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사강의(經史講義) 8
○ 논어(論語) 1 신축년(1781)에 이시수(李時秀), 홍이건(洪履健), 이익운(李益運), 이종섭(李宗燮), 이현묵(李顯默), 박종정(朴宗正), 서용보(徐龍輔), 김재찬(金載瓚), 이조승(李祖承), 이석하(李錫夏), 홍인호(洪仁浩), 조윤대(曺允大), 이노춘(李魯春) 등의 대답을 뽑았다
안연(顔淵)
부자(夫子)가 일찍이 “예(禮)는 호화롭게 하기보다는 차라리 검소해야 하고 상(喪)은 예법을 잘 지키기보다는 차라리 슬픔을 가지는 것이 낫다.”고 한 것이 바로 이 장의 극자성(棘子成)의 뜻인데, 자공(子貢)이 “사마(駟馬)도 혀를 따라잡지 못한다.”고 하며 배척하였고, 부자가 또 “문(文)이 질(質)을 이기면 사(史)하고 질(質)이 문(文)을 이기면 야(野)하니, 문과 질이 빈빈(彬彬)한 뒤라야 군자라고 할 수 있다.”고 한 것이 바로 이 장의 자공의 뜻인데, 주자가 ‘본말과 경중의 차등이 없다’고 배척하였다. 어째서인가?
[조윤대가 대답하였다.]
부자의 말은 저울대를 잘 가늠하듯이 하여 일찍이 문(文)을 다 없애도 된다고 한 적이 없는데, 극자성의 말은 말투가 교격(矯激)하여 그 나중의 폐단이 필시 그 문을 다 없애는 데에까지 이를 것이니, 이것이 다른 까닭입니다. 주자가 이른바 ‘본말과 경중의 차등이 없다’고 한 것은 대개 “호랑이나 표범의 털 없는 가죽이 개나 양의 털 없는 가죽과 같다.”라는 두 구절을 가리킨 것이고, “문도 질과 같고 질도 문과 같다.”라는 두 구절에 이르러서는 부자가 문질(文質)을 말한 것과 한가지 뜻입니다. 어찌 모두 잘못된 것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까.
숭덕변혹(崇德辨惑)에 대한 물음에 대해 이 한 편(篇) 안에서 두 개의 대답이 각기 다르다. 자장(子張)이 물었을 때에는 부자가 주충신(主忠信), 사의(徙義), 애오욕생사(愛惡欲生死)로 답을 하고, 번지(樊遲)가 가르침을 청했을 때에는 부자가 선사후득(先事後得), 망신급친(忘身及親)으로 가르쳤다. 비록 각기 품성의 치우침과 바름을 따르고 병통의 얕음과 깊음을 따라서 병세에 맞추어 처방을 준 것이라고는 하더라도, 같은 숭덕변혹이고 보면 두 대답의 뜻에 또한 반드시 서로 통하는 것이 있을 것이다. 그것을 듣고 싶다.
[김재찬이 대답하였다.]
충신(忠信)과 사의(徙義)는 덕(德)의 체(體)와 용(用)을 겸하여 말한 것인데 선사후득(先事後得)은 다만 용(用)만을 가지고 말한 것입니다. 애오생사(愛惡生死)는 칠정(七情)의 양단을 아울러 거론한 것인데 망신급친(忘身及親)은 다만 분노(忿怒)만을 가리켜 말한 것입니다. 이것으로 두 사람의 얕고 깊음과 높고 낮음을 알 수가 있습니다.
주충신(主忠信)과 사의(徙義)를 과연 체(體)와 용(用)으로 나눌 수 있는가? 《대전(大全)》과 《몽인(蒙引)》에서는 모두 충신(忠信)을 안으로 보고 사의(徙義)를 밖으로 보았으니, 이는 충신이 체(體)가 되고 사의가 용(用)이 되는 것이다. 《곤면록(困勉錄)》에서는 “의(義)는 절로 안과 밖을 겸하고 있다.”고 하였으니, 이는 충신이 스스로 체와 용을 가지고 있고 사의도 스스로 체와 용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어느 학설이 맞는지 알지 못하겠다.
[이노춘이 대답하였다.]
