參圓)》《금붕어》《박돌(朴乭)의 죽음)》《살려는 사람들》《큰물 진 뒤》《폭군》《홍염(紅焰)》《혈흔(血痕)》 등이 있다.
22. 다음 중 채만식의 장편소설 『태평천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937년 10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조선일보에 연재된 장편소설이다.
② 연재 당시의 제명은 『천하태평춘』이었으나, 후에 『태평천하』로 개제되었다.
③ 부정적 인물인 윤직원이 주인공으로 설정되어 작가의 독특한 풍자적 기법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④ 5대에 걸친 윤두섭가(家)의 가족사의 전개를 통해 세대간의 갈등과 사회적 변천 등이 형상화되었다.
정답 ① ꡔ태평천하ꡕ는 1938년 1월부터 9월까지 <조광>에 연재되었다.
23. 다음 중 이상의 소설이 아닌 것은?
① 봉별기 ② 지주회시
③ 날개 ④ 따라지
정답 ④ 「따라지」는 김유정의 단편소설이다.
24. 김동리의 「황토기」(1939, <문장>)의 바탕이 되는 배경설화가 아닌 것은?
① 상룡전설(傷龍傳說) ② 쌍룡전설(雙龍傳說)
③ 귀곡전설(鬼哭傳說) ④ 절맥전설(絶脈傳說)
정답 ③ 「황토기」는 1939년 <문장>에 발표된 작품으로 상룡전설(傷龍傳說), 쌍룡전설(雙龍傳說), 절맥전설(絶脈傳說) 등을 배경설화로 깔고 있는 작품이다.
25. 다음 중 한설야의 작품 세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초기에는 주로 만주, 간도 등지에서 개인적으로 경험한 고통의 현실을 그렸기 때문에 작품의 주된 무대가 농촌이었고, 계급사상 또한 투철한 작품을 썼다.
② 「과도기」는 농촌의 몰락과 공업도시의 발흥 및 농민의 노동자화 과정을 그리려 한 작품으로, 임화의 혹평을 받았다.
③ 장편 『황혼』은 지식인의 불안사조를 바탕으로, 성장하는 노동계급의 삶의 현장을 취급한 일종의 노동문학이다.
④ 「탑」은 봉건제가 해체되기 시작하면서 자본주의의 맹아가 자라는 한말의 전환기를 다룬 작품이다.
정답 ② 문학대중화가 강조된 이후에 발표된 「과도기」는 작가 자신의 설명과 같이 ‘농촌의 몰락과 공업도시의 발흥’ 및 이에 필연적으로 뒤따르는 ‘농민의 노동자화 과정’을 그리려 한 작품으로 박영희의 혹평을 받았지만, 임화에 의해서는 ‘그 양식에 있어서뿐만 아니라 실로 그 정신에 있어서도 분명히 새시대의 문학’으로 호평을 받았다.
26. 다음 중 1930년대의 작가와 작품의 연결이 바르지 않은 것은?
① 유진오 - 「김강사와 T교수」
② 이효석 - 「돈(豚)」
③ 박영준 - 「제일과 제일장」
④ 송 영 - 「석공조합대표」
정답 ③ 「제일과 제일장」은 이무영의 농촌소설이다.
27. 다음 중 1940년대 후반 문학의 지형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940년대 후반은 국권을 회복함과 동시에 모국어를 되찾게 됨으로써 본격적인 민족문학의 재건이 요구되던 시기였다.
② 해방 공간에서 좌우익의 대립으로 극도의 혼란이 거듭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③ 친일 행적을 남긴 작가들의 숙청으로 작품의 생산량이 현저하게 감소했다.
④ 1940년대 후반을 대표할 만한 작가로 최정희, 임옥인, 황순원, 손소희 등이 있다.
정답 ③ 이 시기의 문학은 무엇보다도 일제 말기 빈사지경에 이르렀던 우리말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식민지적 잔재가 여기저기 널려 있는 혼란된 사회에 하나의 예술적 질서를 부여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시와 소설을 가릴 것 없이 일제 말기에 미처 발표될 수 없었던 작품들이 쏟아져 나왔고, 유능한 젊은 작가들이 등장해 새로이 모색되고 의욕적으로 시도되는 개성적인 문학세계를 보여주었다
28.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작품의 작가는 누구인가?
이 작품은 동경과 서울이라는 서로 다른 공간을 축으로 해서 식민지 사회상황의 모습을 날카롭게 묘사하고 있다. 주인공이 현재 머물고 있는 동경으로 대표되는 식민지 지배국인 일본은 자유와 삶과 사랑이 있는 낮의 공간이다. 그러나 서울로 대표되는 식민지 조선은 억압과 죽음과 혼란만이 가득한 병든 밤의 공간일 뿐이다. 즉 작가는 밝고 진취적이며 살아 움직이는 일본과 어둡고 암담하며 인습에 절어 있는 조선의 실상을 대비적으로 그리고 있다. 따라서 빈사 상태에 있는 아내의 모습은 곧 조선의 모습이며 조선의 ‘구더기가 들끓는 묘지’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
① 김동인 ② 염상섭
③ 계용묵 ④ 이범선
정답 ② 설명하고 있는 작품은 염상섭의 「만세전」이다. 1922년 《신생활(新生活)》지에 《묘지(墓地)》라는 제목으로 발표하였다가 《만세전》으로 개제하여 1924년에 단행본으로 출판하였다. 일본에 유학 중이던 ꡐ나ꡑ는 아내가 위독하다는 전보를 받고 귀국한다. 귀국 도중 미행하는 일본형사에게 시달려 울분을 터뜨리기도 한다. 집에 와 보니 현대의학으로는 충분히 고칠 수 있는 유종(乳腫)인데도 아버지는 술타령이나 하며 재래식 의술에 맡겨 둔 채 죽음을 재촉한다. ꡐ나ꡑ는 구더기가 들끓는 공동묘지 같은 환경에서 하루바삐 탈출하고 싶은 생각뿐이다. 이윽고 ꡐ나ꡑ는 불쌍한 아내의 죽음을 생각하며 질식할 듯한 집안을 박차고 다시 일본으로 떠난다. 3․1운동 전야의 암담한 현실을 배경으로 민족의 비애와 그 속에서 타협하며 살아가는 치욕스런 인간 군상을 사실주의 기법으로 묘사하였다.
29. 「문학이란 하오」에서 이광수가 말한 내용은?
① 문학이란 특정한 형식하에 사람의 사상과 감정을 발표하는 것이다.
② 문사는 사상가요, 지도자요, 사회개량가이다.
③ 오직 혁명을 통해 강도 일본을 물리침이 정당하다.
④ 대개 예술은 모든 문화의 정화라, 고로 그 발달은 모든 문명에 뒤따르는 것이다.
정답 ① 이광수는 「문학이란 하오」에서 오늘날 사용되는 문학이란 용어는 재래의 개념과는 다른 것으로 영어의 문학이란 단어를 번역한 것이라 하고 “문학이란 특정한 형식하에 사람(人)의 사사오가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형식에는 두 가지 요건이 있는데, 하나는 문자로 기록되어야 한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시, 소설, 평론 등의 제형식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30. 다음 중 최남선의 비평은?
① 「너를 개조하여라」 ② 「余의 작가적 태도」
③ 「예술과 근면」 ④ 「낭객의 신년만필」
정답 ③ 최남선은 「예술과 근면」에서 대예술을 이룩하는 데 있어서 근면이 절대적으로 필요요건임을 강조하고 있다. 재분만으로는 좋은 예술을 낳을 수 없으며 성력이 함께 필요하다는 것이 이 글의 전제이다. 예술은 지식과 품격과 기술을 필요로 하므로 예술가에게는 보통 사람의 몇 배의 근면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31. 신채호의 민족관이 잘 나타나 있는 글은?
① 「대한의 희망」 ② 「예술과 근면」
③ 「문사와 수양」 ④ 「문학의 가치」
정답 ① 신채호는 「대한의 희망」에서 한국의 민족적 역량을 송두리째로 시인하고 나서 민족의 미래를 전망하는 시인적 의지가 그대로 나타나 있다. 이광수가 민족의 역량을 의심하고 그 개량을 외쳤던 것과는 그 견해가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신채호의 한국관은 이 시기 제출된 ‘수양’이나 개량주의와 뚜렷하게 차이가 있으며, 또 다른 어떤 비평에서도 찾아 볼 수 없는 확고부동한 신념을 보여준다.
32. 「자기의 창조한 세계」에서 톨스토이와 도스토예프스키의 인물 창조의 기량을 비교한 작가는?
① 이광수 ② 김동인
③ 염상섭 ④ 박영희
정답 ② 김동인은 「자기가 창조한 세계」에서 “창조된 인생은 가짜든 진짜든 그것은 상관없다. 예술에서는 이런 것의 구별을 허용치 않는다”고 하면서 톨스토이와 도스토예프스키 두 작가의 인물창조의 기량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33. 다음중 염상섭의 비평은?
① 약자와 강자의 대결이 민족의 현실문제가 되었음을 인식하라.
② 예술은 예술가의 오락거리로 볼 수 없고 민중의 것이어야 한다.
③ 권위부인을 내세우고 우상타파를 주지로 하여 예속으로부터의 자아회복과 개체로서의 자아를 존중해야 한다.
④ 소설이란 한 개의 건축인데 기둥도 서까래도 없이 붉은 지붕만 입혀 놓은 건축이 어디 있는가
정답 ③ 염상섭은 「개성과 예술」에서 권위부인을 내세우고 우상타파를 주지로 하여 예속으로부터의 자아회복과 개체로서의 자아를 존중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하고 있다. ‘천부한 개개의 천성을 자유로히 발휘’할 때에만 큰 이상을 성취할 수 있다고 할 때 이 자아는 ‘자유’와 결부된 시대적인 요청으로 이해된다.
34. 「1931년의 조선문단 개관」에서 사회주의와 민족주의의 개념 차이를 설명한 비평가는?
① 송 영 ② 양주동
③ 박영희 ④ 백 철
정답 ① 송영은 1931년의 「조선문단 개관」에서 이광수가 사회주의 문학을 민족주의와 결합하여 ‘도저히 현재의 대중과는 교섭’할 수 없는 길을 타개하려는 기만적인 한 방책을 시도했고, 양주동은 민족주의 문학과 사회주의 문학의 ‘병립론’을 펴서 ‘교묘한 작품을 농’했다고 개관하고 있다. 이 글에서 송영이 사용한 ‘사회주의 문학’은 좌파적 세계주의의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민족주의 문학’은 보수적 우파의 민족주의 개념을 지니고 있다.
