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칠인마을 |
반월마을 |
■ 마을특색
상수도보호구역
2004년 5월 장흥군 최초 생태체험마을로 지정
2005년부터 친환경농업
2009년 녹색농촌체험마을 지정
장흥댐 최상류에 위치하여 청정환경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고 자연친화적인 표고버섯을 주소득원으로 표고버섯 학습장, 생태체험장, 장수풍뎅이 사육장 등 어린이와 청소년의 교육의 장으로도 크게 활용되고 있으며 도시민에게 체험과 휴식의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 특이지형
|
반월과 칠인동 사이에 있는 바위로 농처럼 생겼다 하여 농바우가 있다. |
■ 등산로, 임도, 주요도로
∙반월과 칠인을 연결하는 도로는 좁은 골목길이었으나 1962년 폭 4m로 확장하였고, 2008년 차로로 확포장하였다.
∙마을안길은 1988년 시멘트로 포장하였다.
■ 천연기념물, 보호 및 희귀동물 등
∙수달, 수리부엉이, 장수하늘소, 민물가재를 목격할 수 있다
■ 水자원
|
반월에서 칠인을 관통하는 반월천이 있다. 2000년경 정주권 사업으로 600m정도를 공사하였고, 2002년 하천정비사업시 폭을 6m에서 10m로 확대하였다. 2004년 매미태풍 때 마을이 모두 침수되는 큰 피해를 입기도 하였다. |
∙저수지는 근곡1제와 근곡2제가 있다. 근곡1제는 1968년 완공하였고, 근곡2제는 2010년 7월 완공되었다.
|
|
근곡1제 |
근곡2제 |
■ 식생(보호수, 노거수, 마을숲, 보호수림 등)
|
마을정자나무: 200여년 前 장태걸씨 조부님께서 마을과 조금 떨어진 곳에 소사나무(소나무)를 심으면서 여자(부인)와는 멀리 떨어져 있어야 한다고 하여 정자나무 근처에 여자는 얼씬도 못했다 한다. |
|
|
|
|
보호수 ∙수종 : 팽나무 ∙고유번호 : 장흥군 제79호 ∙수령 : 210년 ∙지정일자 : 1999.6.23. ∙수고 : 13m ∙소재지 : 유치면 반월리 36유선각옆 ∙나무둘레: 2m ∙관리자 : 반월리 마을공동 ∙나무의 특징 및 연혁 나뭇잎이 무성하고 수형이 원추형임 마을앞 공터에 위치하고 있으며 수형이 원추형으로 매우 아름다우며 회관 옆 느티나무와 조화를 잘 이루고 있음 |
보호수 ∙ 수종 : 느티나무 ∙고유번호 : 10-16-8-37 ∙ 수령 : 320년 ∙지정일자 : 1999.6.23. ∙ 수고 : 20m ∙소재지 : 유치면 반월리(칠인동) ∙ 나무둘레 : 4.0m ∙ 관리자 : 장흥군 유치면 반월리 58 장충남 ∙ 나무의 특징 및 연혁 지상 1.5m 지점에서 개의 가지로 갈라져 임총이 잘 발달하였으며 마을회관 방향의 동쪽 수피에는 6.25전란 당시 2차례에 걸친 마을 유선각의 화재로 화상을 입었으나 회복하는 단계에 있으며 유선각 자리에는 마을회관이 들어서 있음 |
■ 습지 혹은 생물서식지
∙ 반월천에 다슬기, 우렁이, 빠가사리, 배들치 서식
■ 비지정 전통건조물(정자, 사당, 제각, 향교 등)
∙ 칠인마을과 반월마을 유선각
|
|
칠인마을 유선각 |
반월마을 유선각 |
■ 신앙공간(성황당, 돌무덤, 당나무 등)
∙당산제 : 깃대봉과 국사봉 일대에 많은 들짐승들이 서식했는데 특히 멧돼지는 농사에 피해를 주고 호랑이는 마을근처 나무 밑에 내려와 사람을 해쳤다고 한다. 그래서 마을 주민들이 당산제를 지냈다 하며, 특히 옛날에 산에 올라가서 잠을 자면 짐승이 잠자고 있는 사람 주위에 달려들어 피해를 주었다고 한다. 이러한 짐승은 6.25이후 거의 자취를 감추었다. 당산나무는 그대로 있으나 당산제는 지내지 않고, 백중날이나 칠석날 당산나무 아래 음식을 차려 놓는 정도로 축소되었다..
■ 마을상징물
∙2009년 녹색농촌체험마을로 지정받은 후 설치한 안내판과 장수풍뎅이 마을로 지정된 후 만든 모형
|
|
|
마을 안내판과 안내석
|
■ 풍수지리나 전설(마을유래, 설화 등)
구비전승으로는 정자나무 금기와 국사봉굴 전설이 있다. 정자나무 금기전설은 2백여년전 장태걸씨 조부님께서 정자나무인 소사나무를 심으면서 정자나무와 여자와는 멀리 떨어져 있어야 한다는 금기를 주었고, 그 뒤 선조들은 정자나무 옆에 여자들을 절대로 못 가게 했으며 여자들은 얼씬거릴 생각을 안했다. 국사봉 굴전설은 국사봉 아래쪽에 굴이 있는데 그 굴에 들어가면 쌀이 나왔다 한다. 굴의 크기는 굴 안에서 도리깨를 돌려도 벽에 걸리지 않을 정도였다고 한다.
