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의 파일을 클릭하면 논문을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
불교 업보윤회설의 의의와 해석The Significance and Interpretation of Buddhist Karma-Transmigration Theory
불교학연구
약어 : KJBS
2011, vol.29, pp. 163-193 (31 pages)
DOI : 10.21482/jbs.29..201108.163
UCI : G704-001018.2011.29..007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연구분야 :
인문학 > 불교학
박경준 동국대학교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업설과 윤회설의 기본 의의
1. 올바른 인생관의 확립
2. 인간 평등의 원리적 토대
3. 자유와 책임의 민주주의 원리
Ⅲ. 불교 共業說의 사회적 의의
Ⅳ. 업설의 결과론적 측면
Ⅴ. 인과응보의 심리적 해석
Ⅵ. 윤회설의 의의
Ⅶ. 나오는 말
초록
불교의 업보윤회설은 흔히 신비주의적 개념으로 이해되어 왔다. 하지만 업보윤회설은 불교적 세계관 및 인생관의 바탕이 되는 교설로서 현대사회에서도 여전히 그 의의가 크다. 뿐만 아니라 그것은 몇 가지 새로운 관점에서 해석해 볼 여지가 있다. 이에 대한 고찰의 결과,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잠정적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첫째, 불교의 업설과 윤회설은 인간의 운명은 신의 뜻이나 숙명 또는 우연이 아니라 인간의 행위(karma)로 말미암은 것임을 강조함으로써 우리로 하여금 올바른 삶을 살아가게 한다. 인간의 귀천 역시 오직 인간의 행위에 의해 규정된다고 하는 바, 이것은 곧 인간 평등의 원리적 토대가 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불교의 업보윤회설은 오늘날 민주주의 사회에서 반드시 요청되는 시민정신인 ‘자유와 책임’ ‘권리와 의무’를 가르친다. 둘째, 불교의 업설은 개인적인 不共業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共業을 강조함으로써 참여민주주의에 대한 이론적 지지대 역할을 한다. 특히 공업은 자연환경까지를 규정한다고 하는 바, 오늘날 환경 위기에 대한 인간의 공동의 노력은 물론, 그 무엇도 쉽게 체념하지 않는 도전 정신을 일깨운다. 셋째, 불교 업설은 근본적으로 인간의 선의지를 강조하는 윤리적 동기론의 입장에 서 있지만, 결과론적 윤리 사상도 함께 포함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글로벌 리스크 사회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넷째, 불교 업설은 단선[개인]적 차원뿐 아니라, 평면[사회]적 차원, 그리고 공간[심리]적 차원에서도 해석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앞으로는 심리적 인과응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요청된다.
키워드 ; 업설 윤회설 민주주의 공업 결과론적 윤리사상 심리적 인과응보.
karma theory, transmigration theory, democracy,collective karma, the result of actions, psychological causality.
피인용 횟수 KCI 4회 FWCI(2024-07-27 기준) 1,949 회 열람
인용현황 KCI에서 이 논문을 인용한 논문의 수는 4건입니다.
참고문헌(23)
2024년 이후 발행 논문의 참고문헌은 현재 구축 중입니다.
1. [기타자료] - / / Aṅguttara Nikāya
2. [기타자료] - / / Dīgha Nikāya
3. [기타자료] - / / Saṃyutta Nikāya
4. [기타자료] - / / Dhammapāda
5. [기타자료] - / / The Sacred Books of the East
6. [기타자료] - / / 大乘涅槃經
7. [기타자료] - / / 四分律
8. [기타자료] - / / 中阿含經
9. [기타자료] - / / 賢愚經
10. [단행본] - 고익진 / 2008 / 불교의 체계적 이해 / 일승보살회
11. [단행본] - 김동화 / 1972 / 불교학개론 / 보련각
12. [단행본] - 박경준 / 2010 / 불교사회경제사상 / 동국대학교 출판부
13. [단행본] - 이중표 / 2002 / 근본불교 / 민족사
14. [단행본] - 정세근 / 2008 / 윤회와 반윤회 / 도서출판 개신
15. [단행본] - Weber, Max / 1058 / The Religion of India / The Free Press
16. [단행본] - Christopher Queen / 1996 / Engaged Buddhism /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7. [단행본] - 木村泰賢 / 1992 / 원시불교사상론 / 경서원
18. [단행본] - 베르나르 포르 / 2011 / 불교란 무엇이 아닌가 / 그린비
19. [단행본] - 지나 서미나라 / 1995 / 윤회의 진실 / 정신세계사
20. [학술지(정기간행물)] - 남궁선 / 2006 / 共業의 사회성에 대한 생태철학적 해석 / 한국불교학 (46) : 297~322
21. [학술지(정기간행물)] - 박경준 / 2009 / 佛敎 共業說의 사회학적 함의 - '사회적 실천'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 불교학보 52 (52) : 149~171
22. [학술지(정기간행물)] - 박경준 / 1992 / 불교 업설에서의 동기론과 결과론 / 불교학보 29
23. [학술지(정기간행물)] - 한자경 / 2002 / 논과 쟁: 무아와 윤회 그리고 해탈 -김진 교수의 반론에 답하며 / 오늘의 동양사상 7 : 1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