35. 「나의 비평태도」에서 “비평가는 작품에서 얻은 효과, 즉 모든 지적․정적 인상을 표현하기 위해 어느 정도까지 창조적 예술가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 비평가는?
① 임 화 ② 김문집
③ 안함광 ④ 김환태
정답 ④ 김환태는 「나의 비평태도」에서 자신은 비평에 있어서의 인상주의자임을 말하고 비평은 작품에 의해 부여된 정서와 인상을 효과적으로 통일, 종합하는 재구성적 체험이므로 비평가는 작품에서 얻은 효과, 즉 모든 지적 정적 인상을 표현하기 위해 어느 정도까지 창조적 예술가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2001학년도 기출문제>
1. 다음 중 이광수의 작품이 아닌 것은? 2
① 「곰」 ② 「태백산가」
③ 「극웅행」 ④ 「우리영웅」
풀이 이광수의 작품으로는 ‘우리의 영웅’, ‘곰’, ‘새아이’, ‘긔운을 내어라’등이 있다.
2. 다음 중 작품의 성격이 나머지 셋과 다른 하나는? 3
① 「옥중시」 ② 「절필시」 ③ 「동심가」 ④ 「창의가」
풀이 한일 합방을 전후하여 의병활동이 일어나 의병들이 시가도 창작되었다. 의병대장 전해사의 ‘절필시’, 이강년의 ‘옥중서’, 신태식의 ‘창의가’등이 있다. 이러한 시에는 한국인의 의기가 잘 나타나 있다. 이른바 자주독립의 정신이 항일투쟁을 통해 증거된 고매한 시적 표상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3. 다음 중 「용담유사」에 관한 진술로서 맞는 것은? 4
① 형식은 7.5조의 민요조이다.
② 작자는 최시형이다.
③ 삼강오륜을 비롯한 유교사상을 근간으로 씌어졌다.
④ 계층사회의 모순을 말하고, 서학을 비판했다.
풀이 ‘용담유사’는 최수운이 사람을 하늘 같이 섬긴다는 사상을 근간으로 하여 계급을 초월한 평등한 삶의 세계를 이룩하려는 내용을 가사체로 쓴 것이다. 시가형식은 4․4조로서 전통적인 가사체를 계승하고 있다.
키포인트 : 계층사회의 모순을 말하고 서학을 비판하며 일본의 침략행위를 반대하는 내용이 골자로 되어있다.
4. 다음 중 ꡔ태서문예신보ꡕ에 프랑스 상징주의 시론을 소개하고 또 「봄날은 간다」와 같은 창작시도 발표한 바 있는 시인은? 1
① 김억 ② 백대진 ③ 주요한 ④ 오상순
풀이 ‘태서문예신보’(1918~1919)가 발행되면서 서양의 낭만주의 상징주의 시문학이 백대진과 김억에 의해 번역․소개되었다. 그와 동시에 창작시도 발표되어 김억(본명 희권, 1886~?)은 ‘봄은 간다’라는 창작시를 발표하였다.
5. 다음 중 미국의 시인 휘트먼을 소개하면서 ‘美의 시’보다 ‘力의 시’를 내세웠던 사람은? 2
① 박종화 ② 김형원 ③ 김기진 ④ 박영희
풀이 김형원(호 석송, 1901~?)은 <폐허> 2호에 ‘개성의 미소’, ‘탈선’등과 <개벽>지에 ‘무산자의 절규’(1921.6) ‘햇빛 못 보는 사람들’, ‘숨쉬는 목내이’, ‘불순한 피’등의 작품을 발표하였다. 그는 특히 미국의 휘트먼을 소개한 바 있는데, 이 소개문에서 ‘미(美)의 시(時)보다’ 보다 ‘역(力)의 시’로서 휘트먼을 중요시했고, 시민적 삶의 인식과 ‘민주시의 선구자’로서 그리고 대담한 ‘자유시인’으로 소개한 바 있는데 이는 이 시인의 현실인식과 깊은 연관이 있다고 생각된다.
6. 다음 중 남궁벽의 작품이 아닌 것은? 4
① 「대지의 찬」 ② 「생명의 비의」
③ 「마(馬)」 ④ 「벽모의 묘」
풀이 남궁벽(호 초몽, 1895~1922)은<폐허> 2호에 ‘풀’, ‘생명의 비의’, ‘대지와 생명’, ‘대지의 찬’을 발표하였다. 후에 ‘별의 압흠’, ‘마(馬)’, ‘이러하게 살고 싶다’, ‘자아의 존원’등을 <신행화>(1922, 8)에 발표하였는데, 가령 ‘마’같은 작품에서는 기독교적인 신앙과 의로운 삶이 적절한 형상적 표현으로써 통합되고 있다.
7. 다음 중 ‘모더니즘에 가까운 시인’이라는 평가를 받은 시인으로, ‘청신한 감각적인 시’를 썼던 ꡔ금성ꡕ동인의 한 사람이 쓴 작품은 어느 것인가? 3
① 「조선의 맥박」 ② 「한개의 불빛」
③ 「봄은 고양이로다」 ④ 「말세의 희탄」
풀이 이장희(호 고월, 1900~1929)는 <금성>동인으로 시를 발표하였다. 3호에 ‘살바람 지나간 뒤’, ‘새 한 마리’, ‘불노리’, ‘무대’, ‘봄은 고양이로다’를 발표하였다. 고월의 시에 관한 일반적인 평가는 ‘청신한 감각적인 시’를 쓴 시인이며, ‘모더니즘에 가까운 시인’, ‘상상적 수법으로 천재적 촉망을 받은’ 시인으로 알려져 있다.
8. 다음은 「난초(蘭草)」라는 작품이다. 작자는 누구인가? 2
빼어난 가는 잎새 굳은 듯 보드랍고 자주빛 굵은 대궁 하얀한 꽃 벌고 이슬은 구슬이 되어 마디마디 달렸다.
본래 그 마음은 깨끗함을 즐겨하여 정한 모래 틈에 뿌리를 서려두고 미진(微塵)도 가까이 않고 우로(雨露)받아 사느니라. |
① 양주동 ② 이병기 ③ 이은상 ④ 정인보
풀이 이병기(1891.3~1968.11)는 ‘가람시조집’(문장사,1938)을 간행한 바 있는데 한국적 선비의 정조를 섬세하게 그려 근대적 세련미를 이룩하였다. 그는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옥고를 치르며 ‘홍원저조’를 읊기도 하였다. 그의 선비적 기품을 잘 나타낸 시조로는 ‘난초’가 있다.
9. 다음 중 초기에는 「월광으로 짠 병실」, 「감상의 폐허」와 같은 퇴폐적 낭만주의 경향의 작품을 쓰다가 이후 비평활동과 소설창작에서 그 문예적 방향을 바꿔 신경향파로 전환한 사람은? 1
① 박영희 ② 이상화 ③ 김기진 ④ 김기림
풀이 신경향파 초기의 대표적인 문학가의 한 사람인 박영희는 퇴폐적 낭만주의에 속하는 작품을 쓰다가 나중에 신경향파로 전환한 사람이다. ‘월광으로 짠 병실’, ‘웃음의 여울’, ‘감상의 폐허’와 같은 작품은 화려하고 몽환적인 심상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면, 신경향파적인 경향을 받아들인 이후에는 강한 현실지향적인 작품을 쓰고 있다.
키포인트 : ‘월광으로 짠 병실’, ‘웃음의 여울’, ‘감상의 폐허’와 같은 작품은 화려하고 몽환적인 심상이 나타나 있다.
10. 다음 중 1930년대의 문예지가 아닌 것은? 3
① ꡔ시문학ꡕ ② ꡔ시인 부락ꡕ
③ ꡔ장미촌ꡕ ④ ꡔ자오선ꡕ
풀이 1930년대의 문예동인지 및 잡지 : ‘시문학’(1930), ‘문예월간’(1931), ‘극예술연구회’(1931), ‘구민회’(1933), ‘삼사문학’(1934), ‘시인부락’(1936), ‘자오선’(1937), ‘문장’(1939), ‘인문평론’(1939)
11. 다음 진술 중 틀린 것은? 4
① 박용철은 ꡔ시문학ꡕ이라는 문예지를 주재하였으며, 대표작에는 「떠나가는 배」가 있다.
② 정지용은 사상파(寫像派)와 주지파(主知派)의 시론을 속깊이 파악하고도 천성적인 언어감각으로 하여 시의 세련성을 획기적으로 이루어 내었다.
③ 오장환은 1933년 ꡔ조선문학ꡕ지에 「목욕간」을 발표한 다음 ꡔ시인 부락ꡕ 동인으로 활동하면서 ꡔ성벽ꡕ, ꡔ헌사ꡕ, ꡔ병든 서울ꡕ등의 시집을 간행했다.
④ 김동환은 ‘시의 회화성’을 중시하여 감각적 시상과 시적 절제를 통해 전 시대의 주정주의나 영탄적 시적 경향을 극복하기를 주장하면서 ꡔ태양의 풍속ꡕ, ꡔ기상도ꡕ등의 시집을 간행하였다.
풀이 ④는 김기림에 대한 설명이다. 김기림이 주도한 <모더니즘>은 시에서 지성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시풍을 잘 대변하는 시집 ‘태양의 풍속’(학예사, 1939), ‘바다와 나비’(신문화연구소, 1946), ‘기상도’(산호장,1948), ‘바다와 육체’(평범사, 1948)등이 간행되었다. 김동환은 민요시운동에 적극참여 하여, 민족적, 민중적 차원에서 문화적 주류를 찾으려고 하였다.
키포인트 : 김기림이 주도한 <모더니즘>은 시에서 지성을 강조
12. 다음 중 시인과 작품이 잘못 연결된 것은? 3
① 정지용 - 「유리창」 ② 심훈 - 「그날이 오면」
③ 이육사 - 「독을 차고」 ④ 김용호 - 「낙동강」
풀이 ‘독을 차고’는 김윤식의 작품이다. 이육사(본명 원록, 1904~1944)는 <자오선> 1호에 ‘노정기’, <시학> 1집에 ‘필보’, 동2집에 ‘호수’, <문장>에 ‘청포도’ (1939.8) ‘절정’(1940.1), <인문평론>에 ‘교목’(1940.7)등을 발표하였고, 유작으로 ‘꽃’, ‘광야’가 있다.
