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마 하면 항균도마를 많이 쓰시는데 나무도마가 훨씬 병원균감염이 적다는 사실입니다.
특히 생선회를 뜰때는 생선이 미끄럼이 많은 항균도마보다는 딱 밀착이 되는 느낌을 갖는 나무도마가 좋습니다.
생선회칼의 날도 플라스틱제 항균도마 보다 목재도마가 날을 덜 무디게 합니다.
생선회를 좋아 하기에 가끔 바닷가가 도시 산페르난도로 좋은 생선이 나왔는지 가 봅니다. 회로 먹을 수 있는 좋은 생선을 사서 집에서 직접 회를 뜹니다.
시중에서 파는 나무도마가 맘에 안들어 직접 만들어 보았습니다. 편백나무 도마가 잘 썩지 않아 좋다고 하는데 제 생각으로는 좀 단단한 나무가 도마로 적합하다고 봅니다.
적당한 나무를 골라 목재도마를 만들었습니다. 후처리는 샌드페이퍼머신으로 표면을 매끄럽게 가공하였습니다.

완성된 도마입니다.그리고 두종의 생선회 칼인데, 아래 칼은 아가미를 절개하고 내장을 빼거나 생선을 초별정리하는데 사용하고, 위 칼은 회를 뜨거나 썰때 사용하는데 이 회칼은 일본 하세가와히모노 제품이랍니다.
"칼이쓰마" 대표인 이사장님께서 이렇게 좋은 칼들을 선물로 보내 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목공용 공구나 생선회 칼을 가는데 사용되는 숫돌은 보통 3종이 쓰입니다.좌측부터 막숫돌(#300), 중간숫돌(#1000), 마무리용 숫돌(#3000). 완전히 무뎌진 날은 막숫돌로 날을 만듭니다. 일단 날이 섰으면 중간숫돌로 날을 넘깁니다.
날이 뒤로 넘어가기 시작하면 마지막으로 마무리 가공용 숫돌로 갑니다.앞면부터 가공,
그리고 뒷날은 숫돌에 평면으로 밀착시켜 갑니다.
날이 제대로 섰는지 확인할때는 손가락 검지나 엄지로 날끝을 만져 지나갈때 거친 느낌이 없어야 되고
또다른 방법은 눈으로 봤을때 날끝의 하얀선이 나타나지 않아야 됩니다.

<참고 자료>펌글...
도마는 플라스틱제가 좋을까? 목제가 좋을까?
가정주부들은 닦기쉬운 표면을 가진 재료로 부엌을 꾸민다는 생각에서 오랫동안 사용해 오던 목제 도마를 버리고 반짝이는 새로운 플라스틱제로 바꾸고 있다. 그리고 플라스틱제가 목제보다 위생적으로도 훨씬 뛰어나다고 생각하는 주부들이 많다.
그러나 미국 위스콘신-메디슨 대학의 두 과학자 Dean 클리버(Cliver)와 애크(Nese Ak)는 나무표면이 병원균에 의한 오염을 없애는 데 훨씬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들은 아홉 가지의 다른 종류의 나무와 네 종류의 플라스틱, 그리고 고무로 된 도마를 대상으로 조사연구한 결과 언제나 나무가 우수하다는 것을 밝혔다. 이들은 살모넬라(Salmonella), 리스테리아(Listeria) 그리고 에슈에리치아 콜리(Echerichia coli)등 박테리아를 여러 종류의 도마 견본의 표면에 뿌리고 3분간 방치한 결과 프라스틱(또는 고무) 위의 박테리아의 수준은 변하는 반면 나무 위의 박테리아의 수준은 뚝 떨어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 하룻밤을 실온으로 둔 결과 플라스틱의 박테리아는 여러 배로 불어났으나 나무표면은 너무나 깨끗하게 없어졌기 때문에 클리버 박사팀은 박테리아를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
처음에는 이 결과에 대해 깜짝 놀랐으나 결국 나무들은 수억 년 동안이나 박테리아와 싸워 온 이를테면 '백전노장'이다. 그래서 나무들은 대부분의 동물보다 오래 산다. 또 나무들은 죽은 뒤에도 수십년간을 미생물의 공격으로부터 저항할 수 있다. 나무로서는 몇마리의 살모넬라를 죽이는 것쯤은 어린애 장난이나 다름없는 것이다.
클리버 박사팀은 나무에서 정확히 어떤 일이 벌어질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나무의 구멍이 많은 구조가 박테리아가 가진 액체를 빨아 들인다고 생각하고 있다. 일단 구멍 속으로 들어간 박테리아들은 살아 있는 나무들이 자위용으로 간직하고 있는 많은 유독한 항(抗)박테리아 화학물 중의 하나로 죽응을 당한다. 그러나 그 중에서 어떤 화학물이 이런 작용을 하는지는 아직도 밝혀지지 않고 있다.
<나노테크 숟가락> 현원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