충신(忠信)을 나누어 말하자면 충(忠)이 체(體)가 되고 신(信)이 용(用)이 되며, 충신과 사의를 대응시켜 말하자면 충신이 체가 되고 사의가 용이 됩니다. 사의만 가지고 하나로 말하자면 마음의 제어[心之制]가 체가 되고 일의 마땅함[事之宜]이 용이 됩니다. 대개 체용(體用)이라는 두 글자는 본디 고정불변으로 말할 수 없는 것입니다.
남의 살고 죽음을 자기의 좋아하고 미워함에 의거하여, 아주 좋아할 때에는 문득 그 사람이 반드시 살게 되기를 바라다가 아주 미워할 때에는 문득 그 사람이 반드시 죽기를 바라니, 좋아함과 미워함에 마음이 빠진 자가 혹시 이와 같을 수도 있음은 그리 이상히 여길 일도 아니지만, 앞에서 이미 그가 살기를 바라다가 바로 또 그가 죽기를 바라서 문득 좋아하다가 문득 미워하고 금방 살기를 바라다가 금방 죽기를 바라니 이는 참으로 무슨 마음인가? 비록 사사로운 감정에 가리어져 미혹된 것이라고는 하나, 하나의 생각이 이토록 서로 반대인 것을 그 병통의 근원을 가리켜 말할 수 있겠는가?
[김재찬이 대답하였다.]
이 장의 ‘이미 그가 살기를 바랐다가 또 그가 죽기를 바란 것’은 한 사람의 마음이 아침엔 좋아하다가 저녁엔 미워함을 가지고 말한 것인데, 미혹과 가리어짐이 심하면 좋아함과 미워함이 일정함이 없고 좋아함과 미워함 사이에 주관이 정해지지 않아서, 다만 좋아하는 사람은 살고 미워하는 사람은 죽기를 바랄 줄만 알고 사람이 죽고 사는 것이 내가 바라는 대로 되는 일이 아님을 알지 못합니다. 이것은 오로지 이치에 밝지 못하고 마음이 형평을 잃은 데에서 말미암는 것입니다.
위는 안연편(顔淵篇)이다.
[顔淵]
夫子嘗曰。禮與其奢也。寧儉。喪與其易也。寧戚。卽此章棘子成之意。而子貢斥之以駟不及舌。夫子又曰。文勝質則史。質勝文則野。文質彬彬然後君子。卽此章子貢之意。而朱子斥之以無本末輕重之差。何也。允大對。夫子之言。權衡審察。未始以文爲可盡祛也。子成之言。詞氣矯激。流弊必至於盡去其文也。此所以異。而朱子所云無本末輕重之差者。蓋指虎豹之鞟兩句。至於文猶質兩句。與夫子文質之訓一意。豈可謂之胥失乎。崇德辨惑。一篇之內兩答各異。子張有問。則夫子答之以主忠信徙義愛惡欲生死。樊遲請敎。則夫子誨之以先事後得。忘身及親。藉曰各隨其稟性偏正。受病淺深。授以對證之良方。而同一崇德辨惑。則兩答旨意。亦必有相通者。願聞之。載瓚對。忠信徙義。兼言此德之體用。而先事後得。但就用上言。愛惡生死。幷擧七情之兩端。而忘身及親。但指忿怒言。卽此而二子之淺深高下。可見。主忠信徙義。果可以分體用耶。大全蒙引。皆以忠信爲內。徙義爲外。則是忠信爲體。而徙義爲用也。困勉錄云。義自兼內外。則是忠信自有體用。徙義亦自有體用也。未知何說爲得。魯春對。忠信。分言則忠爲體而信爲用。以忠信徙義。對言則忠信爲體。而徙義爲用。就徙義中。單言則心之制爲體。事之宜爲用。蓋體用二字。本不可硬定說。以人之生死。憑己之愛惡。當其愛之之至。輒欲其人之必生。當其惡之之甚。輒欲其人之必死。人情之溺於愛惡者。無恠其容或如是。而至於前旣欲其生。旋又欲其死。乍愛乍惡。俄生俄死。是誠何心哉。雖云蔽惑於私意。而一念之間。若此其相反者。可指受病之源耶。載瓚對。此章旣欲其生。又欲其死。以一人之朝愛暮惡言。而迷蔽之至。愛惡無恒。愛惡之間。主宰無定。只知愛者欲生。惡者欲死。而不知人之生死。不係於我之欲與不欲。此專由於理之未明而情之失平也。以上顔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