키포인트 : 그의 시풍은 간결한 심상과 매운 절계의식이 특징이었다.
13. 다음 중 임화와 관련이 없는 항목은? 4
① ꡔ개설 신문학사ꡕ ② 「우리 오빠와 화로」
③ ꡔ현해탄ꡕ ④ 조선문필가 협회
풀이 임화(본명 인식, 1908.10~1953.8)
- 1926년에 카프에 가입하고 시를 발표하기 시작. 1929 ‘네거리의 순이’로 문단의 주목을 받음. 주요비평으로는 ‘세태소설론’, ‘개설신문학사’, ‘인문평론’등이 있음. 편론집으로 ‘문학의 논리’가 간행되었다. ‘우리 오빠와 화로’에서 사회주의 운동에 가담한 가족을 소묘하여 당시의 좌파문인들의 호평을 받음. 시집으로 <현해탄(1938)>, <찬가(1947)>, <너 어느 곳에 있느냐(1953)>가 있다.
바닷가 햇빛 바른 바위 우에 습한 肝을 펴서 말리우자.
코카사스 山中에서 도망해온 토끼처럼 둘러리를 빙빙 돌며 肝을 지키자.
내가 오래 기르던 여윈 독수리야 ! 와서 뜯어 먹어라, 시름없이
너는 살지고 나는 여위어야지, 그러나,
거북이야 ! 다시는 龍宮의 誘惑에 안 떨어진다.
프로메테우스 불쌍한 프로메테우스 불도적한 죄로 목에 맷돌을 달고 끝없이 沈澱하는 프로메테우스 |
① 김영랑 ② 윤동주 ③ 이육사 ④ 조지훈
풀이 <보기>는 윤동주의 ‘간’이다. 이 작품에서 화자는 지조와 생명의 중심으로서 ‘간(肝)’을 제시하면서 그것을 지켜야 할 것을 진술하고 있다. 동시에 스스로 기른 ‘독수리’에게 그 간을 먹여야 할 것을 알려주는 모순적 상황임을 알려주고 있다.
15. 다음 중 한국문학사에서 자유결혼관, 남녀평등관, 민주정치관, 독립사상 등의 특징으로 인해 근대문학의 기점으로 간주되는 작품은? 1
① 이인직의 「혈의루」 ② 이광수의 「사랑인가」
③ 김동인의 「배따라기」 ④ 현진건의 「빈처」
풀이 청일전쟁의 격전이 휘몰고 간 뒤의 암담한 모습에 대한 묘사로 시작하는 ‘혈의 누’는, 그 후 10년 간의 시간의 경과 속에서 한국, 일본 및 미국을 무대로 여주인공 옥련의 기구한 운명에 얽힌 개화기의 시대상을 잘 그리고 있다. 그리고 다른 신소설과 마찬가지로 자주독립, 신교육, 신결혼관 등이 그 주제로 다루어져 있다.
16. 국문을 사용한 최초의 글로서 남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개화와 자주 독립에 관한 강한 열망을 보여주고 있는 저작은? 3
① 최수운의 「용담유사」 ② 일학산인의 「일념홍」
③ 유길준의 「서유견문」 ④ 한운의 「명월기연」
풀이 유길준의 ‘서유견문’과 서재필의 <독립신문>은 *국문을 사용한 최초의 글로 남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개화와 자주독립에 대한 강한 열망을 보여주고 있다.
17. 다음 중 ‘신소설’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4
① 구소설 또는 고대소설에 반대되는 새로운 소설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② 1906년 2월 1일자《대한매일신보》의《중앙신보》발간 광고에서 ‘신소설’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하고 있다.
③ 고대소설에서 근대소설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양식의 소설이기에, 봉건적 요소와 근대적 요소가 동시에 담겨져 있다.
④ 중국 및 일본을 통해 접하게 된 서구문학이 이 시기 문학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우리의 전통적인 고대소설과는 무관하다.
풀이 신소설은 고대소설에서 근대소설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양식의 소설을 뜻한다. 신소설
은 비록 전대의 소설문학에 대한 거부로부터 출발하기는 하였으나 전통의 축적 없이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이것은 신소설의 이야기구조가 우리 고대소설 중 영웅형 소설의 구조와 흡사하다는 사실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중국 및 일본을 통해 접하게 된 서구문학의 내용이 신소설의 내용에 어느 정도 영향을 행사한 것으로 보인다.
키포인트 : 신소설의 이야기구조가 우리 고대소설 중 영웅형 소설의 구조와 흡사하다.
18. 다음 중 신소설의 주제로 합당하지 않은 것은? 4
① 친일성과 중국 비판
② 자유결혼관 및 남녀평등의 주장
③ 독립사상의 강조
④ 신문명의 도입 거부
풀이 신소설의 주제는 친일성과 중국비판, 자유결혼관의 주장, 남녀평등, 교육열과 향학열, 신문명의 도입강조, 독립사상의 강조, 여성의 사회참여의 강조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는 한마디로 개화의식의 고취라고 요약할 수도 있겠다.
19. 다음 중 토론 형식을 통하여 정치이념을 제시한 「자유종」이라는 작품을 집필하였으며, 교훈적 요소와 오락적 요소의 조화를 소설의 주요한 기능으로 본 작가는? 2
① 이인직 ② 이해조 ③ 최찬식 ④ 안국선
풀이 이해조(1869)는 신소설작가이며 언론가로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자유종’은 민족, 국가, 사회, 교육 등에 관한 토론형식을 통하여 주인공들의 정치이념을 제시한 정치소설이다. 소설의 기능에 관한 본격적인 언급을 ‘화의 혈’ 후기에 적고 있는데, 풍속을 교정하고 사회를 깨닫게 하는 교훈성을 소설의 가장 주요한 기능으로 적고 있다.
키포인트 : ‘자유종’은 정치소설이다.
20. 다음 중 1915년 8월에 발간된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인 단편소설집은? 2
① 「금수회의록」 ② 「공진회」 ③ 「추월색」 ④ 「도화원」
풀이 ‘공진회’는 1951년 8월에 발간된 이 땅 최초의 근대적인 단편소설집이다. ‘공진회’는 하나의 작품명이 아니고 단편집의 명칭이며, 실제로 이 책에는 ‘기생’, ‘인력거꾼’, ‘시골노인 이야기’등 3편의 단편이 수록되어 있다.
21. 이광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
① 호는 춘원이며 소설가, 시인, 평론가, 언론인 등으로 다양한 활동을 했던 인물이다.
② 그의 작품에서는 공리적인 가치보다 미적인 가치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③ 그의 초기 작품들은 봉건적 구제도와 낡은 윤리를 타파하고 새로운 윤리의식을 고취하려는 작가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④ 그의 작품은 개성의 신장을 주제로 한 새로운 윤리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풀이 춘원은 소설보다 더 많은 논설을 썼으며 그의 소설도 미적인 가치보다는 개량주의자로서의 공리성이 더욱 두드러져 보인다. 그의 계몽주의적인 문학관과 무관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22. 다음 중 춘원의 「무정」에 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4
① 이광수의 최초의 장편소설이자 한국 근대문학사상 최초로 근대문학의 면모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②《매일신보》에 연재된 이 작품은 근대의식의 자각, 사회의식의 각성을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
③ 민족주의 및 인도주의에 입각한 작품이다.
④ 근친간의 애정을 그린 작품으로 작가의 앞선 애정관을 엿보게 한다.
풀이 ‘무정’은 춘원 이광수의 최초의 장편소설이며 한국 근대문학사상 최초로 근대문학의 면모를 보여주는 장편소설로 개화기의 전형적인 지식인인 이형식이 근대적 신여성의 표상이라 할 수 있는 선형과 전통적인 구여성인 영채사이를 방황하면서 그에 대한 갈등을 새로운 사상과 지식의 수입을 통한 교육입국이라는 돌파구를 찾아 극복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23. 1920년대 소설에 관한 다음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3
① 춘원류의 계몽주의 문학을 거부하고자 하는《창조》로부터 출발하였다.
② 이 시기는 근대의 확립기로서, 소설의 관심이 당대 현실문제로 모아졌다.
③ 이 시기에 서구 리얼리즘이 유입되기는 했지만, 당시 소설문학의 중심적인 사조는 낭만주의였다.
④ 이 시기는 우리 소설사에서 근대적인 단편소설의 양식을 확립하는 출발선이었다.
풀이 1920년대 소설문학의 중심적인 사조는 사실주의였으며 이는 이 시기 소설의 성격을 결정하는 가장 주요한 요소였다. 이른바 리얼리즘적인 세계의 인식방법은 소설의 현실인식의 태도에 결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던 것이다.
24. 이인직에서 이광수를 거치는 소설문체의 변혁은 다음 중 어느 작가에 이르러 완전한 언문일치와 개성적인 문체에 도달하게 되는가? 1
① 김동인 ② 염상섭 ③ 현진건 ④ 전영택
풀이 이인직에서 이광수를 거치는 소설문체의 변혁이 김동인에 이르러 완전한 언문일치와 개성적인 문체에 이르게 된다.
25. 다음 중 김동인의 문학사적인 공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4
① 결정론에 근거한 자연주의 문학을 도입하여 그 터전을 마련하였다.
② 이광수의 계몽주의적인 경향을 배척하고 문학의 독자성과 자율성을 확립하였다.
③ 최초의 문예동인지《창조》를 간행하는 등 이 땅에 동인지 운동의 첫 관문을 열었다.
④ 「운수 좋은 날」에서 볼 수 있듯이 반전의 수법 등 단편소설의 기교를 확립하였다.
풀이 동인의 문학사적 업적
- 결정론에 의거한 자연주의 문학을 도입하여 그 터전을 마련하였다.
- 이광수의 계몽주의적인 경향을 배척하고 문학의 독자성과 자율성을 확립함.
- 사재를 털어 이 땅에 최초의 문예동인지 <창조>를 비롯하여 <영대>등을 간행하여 동 인지 운동의 첫 관문을 열었다.
- 작중 인물의 호칭에 있어서 ‘he, she'를 ’그‘로 통칭하고, 또 용언에서 과거 시제를 도입 하여 문장에서 시간관념을 의식적으로 명백히 하였다.
- 간결하고 짧은 센텐스의 문장으로 이른바 간결체 문장의 개성을 보여주었다.
26. 다음 중 「만세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
① 횡보 염상섭의 작품으로서 연재시의 제목은 「묘지」였다.
② 동경유학생의 귀경을 통해 식민지 조선의 암담한 현실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③ 작가는 유미주의 경향을 지닌 이 작품을 통해 예술지상주의의 길을 열었다.
④ 이 작품의 결말 부분을 도피 행위로 파악한 것은 작가가 지닌 현실 인식의 한계를 드러낸 것이다.
풀이 염상섭의 ‘만세전’은 1922년부터 1924년까지 <신생활>과 <시대일보>에 연재된 작
품으로 연재 당시에는 ‘묘지’라는 제목이었다. 이어 단행본으로 출간되면서 ‘만세전’으로
게재된 중편소설이다. 치밀하게 당대 현실의 암울한 실상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고 있는 이
작품은 마지막 결말 부분을 도피행위로 파악하여 작가 지녔던 현실인식의 한계를 드러낸
것이라는 평가가 있기는 하다. 그러나 이 작품은 바로 이러한 현실로 인하여 3.1운동이 일
어날 수밖에 없었던 역사적 동인을 암묵적으로 제시하는 일면을 지니고 있기도 하다.
27. 1930년대 소설에 관한 다음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
① 도시소설과 농민소설의 등장에서 보여지듯이 소설의 관심이 다양하게 확대되었다.
② 대중소설의 대두, 장편소설에 대한 논의 등이 동시에 이루어져 우리 문학사에 풍요로운 자산을 마련해주었다.
③ 소설의 기법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어 소설장르가 확대되기에 이르렀다.
④ 이 시기의 소설문학은 고발문학의 성격을 띠고 있다.
풀이 1930년대 소설의 특징
- 카프 문학이 갖는 경직된 목적성에 대해 반발이 일어났다.
- 문학적 관심이 다원화되었다.
- 대중소설의 대두, 장편소설에 대한 논의 등이 이루어졌다.
28. 다음 중 이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① 전통적인 소설의 통념을 거부하고 작중 인물의 내면적인 심리의 움직임에 충실하려는 기법을 보여주고 있다.
② 그의 세계인식의 태도에는 냉철하고 이지적인 현실감각이나 비극적인 진지성보다는 인간 희화적인 해학미가 넘쳐나고 있다.
③ 대표작으로는 「인력거군」, 「살인」, 「도시와 유령」등이 있다.
④ 극예술연구회의 동인으로 활약하면서 무정부적인 저항을 주조로 하는 작품을 발표하였다.
풀이 이상의 소설문학에 있어서는 서사적인 사건의 흐름을 통해 어떠한 의미를 전달하려는 전통적인 소설의 통념을 부정하고, 작중인물의 내면적인 심리의 움직임에 충실하려는 기법을 보여주고 있다. 즉 그의 작품은 작가 자신의 내면적인 자의식을 표현하는 데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고 하겠는데, 이 자의식은 사회적 질서의 테두리 속에서 전개되는 일상적인 삶에 대한 소외의식을 주조로 하고 있다.
29. ‘문학의 가치’에서 “석일의 시가 소설은 다만 銷閑遣悶의 오락적 문학임에 반하여 금일의 문학은 인생의 행로를 연구하며 인생의 정적 상태의 변천을 연구하는 것”이라고 한 사람은? 2
① 최남선 ② 이광수 ③ 주요한 ④ 염상섭
풀이 이광수(호 춘원, 1892~1950?)는 ‘문학의 가치’(<대한홍학보>, 제11호, 1910.3)에서 ‘석일의 시가 소설은 다만 소한견민(銷閑遣悶) 오락적 문학’임에 반하여, ‘금일의 시가 소설은 결코 불연(不然)아혀 인생과 우주의 진리를 개발하며, 인생의 행로를 연구하며, 인생의 정적 상태(즉 심리상)급 변천을 연구’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말에는 달리 해석할 여기가 많이 있으나, 문학이 오락과 동일시되어서는 안 된다는 주장임은 분명하다.
30. 다음의 글이 등장하는 신채호의 평론은? 3
중국혁명의 주동적 세력이 학생들이었는데 그 후 신문예의 마취제를 먹은 후로 혁명의 칼을 던지고 문예의 붓을 잡으며 희생 유혈의 관념을 버리고 신시, 신소설의 저작에 고심하여 문예의 도원으로 안락국을 삼는 까닭이다. |
① 「문예계 청년에게 참고를 구함」
② 「조선혁명선언」
③ 「낭객의 신년만필」
④ 「대한의 희망」
풀이 신재호는 ‘낭객의 신년만필’(1925)에서, 중국혁명의 주동적 세력이 학생들이었는데 그 후 ‘신문예의 마취제를 먹은 후로 혁명의 칼을 던지고 문예의 붓을 잡으며 희생 유혈의 관념을 버리고 신시. 신소설의 저작에 고심하여 문예의 도원으로 안락국을 삼는 까닭이다’라는 중국측의 진단을 들어 3.1운동 후의 한국의 사회상과 비교하여 시대적 풍조를 비판하고 있다.
31. 민족의 굴욕적 현실을 깨닫고 강자와 약자의 대결에서 민족이 노예가 된다는 사실은 구체적으로 3․1운동을 몸소 겪은 바 체험을 통하여 깨닫고 있는 현실인식임을 지적한 평론가는? 1
① 오상순 ② 박종화 ③ 신채호 ④ 염상섭
풀이 오상순은 민족의 굴욕적 현실을 깨닫고 있으며, 강자와 약자의 대결에서 민족이 노예가 된다는 사실은 그것이 관념적인 지식으로 보여진 것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3․1운동을 몸소 겪은 바 체험을 통하여 깨닫고 있는 현실인식임을 짐작할 수 있다.
32. 「예술과 행동」이란 비평에서 퇴폐주의 문학과 신경향파 문학을 동시에 비판하면서 절충론을 제기한 사람은? 3
① 송영 ② 박영희 ③ 양주동 ④ 백철
풀이 양주동은 당대에 절충주의적 비평태도를 보여 주었다. 양주동은 ‘예술과 생활’이라는 글에서 문학과 생활의 밀접성을 논하면서 생활과 문학행위의 일체화를 주장하였다.
키포인트 : 퇴폐주의 문학을 의식하면서 신경향파 문학도 상당히 의식한, 즉 양비론적인 태도를 보임.
33. 1930년대에 「농민문학문제」에서 참된 농민문학은 직접적으로 농민의 요구를 들으며 감정과 의식을 아는 데서 해결된다고 한 비평가는? 2
① 김우철 ② 백철 ③ 안함광 ④ 김기진
풀이 백철은 <에세닌> 같은 시인은 중간계급적 농민의 이데아를 반영하고 있으므로 프로의 이데아와 결합할 수 없었다는 부정적 예를 제시하고 참된 농민문학은 직접적으로 농민의 요구를 들으며 감정과 의식을 아는데서 해결될 뿐이지 안함광처럼 일방적으로 이데아를 ‘주입’하는 것으로는 불가능하다고 비판했다.
34. 「현대시의 생리와 성격」에서 김기림의 「기상도」를 해설하여 이 작품은 ‘상식적 예단이 허용되지 않아 주제포착이 어렵다’고 한 비평가는? 4
① 이하윤 ② 이양하 ③ 정인섭 ④ 최재서
풀이 최재서(1908~1964)는 ‘현대시의 생리와 성격’에서 김기림의 ‘기상도’를 해설하여, 이 작품은 ‘상식적 예단이 허용되지 않아 주제포착이 어렵다’고 전제하고, 이 작품이 현대를 대상 삼았다는 것만을 가지고 ‘현대 세계의 어떤 단면’을 관찰하고 ‘어떤 사상으로써 그것을 비평하고 결론을 얻었느냐’하는 질문방식으로는 작품에 접근할 수 없다고 하였다.
35. 조선문학에는 전통이 없는 대신 조선말 자체에는 놀랄만한 전통이 있다고 하면서 조선어의 전통미에 대해 관심을 기울인 비평가는? 1
① 김문집 ② 김기림 ③ 정인섭 ④ 김환태
풀이 김문집은 ‘언어와 문학개성’에서 조선의 문학에 전통이 없는 대신 조선말 자체에는 놀랄만한 전통이 있다고 말한다. 민족의 역사가 오래면 오랠수록, 또 꽃다우면 꽃다울수록 그 표상인 언어는 전통미를 갖추게 되는 법인데, 우리 조선말은 의외로 짙고 아름다운 전통미를 영양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가 김유정에 대해 찬사를 보낸 것도 이러한 조선어의 전통미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핵심문제>
1. 다음 중 이광수의 작품이 아닌 것은?
① 「곰」 ② 「태백산가」
③ 「극웅행」 ④ 「우리영웅」
2. 다음 중 작품의 성격이 나머지 셋과 다른 하나는?
① 「옥중시」 ② 「절필시」
③ 「동심가」 ④ 「창의가」
3. 다음 중 「용담유사」에 관한 진술로서 맞는 것은?
① 형식은 7.5조의 민요조이다.
② 작자는 최시형이다.
③ 삼강오륜을 비롯한 유교사상을 근간으로 씌어졌다.
④ 계층사회의 모순을 말하고, 서학을 비판했다.
용담유사는 1860년(철종 11)에 지은 《용담가》 《안심가(安心歌)》 《교훈가(敎訓歌)》를 비롯, 1861년에 지은 《도수사(道修詞)》 《검결(劒訣)》 《몽중노소문답가(夢中老少問答歌)》, 1862년에 지은 《권학가(勸學歌)》, 1863년에 지은 《도덕가(道德歌)》 《흥비가(興比歌)》 등 9편의 가사를 모아서 엮은 책이다. 제2세 교주인 최시형(崔時亨)이 1881년(고종 18) 6월 충북 단양군 남면 천동(泉洞) 여규덕(呂圭德)의 집에서 간행케 한 것이 있고(1책, 필사본), 1932년 《룡담유怠》라는 제목으로 김주희(金周熙) 등의 동학가사를 더하여 한데 엮어서 인간(印刊:1책, 37장)한 것이 있다. 서양세력의 동점(東漸)에 깊은 우려를 나타내고 이에 맞서기 위한 정신자세로서 동학을 내세운다는 뜻이 주가 되어 있다. 일반 민중과 부녀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한글 가사체(歌辭體)를 빌려 동학의 사상을 펼쳤는데, 형식이나 문체는 비록 고전 가사와 같지만 개화기의 문체를 처음으로 다루었다는 점에서 개화기 가사의 효시가 된다.
4. 다음 중 ꡔ태서문예신보ꡕ에 프랑스 상징주의 시론을 소개하고 또 「봄날은 간다」와 같은 창작시도 발표한 바 있는 시인은?
① 김억 ② 백대진
③ 주요한 ④ 오상순
안서 김억은 20세 때인 1912년부터 시를 발표하기 시작했고, 특히 투르게네프 ․베를렌 ․구르몽 등의 시를 번역 ․소개하여 한국 시단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최초의 번역 시집 《오뇌의 무도》는 베를렌 ․보들레르 등의 시를 번역한 것으로서 한국 시단에 상징적 ․퇴폐적 경향을 낳게 하는 촉매적 역할을 하였다. 또한 타고르의 《기탄잘리》 《원정(園丁)》 《신월(新月)》 등을 번역하였고, 그 밖에 A.시몬즈 시집 《잃어버린 진주》와 한시의 번역 시집인 《꽃다발》 《망우초》 《중국 여류시선》 등이 있다.
1923년에 간행된 그의 시집 《해파리의 노래》는 근대 최초의 개인 시집으로서 인생과 자연을 7 ․4조, 4 ․4조 등의 민요조(民謠調) 형식으로 담담하게 노래한 것이 특징이다. 그는 특히 오산학교에서 김소월(金素月)을 가르쳐 그를 시단에 소개한 공적을 남겼다.
5. 다음 중 미국의 시인 휘트먼을 소개하면서 ‘美의 시’보다 ‘力의 시’를 내세웠던 사람은?
① 박종화 ② 김형원
③ 김기진 ④ 박영희
석송(石松) 김형원은 1920년대에 문단에 등장, 1921년 《개벽(開闢)》지에 미국의 민중시인 휘트먼을 소개하여 아름다움의 시보다는 힘의 시를 강조했다. 《중외일보(中外日報)》 《동아일보》의 기자를 거쳐 《중앙일보》 《조선일보》 《매일신보》의 편집국장을 역임했고, 한때 문예지 《생장(生長)》을 주재하기도 했다. 작품으로 《아! 지금은 새벽 네 시》 《내가 조물주이면》 《생장(生長)의 균등》 《벌거숭이의 노래》 《불순의 피》 등이 있다.
6. 다음 중 남궁벽의 작품이 아닌 것은?
① 「대지의 찬」 ② 「생명의 비의」
③ 「마(馬)」 ④ 「벽모의 묘」
7. 다음 중 ‘모더니즘에 가까운 시인’이라는 평가를 받은 시인으로, ‘청신한 감각적인 시’를 썼던 ꡔ금성ꡕ동인의 한 사람이 쓴 작품은 어느 것인가?
① 「조선의 맥박」 ② 「한개의 불빛」
③ 「봄은 고양이로다」 ④ 「말세의 희탄」
고월 이장희는 《금성(金星)》지의 동인이 되어 동지에 《청천(靑天)의 유방(乳房)》 《실바람 지나간 뒤》를 발표하여 문단에 등장하였다. 우울하고 비사교적인 성격 때문에 지기도 적고 따라서 작품도 많이 남기지 못했다. 그러나 안으로 파고드는 깊은 감성(感性)은 섬세한 감각과 심미적인 이미지를 작품에 표출시켜 《봄은 고양이로다》 《하일소경(夏日小景)》 등의 주옥 같은 시편을 낳았다. 복잡한 가정환경과 친일파인 부친과의 갈등 때문에 고민하다가 28세로 음독 자살하였다. 작품으로는 앞에 든 것 외에 《석양구(夕陽丘)》 《동경(憧憬)》 《고양이의 꿈》 《봄철의 바다》 《눈은 나리네》 《연(鳶)》 등이 있다.
8. 다음은 「난초(蘭草)」라는 작품이다. 작자는 누구인가?
빼어난 가는 잎새 굳은 듯 보드랍고 자주빛 굵은 대궁 하얀한 꽃 벌고 이슬은 구슬이 되어 마디마디 달렸다.
본래 그 마음은 깨끗함을 즐겨하여 정한 모래 틈에 뿌리를 서려두고 미진(微塵)도 가까이 않고 우로(雨露)받아 사느니라. |
① 양주동 ② 이병기
③ 이은상 ④ 정인보
9. 다음 중 초기에는 「월광으로 짠 병실」, 「감상의 폐허」와 같은 퇴폐적 낭만주의 경향의 작품을 쓰다가 이후 비평활동과 소설창작에서 그 문예적 방향을 바꿔 신경향파로 전환한 사람은?
① 박영희 ② 이상화
③ 김기진 ④ 김기림
회월(懷月) 박영희는 황석우(黃錫禹)와 함께 시동인지 《장미촌》을 발간하고(1921), 이듬해 《백조》 동인이 되어 《미소의 허영시》 《환영(幻影)의 황금탑》 《월광으로 짠 병실》 등을 발표하여 낭만주의적인 탐미적 시인으로 출발했다. 그러나 곧 그러한 자기 자신을 비판하고 1925년에 《개벽(開闢)》지에 단편소설 《사냥개》를 발표하면서 신경향파에 속하게 되어 이 해에 김기진(金基鎭)과 함께 카프(KAPF:조선프롤레타리아 예술동맹)를 조직, 프롤레타리아 문학운동에 가담하여 그 지도적인 인물로서 극좌적 평론을 썼다. 그러나 1929년 이후 카프에 대하여 회의를 느끼기 시작, 카프 내에서 프롤레타리아 문학운동에 대한 이론이 대립되자 1933년에 카프를 탈퇴하고 ꡒ얻은 것은 이데올로기요 잃은 것은 예술이다ꡓ라는 유명한 말을 남기고 다시 예술주의로 복귀했다.
10. 다음 중 1930년대의 문예지가 아닌 것은?
① ꡔ시문학ꡕ ② ꡔ시인 부락ꡕ
③ ꡔ장미촌ꡕ ④ ꡔ자오선ꡕ
11. 다음 진술 중 틀린 것은?
① 박용철은 ꡔ시문학ꡕ이라는 문예지를 주재하였으며, 대표작에는 「떠나가는 배」가 있다.
② 정지용은 사상파(寫像派)와 주지파(主知派)의 시론을 속깊이 파악하고도 천성적인 언어감각으로 하여 시의 세련성을 획기적으로 이루어 내었다.
③ 오장환은 1933년 ꡔ조선문학ꡕ지에 「목욕간」을 발표한 다음 ꡔ시인 부락ꡕ 동인으로 활동하면서 ꡔ성벽ꡕ, ꡔ헌사ꡕ, ꡔ병든 서울ꡕ등의 시집을 간행했다.
④ 김동환은 ‘시의 회화성’을 중시하여 감각적 시상과 시적 절제를 통해 전 시대의 주정주의나 영탄적 시적 경향을 극복하기를 주장하면서 ꡔ태양의 풍속ꡕ, ꡔ기상도ꡕ등의 시집을 간행하였다.
12. 다음 중 시인과 작품이 잘못 연결된 것은?
① 정지용 - 「유리창」 ② 심훈 - 「그날이 오면」
③ 이육사 - 「독을 차고」 ④ 김용호 - 「낙동강」
<독을 차고>는 김영랑의 작품이다. 김영랑은 <모란이 피기까지는>을 비롯해 <오매 단풍 들것네> <동백잎이 빛나는 마음> <누이의 마음아, 나 를 보아라>등의 절창을 남겼다.
13. 다음 중 임화와 관련이 없는 항목은?
① ꡔ개설 신문학사ꡕ ② 「우리 오빠와 화로」
③ ꡔ현해탄ꡕ ④ 조선문필가 협회
정답 : ④
임화는 잡지 《학예사(學藝社)》 주간을 거쳐 1926년 카프에 가입한 이래 조직활동에서 줄곧 중추적 역할을 했다. 1932년 김남천(金南天) 등과 함께 카프의 제2차 방향전환을 주도한 후 서기장이 되었으며, 1935년에는 카프 해소파의 주류를 형성, 카프 해산을 관철시키기도 했다. 시인으로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한 것은 1929년 무렵부터로, 이때 그는 《우리 오빠와 화로》 《우산 받은 요코하마[橫濱]의 부두》 《네거리의 순이》와 같은 단편 서사시 계열의 시를 발표, 경향시가 지향할 수 있는 하나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또한, 카프를 중심으로 하는 그의 비평은, 조직론에서부터 창작방법론에 이르기까지 모든 분야에 걸쳐 가장 강력한 지도성을 발휘하였다.
1930년대 후반기에 들어서면서 정세악화로 카프가 해산되고 정치투쟁에의 길이 봉쇄되자, 그의 평론활동은 좀더 문학내적 방향으로 회귀하게 되고, 여기서 세태소설론․내성소설론 ․통속소설론․본격소설론 등 일련의 ꡐ소설론ꡑ이 제기된다. 이 가운데, 그는 성격과 환경이 조화를 이루는 본격소설을 문학의 정도(正道)로 파악하고, 이에 이르는 방법으로서의 리얼리즘론을 전개했으며, 다른 한편으로 신문학사의 서술에도 관심을 기울였는데, 특히 그의 《개설 신문학사》에서 체계적인 방법론을 갖춘 최초의 근대문학사가 시도되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8․15광복 이후에 그는 ꡐ조선문학건설본부ꡑ와 그 후신인 ꡐ조선문학가동맹ꡑ 결성에 주도적으로 참여한 후 월북하였고, 1953년 남로당 숙청 때 미제 스파이라는 죄목으로 처형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작품으로는 시집에 《현해탄(玄海灘)》 《찬가(讚歌)》 《회상시집(回想詩集)》 등이 있으며, 평론집에 《문학의 논리》가 있다.
14. 다음은 누구의 작품인가?
바닷가 햇빛 바른 바위 우에 습한 肝을 펴서 말리우자.
코카사스 山中에서 도망해온 토끼처럼 둘러리를 빙빙 돌며 肝을 지키자.
내가 오래 기르던 여윈 독수리야 ! 와서 뜯어 먹어라, 시름없이
너는 살지고 나는 여위어야지, 그러나,
거북이야 ! 다시는 龍宮의 誘惑에 안 떨어진다.
프로메테우스 불쌍한 프로메테우스 불도적한 죄로 목에 맷돌을 달고 끝없이 沈澱하는 프로메테우스 |
① 김영랑 ② 윤동주
③ 이육사 ④ 조지훈
정답 : ②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가 세상에 나옴으로써 비로소 알려지게 된 윤동주는 일약 일제강점기 말의 저항시인으로서 크게 각광을 받게 되었다. 주로 1938~1941년에 씌어진 그의 시에는 불안과 고독과 절망을 극복하고 희망과 용기로 현실을 돌파하려는 강인한 정신이 표출되어 있다. 《서시(序詩)》 《또 다른 고향》 《별 헤는 밤》 《십자가》 《슬픈 족속(族屬)》 등 어느 한 편을 보더라도 거기에는 울분과 자책, 그리고 봄(광복)을 기다리는 간절한 소망이 담겨져 있다.
15. 다음 중 한국문학사에서 자유결혼관, 남녀평등관, 민주정치관, 독립사상 등의 특징으로 인해 근대문학의 기점으로 간주되는 작품은?
① 이인직의 「혈의루」 ② 이광수의 「사랑인가」
③ 김동인의 「배따라기」 ④ 현진건의 「빈처」
정답 : ①
이인직의 <혈의 누>는 1906년 《만세보(萬歲報)》에 연재되었던 작품이다. 이 소설 이전에도 유명무명의 신소설이 있었으나 문학적인 수준이나 가치로 보아 근대소설의 효시로서의 신소설은 이것이 최초의 대표적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상편은 《만세보》 연재로 끝나고 하편에 해당하는 《모란봉(牡丹峰)》은 1913년 《매일신보(每日申報)》에 연재되다가 미완성으로 끝났다.
1894년 청일전쟁이 평양 일대를 휩쓸었을 때 일곱살 난 여주인공 옥련(玉蓮)은 피난길에서 부모를 잃고 부상을 당하나 일본군에 의해 구출되어 이노우에[井上] 군의관의 도움으로 일본에 건너가 소학교를 다니게 된다. 그러나 이노우에 군의관이 전사하고 그 부인한테 구박을 당하게 된 옥련은 갈 곳을 찾지 못하고 방황하던 중 구완서를 만나 함께 미국으로 건너간다. 워싱턴에서 공부하던 옥련은 극적으로 아버지를 만나게 되어 구완서와 약혼한다. 한편 평양에서는 죽은 줄만 알았던 딸의 편지를 받고 어머니는 꿈만 같이 기뻐한다. 문명사회에 대한 동경과 자유결혼을 주제로 하여 새 시대의 모랄을 제시하려 한 작자의 의도가 엿보인다.
16. 국문을 사용한 최초의 글로서 남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개화와 자주 독립에 관한 강한 열망을 보여주고 있는 저작은?
① 최수운의 「용담유사」 ② 일학산인의 「일념홍」
③ 유길준의 「서유견문」 ④ 한운의 「명월기연」
16. 정답 : ③
<서유견문>은 한말(韓末)의 정치가 유길준(兪吉濬:1856~1914)이 미국 유학 때 유럽을 순방하며 보고 느낀 것들을 기록한 최초의 국 ․한문 혼용체로 된 책이다.
모두 20편(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 2, 19, 20편은 세계의 인종 ․물산(物産) ․도시, 3~4편은 국가의 주권(主權) 및 교육 문제, 국민의 권리 문제, 5~6편은 정부의 기원(起源) ․종류 ․제도 ․직분, 7~8편은 세금 ․국채(國債) 문제, 9편은 교육 ․군대양성 문제, 10편은 화폐의 본질 ․법률 ․경찰의 역할과 규칙, 11편은 서양 각국의 정당 ․직업 ․윤리 ․개인의 건강 문제, 12편은 서양의 학술 ․군제(軍制) ․종교 ․역사 등의 개관, 14편은 상인(商人)의 위치와 역할, 개화(開化)의 바른 길, 15편은 예절 문제, 16편은 서양의 풍속 ․습관, 17편은 사회복지제도, 18편은 서양의 근대기술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의 출간(出刊)으로 당시의 신문 ․잡지가 비로소 국한문혼용체를 많이 따르게 되었고, 또 새로운 개화사상(開化思想)에 눈을 뜨게 하여 갑오개혁(甲午改革)의 사상적 배경이 되기도 하였다.
17. 다음 중 ‘신소설’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구소설 또는 고대소설에 반대되는 새로운 소설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② 1906년 2월 1일자《대한매일신보》의《중앙신보》발간 광고에서 ‘신소설’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하고 있다.
③ 고대소설에서 근대소설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양식의 소설이기에, 봉건적 요소와 근대적 요소가 동시에 담겨져 있다.
④ 중국 및 일본을 통해 접하게 된 서구문학이 이 시기 문학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우리의 전통적인 고대소설과는 무관하다.
정답 : ④
‘신소설’이라는 용어는 일본에서 쓰이던 것인데, 1906년 《대한매일신보》의 광고에서 처음 보였고 이듬해 《혈의 누》가 단행본으로 간행되면서 ꡐ新小說 血의 淚ꡑ라고 밝힘에 따라 이후 보편적인 명칭으로 굳어졌다. 이인직을 비롯한 개화파 지식인들이 이전의 고대소설과는 다른 새로운 소설 형태를 창출하였던 바, 신소설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그들의 작품을 지칭한다. 이인직의 《혈의 누》, 이해조의 《자유종》, 최찬식의 《추월색》 등이 대표적인 작가와 작품들이다.
신소설은 제명을 비롯하여 확대된 장면 묘사, 작품 서두의 참신성, 근대적인 사상과 문물의 도입, 풍속의 개량 등 내용과 형식의 측면에서 고대소설과는 다른 새로운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후기로 갈수록 부녀자들을 상대로 한 대중적 독서물로 변질되어 고대소설의 상투적 수법인 우연을 통한 사건전개, 선악의 평면적 대립, 흥미위주의 사건 설정 등이 남발되면서 초기의 참신성이나 문제의식이 점점 희석되어 갔다. 실상 초기의 문제의식이라는 것도 제한적인 의의만이 있을 따름인데, 일본을 개화의 표본으로 상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한계는 극명하게 드러난다. 반봉건과 반외세라는 당시의 시대적 과제를 철저히 깨닫지 못한 채 무조건 일본을 따르는 것이 개화의 전부인 양 잘못 생각했던 것이다. 조선적인 것은 무조건 낡은 것, 그래서 버려야 할 것으로 생각했고, 반대로 일본이나 서구적인 것은 무조건 새로운 것, 그래서 추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했던 단선적이고 피상적인 신소설의 문제의식은 비판받아 마땅하다.
18. 다음 중 신소설의 주제로 합당하지 않은 것은?
① 친일성과 중국 비판
② 자유결혼관 및 남녀평등의 주장
③ 독립사상의 강조
④ 신문명의 도입 거부
정답 : ④
신소설은 근대적인 사상과 문물의 도입, 풍속의 개량 등 신문명을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 다음 중 토론 형식을 통하여 정치이념을 제시한 「자유종」이라는 작품을 집필하였으며, 교훈적 요소와 오락적 요소의 조화를 소설의 주요한 기능으로 본 작가는?
① 이인직 ② 이해조
③ 최찬식 ④ 안국선
정답 : ②
이해조는 언론계에 종사하면서 《제국신문》과 《매일신보》 등을 통해 30편에 가까운 신소설을 발표하였다.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자유종(自由鐘)》(1910)은 주인공들의 토론형식을 빌어 정치이념을 제시한 작품이며 《화(花)의 혈(血)》(1910)은 부패관리의 부정을 폭로한 소설이다. 대체로 그의 신소설은 신교육과 개화사상을 고취하면서 당시 사회의 부조리를 반영하였다.
20. 다음 중 1915년 8월에 발간된 우리 나라 최초의 근대적인 단편소설집은?
① 「금수회의록」 ② 「공진회」
③ 「추월색」 ④ 「도화원」
정답 : ②
1915년에 발간된 우리나차 최초의 근대적인 단편소설집은 <금수회의록>의 작가인 안국선의 <공진회>이다.
신소설 작가 최찬식의 꼽히는 <추월색>은 당시의 신소설 중에서 가장 널리 애독된 작품의 하나로서, 1918년 3월에는 신극단 취성좌(聚星座)의 첫 공연작품으로 단성사(團成社)에서 상연되기도 하였다.
21. 이광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호는 춘원이며 소설가, 시인, 평론가, 언론인 등으로 다양한 활동을 했던 인물이다.
② 그의 작품에서는 공리적인 가치보다 미적인 가치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③ 그의 초기 작품들은 봉건적 구제도와 낡은 윤리를 타파하고 새로운 윤리의식을 고취하려는 작가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④ 그의 작품은 개성의 신장을 주제로 한 새로운 윤리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정답 : ②
평안북도 정주(定州) 출생인 이광수는 소작농 가정에 태어나 1902년 부모를 잃고 고아가 된 후 동학(東學)에 들어가 서기(書記)가 되었으나 관헌의 탄압이 심해지자 1904년 상경해 이듬해 친일단체 일진회(一進會)의 추천으로 도일, 메이지[明治]학원에 편입하여 공부하면서 소년회(少年會)를 조직하고 회람지 《소년》을 발행하는 한편 시와 평론 등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1910년 동교를 졸업하고 일시 귀국하여 오산학교(五山學校)에서 교편을 잡다가 재차 도일, 와세다[早稻田]대학 철학과에 입학, 1917년 1월 1일부터 한국 최초의 근대 장편소설 《무정(無情)》을 《매일신보(每日申報)》에 연재하여 소설문학의 새로운 역사를 개척하였다. 1921년 4월 귀국하여 허영숙(許英肅)과 결혼, 1923년 《동아일보》에 입사하여 편집국장을 지내고, 1933년 《조선일보》 부사장을 거치는 등 언론계에서 활약하면서 《재생(再生)》 《마의태자(麻衣太子)》 《단종애사(端宗哀史)》 《흙》 등 많은 작품을 썼다. 1937년 수양동우회(修養同友會) 사건으로 투옥되었다가 반 년 만에 병보석되었는데, 이때부터 본격적인 친일 행위로 기울어져 1939년에는 친일어용단체인 조선문인협회(朝鮮文人協會) 회장이 되었으며 가야마 미쓰로[香山光郞]라고 창씨개명을 하였다.
8․15광복 후 반민법으로 구속되었다가 병보석으로 출감했으나 6․25전쟁 때 납북되었다. 그간 생사불명이다가 1950년 만포(滿浦)에서 병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밖의 작품에 《윤광호(尹光浩)》 등의 단편과 《이차돈(異次頓)의 사(死)》 《사랑》 《원효대사》 《유정》 등 장편, 그리고 수많은 논문과 시편들이 있다.
이광수 문학의 특질을 계몽주의 문학이라고 보는 것이 문단의 정설이다. 이광수가 계몽주의적 경향을 나타낸 최초의 글은 《정육론(情育論)》인데, 그는 여기에서 어린이의 교육은 무엇보다도 정서교육을 중시해야 한다는 진보적 교육관을 내세움으로써, 이(理)와 지(知)에 치우친 과거의 인간관과 교육관을 전적으로 부정하였다. 《어린 벗에게》 《무정(無情)》은 이와 같은 그의 사상을 소설로 작품화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22. 다음 중 춘원의 「무정」에 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이광수의 최초의 장편소설이자 한국 근대문학사상 최초로 근대문학의 면모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②《매일신보》에 연재된 이 작품은 근대의식의 자각, 사회의식의 각성을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
③ 민족주의 및 인도주의에 입각한 작품이다.
④ 근친간의 애정을 그린 작품으로 작가의 앞선 애정관을 엿보게 한다.
정답 : ④
<무정>은 1917년 《매일신보(每日申報)》에 연재된 한국 최초의 현대 장편소설이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서울 경성학교의 영어교사 이형식은 김 장로의 딸 선형에게 영어 개인지도를 하다가 선형의 미모에 차차 연정을 품게 되는데, 어린 시절의 친구이며 자기를 귀여워했던 박 진사의 딸 영채로부터 사랑의 고백을 받는다. 이 때 영채는 투옥된 아버지를 구하기 위해 기생이 되었다. 그 뒤 영채는 경성학교 배 학감에게 순결을 빼앗기자 형식에게 유서를 남기고 자취를 감추어 버린다. 한편, 자살을 기도하였던 영채는 동경에 유학 중인 병욱을 만나 마음을 바꾸고 음악과 무용을 공부하기 위해 일본으로 향하며, 약혼한 형식과 선형은 미국 유학길에 오른다. 이들은 같은 기차로 유학길을 떠나고 있었으며, 모두 학교를 마치고 고국에 돌아오면 문명사상의 보급에 힘쓸 것을 다짐하고 있었다.
이 소설에서는 근대문명에 대한 동경, 신교육사상, 자유연애의 찬양 등이 주제를 이루어 당시 독자들의 비상한 관심을 집중시켰을 뿐만 아니라, 한국 현대 문학의 출발을 알리는 선구적인 의의를 지니는 작품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23. 1920년대 소설에 관한 다음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춘원류의 계몽주의 문학을 거부하고자 하는《창조》로부터 출발하였다.
② 이 시기는 근대의 확립기로서, 소설의 관심이 당대 현실문제로 모아졌다.
③ 이 시기에 서구 리얼리즘이 유입되기는 했지만, 당시 소설문학의 중심적인 사조는 낭만주의였다.
④ 이 시기는 우리 소설사에서 근대적인 단편소설의 양식을 확립하는 출발선이었다.
정답 : ③
1920년대는 한국의 신문학운동에 있어 개화기라고 할 수 있다. 말하자면 한국문학 근대화의 한 고비가 되는 셈이다. 물론 문학의 근대화라면 우선 그 환경이 문제가 되고 민족적인 독립국가라는 큰 전제가 필요하지만, 한국 신문학의 경우 10년에 국권피탈로 인하여 근대화의 환경으로서는 불모지라고 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그런 속에서도 신문학운동은 전개되어 19세기의 근대문학 사조인 낭만주의 ․자연주의 ․상징주의 등이 들어와서 문예사조를 형성하였다. 이와 같은 사조들을 타고 문학지들도 많이 등장하였는데 《태서문예신보(泰西文藝新報)》 지상에는 김억(金億) ․황석우(黃錫禹) 등이 자유시를 발표하였고, 문예동인지 《창조(創造)》에서는 일본 낭만파 시의 대량 번역과 함께 주요한(朱耀翰)의 휘트먼적 의지, 전원구가(田園謳歌), 도시통매(都市痛罵) 등 이상적 경향의 시를 볼 수 있었다. 이어 《장미촌(薔薇村)》(21), 그리고 김억 ․남궁 벽(南宮璧) ․나혜석(羅惠錫) ․오상순(吳相淳) ․황석우 ․염상섭(廉想涉) 등을 동인으로 한 《폐허(廢墟)》(1920), 박종화(朴鍾和) ․홍사용(洪思容) ․노자영(盧子泳) ․이상화(李相和) ․박영희(朴英熙) ․나도향(羅稻香) 등이 동인이었던 《백조(白鳥)》(1922), 양주동(梁柱東) ․이장희(李章熙) ․유엽(柳葉) 등을 동인으로 한 《금성(金星)》(1924) 등이 발행되었는데, 이들 동인지에 나타난 대부분의 시는 허무적인 낭만주의를 주조로 하였다. 여기에 김소월(金素月)의 민요적 정한(情恨), 한용운(韓龍雲)의 구도적(求道的) 시정신을 추가할 수 있다. 이광수의 계몽주의에 반기를 들고 일어난 김동인(金東仁)을 비롯하여 전영택(田榮澤) ․현진건(玄鎭健) ․염상섭 ․나도향 등은 1920년대 초기를 대표하는 작가들이다. 이 작가들 가운데 김동인은 문학의 계몽성을 거부하는 순문학을 탄생시켜 근대적인 문학정신을 심어놓은 작가라는 점에서, 또 염상섭은 냉철한 리얼리즘을 보여준 최초의 작가라는 점에서 높이 평가된다.
1920년대에 나타난 문학운동 중 색다른 것은 소위 신경향파(新傾向派) 문학과 프롤레타리아 문학이다. 이 두 개의 문학은 1920년 초부터 밖에서 들어온 사회주의사상과 풍조를 배경으로 하여 일어난 것이다. 신경향파는 시보다도 소설에서 더 활발한 면을 보였는데 그 특색은 하층인물을 주인공으로 하여 극빈적 가난을 그리되 결말에 가서는 지주(地主) 등 상류계급에 대한 반항을 나타내는 것이 상례였다. 그 대표적 작가로는 최서해(崔曙海)를 들 수 있다. 그 뒤를 이어 25년에 프로 문학단체인 카프(KAPF: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동맹)가 결성되어 약 5 ․6년간 문단의 패권을 쥐다시피 하였는데 이 프로문학의 특징은 마르크스적 이데올로기의 주입과 계급혁명이라는 정치성이 노출되어 문학적인 작품으로서의 성과를 남기지 못하였다. 이에 속하는 대표적 문인은 임화(林和) ․이기영(李箕永) ․김남천(金南天) 등이었다.
24. 이인직에서 이광수를 거치는 소설문체의 변혁은 다음 중 어느 작가에 이르러 완전한 언문일치와 개성적인 문체에 도달하게 되는가?
① 김동인 ② 염상섭
③ 현진건 ④ 전영택
정답 : ①
한국 최초의 국한문혼용체인 유길준(兪吉濬)의 《서유견문(西遊見聞)》(1865) 서문(序文)에 언문일치 주장이 처음으로 나타나며, 그 후 이인직(李仁稙) 등의 신소설과 최남선(崔南善) ․이광수(李光洙) 등을 거쳐 김동인(金東仁)에 이르러 완성을 보았다. 김동인은 이광수의 ꡐ이더라 ․하더라ꡑ를 ꡐ이다 ․한다 ․하였다ꡑ 등으로 고치고, 소설에서 ꡐhe ․sheꡑ에 상당하는 3인칭 대명사 ꡐ그ꡑ ꡐ그녀ꡑ를 쓸 것을 주장하였다. 이는 ꡐ하도다 ․하외다ꡑ 등의 문어(文語)에서 벗어나 ꡐ한다 ․합니다ꡑ 등의 구어(口語)를 쓰는 문장으로의 변천과정이었으나, 한국어의 특성상 그 완전일치는 불가능하였다.
25. 다음 중 김동인의 문학사적인 공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결정론에 근거한 자연주의 문학을 도입하여 그 터전을 마련하였다.
② 이광수의 계몽주의적인 경향을 배척하고 문학의 독자성과 자율성을 확립하였다.
③ 최초의 문예동인지《창조》를 간행하는 등 이 땅에 동인지 운동의 첫 관문을 열었다.
④ 「운수 좋은 날」에서 볼 수 있듯이 반전의 수법 등 단편소설의 기교를 확립하였다.
정답 : ④
<운수 좋은 날>은 현진건의 단편소설이다.
26. 다음 중 「만세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횡보 염상섭의 작품으로서 연재시의 제목은 「묘지」였다.
② 동경유학생의 귀경을 통해 식민지 조선의 암담한 현실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③ 작가는 유미주의 경향을 지닌 이 작품을 통해 예술지상주의의 길을 열었다.
④ 이 작품의 결말 부분을 도피 행위로 파악한 것은 작가가 지닌 현실 인식의 한계를 드러낸 것이다.
정답 : ③
염상섭은 1922년 《신생활(新生活)》지에 《묘지(墓地)》라는 제목으로 발표하였다가 《만세전》으로 개제하여 1924년에 단행본으로 출판하였다. 일본에 유학 중이던 ꡐ나ꡑ는 아내가 위독하다는 전보를 받고 귀국한다. 귀국 도중 미행하는 일본형사에게 시달려 울분을 터뜨리기도 한다. 집에 와 보니 현대의학으로는 충분히 고칠 수 있는 유종(乳腫)인데도 아버지는 술타령이나 하며 재래식 의술에 맡겨 둔 채 죽음을 재촉한다. ꡐ나ꡑ는 구더기가 들끓는 공동묘지 같은 환경에서 하루바삐 탈출하고 싶은 생각뿐이다. 이윽고 ꡐ나ꡑ는 불쌍한 아내의 죽음을 생각하며 질식할 듯한 집안을 박차고 다시 일본으로 떠난다. 3․1운동 전야의 암담한 현실을 배경으로 민족의 비애와 그 속에서 타협하며 살아가는 치욕스런 인간 군상을 사실주의 기법으로 묘사하였다.
27. 1930년대 소설에 관한 다음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도시소설과 농민소설의 등장에서 보여지듯이 소설의 관심이 다양하게 확대되었다.
② 대중소설의 대두, 장편소설에 대한 논의 등이 동시에 이루어져 우리 문학사에 풍요로운 자산을 마련해주었다.
③ 소설의 기법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어 소설장르가 확대되기에 이르렀다.
④ 이 시기의 소설문학은 고발문학의 성격을 띠고 있다.
정답 : ④
30년대의 한국의 문학은 20년대 후반에 성행했던 프로문학에 대한 반발과 파시즘의 대두 및 중 ․일전쟁 발발로 불안의식이 고조되어 큰 전환점을 맞게 된다. 객관적 정세가 악화될 때 문학은 위축되고 안이한 길을 걷게 되는 것이 상례이지만, 이 시기의 문학을 문학사적인 입장에서 살펴볼 때 반드시 그렇지는 않아 그 특징을 몇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시나 소설에서 서정주의적인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점이다. 둘째는 33년을 전후해서 등장한 모더니스트의 일파이다. 이 모더니즘은 시인들이 중심이 된 문학운동으로 서양의 상상파(이미지즘)의 계통을 본떠서 모더니티를 강조한 것이다.
30년대 후반기에는 재능 있는 신인들이 많이 등장하였다. 이 시기는 일본의 대륙침략전이 한창이던 때였으므로 한국문학의 주경향은 도시의 현실을 도피하여 자연을 가까이하는 경향이 두드러졌고, 역사소설의 대거 등장도 같은 맥락에서 생각할 수 있다.
이 무렵 심리주의와는 반대로 세태를 있는 그대로 묘사한 일군의 세태소설이 등장했다. 채만식(蔡萬植)의 《탁류(濁流)》(38), 박태원(朴泰遠)의 《천변풍경(川邊風景)》(36)이 그것인데, 유진오(兪鎭午)도 《김강사와 T교수》(35)를 거쳐 시정(市井) 세계를 묘사한 《주붕(酒朋)》(40)을 발표하였다. 이 밖에 인상파 작가로 불리는 계용묵(桂鎔黙) ․김유정(金裕貞)의 활약도 주목해야 할 것이다. 이 시기의 후반기에서 또 하나의 두드러진 현상은 유능한 신인들의 등장이라 하겠는데 시에서 서정주(徐廷柱), 소설에서 김동리(金東里) ․박영준(朴榮濬) ․정비석(鄭飛石) ․최인욱(崔仁旭) 등 신인이 한국의 토착적 ․풍토적인 데서 제재를 찾아 작품을 형상화함으로써 높은 예술성의 획득을 시도하였던 것이다. 특히 김동리는 《무녀도(巫女圖)》 《바위》 등의 수작들을 발표하여 한국의 문학을 한층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28. 다음 중 이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전통적인 소설의 통념을 거부하고 작중 인물의 내면적인 심리의 움직임에 충실하려는 기법을 보여주고 있다.
② 그의 세계인식의 태도에는 냉철하고 이지적인 현실감각이나 비극적인 진지성보다는 인간 희화적인 해학미가 넘쳐나고 있다.
③ 대표작으로는 「인력거군」, 「살인」, 「도시와 유령」등이 있다.
④ 극예술연구회의 동인으로 활약하면서 무정부적인 저항을 주조로 하는 작품을 발표하였다.
정답 : ①
이상(李箱)은 1931년 처녀작으로 시 〈이상한 가역반응(可逆反應)〉 〈파편의 경치〉를 《조선과 건축》지에 발표하고, 1932년 동지에 시 〈건축무한 육면각체(建築無限六面角體)〉를 처음으로 '이상(李箱)'이라는 이름으로 발표했다. 1933년 3월 객혈로 건축기사직을 사임하고 배천온천(白川溫泉)에 들어가 요양을 했다. 이때부터 그는 폐병에서 오는 절망을 이기기 위해 본격적으로 문학을 시작했다.
요양지에서 알게 된 기생 금홍과 함께 귀경한 그는 1934년 시 《오감도(烏瞰圖)》를 조선중앙일보에 연재하기 시작했으나 난해하다는 독자들의 빗발치는 항의로 중단했다. 1936년 《조광(朝光)》지에 《날개》를 발표하여 큰 화제를 일으켰고 같은 해에 《동해(童骸)》《봉별기(逢別記)》 등을 발표하고 폐결핵과 싸우다가 갱생(更生)할 뜻으로 도쿄행[東京行]을 결행하였으나, 불온사상 혐의로 일본경찰에 체포되었다가 병보석으로 풀려 도쿄대학교 부속병원에서 병사하였다.
주요 작품으로는 전기 외에 소설 《지주회시》 《환시기(幻視記)》 《실화(失花)》 등이 있고, 시에는 《이런 시(詩)》 《거울》 《지비(紙碑)》 《정식(正式)》 《명경(明鏡)》, 수필에는 《산촌여정(山村餘情)》 《조춘점묘(早春點描)》 《권태(倦怠)》 등이 있다. 1957년 80여 편의 전 작품을 수록한 《이상전집(李箱全業)》 3권이 간행되었다.
29. ‘문학의 가치’에서 “석일의 시가 소설은 다만 銷閑遣悶의 오락적 문학임에 반하여 금일의 문학은 인생의 행로를 연구하며 인생의 정적 상태의 변천을 연구하는 것”이라고 한 사람은?
① 최남선 ② 이광수
③ 주요한 ④ 염상섭
이광수는 「문학의 가치」(1910.3, <<대한흥학보>>)에서 “석일의 시가․소설은 다만 鎖閑遣悶의 오락적 문학임에 반하여 금일의 시가․소설은 결코 불연하여 인생과 우주의 진리를 개발하며, 인생의 행로를 연구하며 인생의 정적 상태급 변천을 연구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30. 다음의 글이 등장하는 신채호의 평론은?
중국혁명의 주동적 세력이 학생들이었는데 그후 신문예의 마취제를 먹은 후로 혁명의 칼을 던지고 문예의 붓을 잡으며 희생 유혈의 관념을 버리고 신시, 신소설의 저작에 고심하여 문예의 도원으로 안락국을 삼는 까닭이다. |
① 「문예계 청년에게 참고를 구함」
② 「조선혁명선언」
③ 「낭객의 신년만필」
④ 「대한의 희망」
신채호는 「낭객의 신년만필」(1925)에서 “중국혁명의 주동적 세력이 학생들이었는데, 그 후 신문예의 마취제를 먹은 후로 혁명의 칼을 던지고 문예의 붓을 잡으며 희생 유혈의 관념을 버리고 신시․신소설의 저작에 고심하여 문예의 도원으로 안락국을 삼는 까닭이다”라는 중국 측의 진단을 들어 3. 1운동 후의 한국의 사회상과 비교하여 시대적 풍조를 비판하고 있다.
31. 민족의 굴욕적 현실을 깨닫고 강자와 약자의 대결에서 민족이 노예가 된다는 사실은 구체적으로 3․1운동을 몸소 겪은 바 체험을 통하여 깨닫고 있는 현실인식임을 지적한 평론가는?
① 오상순 ② 박종화
③ 신채호 ④ 염상섭
오상순은 ꡔ폐허ꡕ 창간호에서 “약한 인간이나 민족은 그 苦에 눌려서 그의 노예가 되고, 그 苦에 못 견디여서 쇠멸하고 만다”라고 말하였다. 이 글에서 오상순은 민족의 굴욕적 현실을 깨닫고 있으며, 강자와 약자의 대결에서 민족이 노예가 된다는 사실은 그것이 관념적인 지식으로 보여진 것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3. 1운동을 몸소 겪은 바 체험을 통하여 깨닫고 있는 현실인식임을 짐작할 수 있게 하였다.
32. 「예술과 행동」이란 비평에서 퇴폐주의 문학과 신경향파 문학을 동시에 비판하면서 절충론을 제기한 사람은?
① 송영 ② 박영희
③ 양주동 ④ 백철
양주동은 「예술과 생활」에서 이 시기의 퇴폐주의 문학과 신경향파 문학을 동시에 비판하면서 절충론을 제기하였다.
33. 1930년대에 「농민문학문제」에서 참된 농민문학은 직접적으로 농민의 요구를 들으며 감정과 의식을 아는 데서 해결된다고 한 비평가는?
① 김우철 ② 백철
③ 안함광 ④ 김기진
1930년대 비평계에서 농민문학론을 전개한 백철은 「농민문학문제」에서 농민문학은 직접적으로 농민의 요구를 들으며 감정과 의식을 아는 데서 해결될 뿐이지 안함광처럼 일방적으로 이데아를 주입하는 것으로는 불가능하다고 비판했다.
34. 「현대시의 생리와 성격」에서 김기림의 「기상도」를 해설하여 이 작품은 ‘상식적 예단이 허용되지 않아 주제포착이 어렵다’고 한 비평가는?
① 이하윤 ② 이양하
③ 정인섭 ④ 최재서
1930년대에 주지주의 비평을 제기한 최재서는 「현대시의 생리와 성격」에서 김기림의 「기상도」를 해설하여 이 작품은 상식적 예단이 허용되지 않아 주제포착이 어렵다고 전제하고 이 작품이 현대를 대상 삼았다는 것만을 가지고 현대 세계의 어떤 단면을 관찰하고 어떤 사상으로써 그것을 비평하고 결론을 얻었느냐 하는 질문방식으로는 작품에 접근할 수 없다고 하였다.
35. 조선문학에는 전통이 없는 대신 조선말 자체에는 놀랄만한 전통이 있다고 하면서 조선어의 전통미에 대해 관심을 기울인 비평가는?
① 김문집 ② 김기림
③ 정인섭 ④ 김환태
김문집은 「언어와 문학개성」에서 조선의 문학에 전통이 없는 대신 조선말 자체에는 놀랄만한 전통이 있다고 말하였다. 민족의 역사가 오래면 오랠수록 또 꽃다우면 꽃다울수록 그 표상인 언어는 전통미를 갖추게 되는 법인데 우리 조선말은 의외로 짙고 아름다운 전통미를 영양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가 김유정에 대해 찬사를 보낸 것도 이러한 조선어의 전통미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