마을유래는 반월마을은 마을 뒷산 깃대봉의 산세가 반달 모양으로 둥글어 마을 이름을 반월이라 한다. 칠은은 마을의 지세가 꿩이 숨은 형국이므로 雉隐洞이라 하고 있다. 마을 옆(국도면)산굽이가 일곱머리라 하여 七人이란 설도 있고 또 옛적에 七人의 어진사람이 있었다해서 七仁이란 설이 있는데 현재는 七仁洞이라 하낟. 반월과 칠인은 1.5km 떨어진 곳으로 합해서 반월1구라 한다.
■ 공동생활시설(마을회관, 노인정, 마을마당, 어린이놀이터 등)
마을회관은 반월마을과 칠인마을 각각 1곳씩 갖추어져 있음
|
|
반월회관 863-5519 |
칠인회관 863-1229 |
■ 기반시설(방범등, 상수도, 하수도, 공동주차장 등)
식수 : 마을공동우물을 이용하다가 개인 펌프샘을 이용했으나 1985년 마을 간이상수도를 시설하여 현재까지 40호가 상수도를 이용하고 있다. 상수도 물탱크는 국사봉 계곡에 있으며 자연수를 식수로 이용하고 있다.
연료 : 70년대 후반까지 아궁이를 이용, 나무를 연료로 사용했는데 80년대 초반부터 연탄보일러 이용, 80년 후반부터 기름보일러가 증가하고 있다.
마을에 전기가 들어온 것은 1970년이며 당시 새마을사업의 일환으로 가설하였으며 1976~1974년 사이에 35가구가 지붕개량을 하여 현재는 초가집이 없다.
공동주차장은 칠인마을 한옥민박 앞에 마련되어 있다.
■ 공공편익시설(구판장, 슈퍼, 보건소, 학교 등)
구판장, 슈퍼는 없으며 면소재지인 원등리에 있는 농협마트를 이용하고 있다. 보건지소나 학교도 원등리에 있는 보건소와 학교를 이용하고 있다
■ 환경관리시설(오폐수 정화시설, 소각장, 공동퇴비장 등)
2004년 오폐수처리시설을 하였다. 쓰레기 분리수거를 하고 있으며 면사무소 뒤편에 쓰레기 처리 시설을 이용하고 있다.
■ 정보기반시설(인터넷, 컴퓨터네트워크, 마을홈페이지 등)
인터넷은 206년부터 개통되었으며 마을 홈페이지가 있다. 마을 홈페이지는 http://www.banwol.kr
■ 농업시설(공동창고, 공동작업장, 집하장, 관정, 농로, 농배수로 등)
장아찌 작업장
|
■ 도농교류활동
한옥민박 : 2009년 7월 24일 완공. 29평으로 방3개, 거실2개(에어콘, 냉장고, 취사시설, 샤워시설 완비) 요금 : 6만원(연락처 : 이장, 마을 사무장)
|
|
|
장수풍뎅이 전시관 |
장수풍뎅이 체험관 |
|
|
물레방아 및 물놀이장 |
출렁다리 |
■ 농특산물
죽순, 표고버섯, 장아찌( 마늘, 죽순, 깻잎)
|
파란콩 / 서리태 / 팥 / 결명자 / 삼지구엽주 / 깻잎짱아찌 / 마늘짱아찌 / 매실짱아찌 / 죽순짱아찌 |
■ 숙박시설 : 한옥민박(4실)
■ 음식(마을의 대표적 음식)
백숙, 옛날백반, 표고버섯전, 동동주
|
|
옛날백반 |
표고버섯전 |
■ 생활공동체활동
부녀회: 17명으로 구성되어 마을행사시 식사준비를 하고 있음
■ 농업공동체활동
표고작목회: 89년부터 1가구당 얼마씩 거출하여 작목회를 조직하여 협동으로 생산 출하하고 있다. 18가구 참여함
출역 : 마을 공동 작업으로 호당 1명씩 참여를 하고 있으며 불참자는 출역 마갈 후 총회에서 결정한대로 불참금을 현금으로 수금하여 울력 시 음료 및 술을 먹응다. 울력은 1년 3~4회 있다. 주로 도로주변 풀베기와 개울정리를 한다.
■ 마을문화활동
장수풍뎅이체험행사
|
기 간 |
주요체험내용 |
체험활동 |
먹거리 |
1회 |
2005. |
|
|
|
2회 |
2006.8.10.-27 (18일간) |
|
|
|
3회 |
2007.7.27.-8.5 (10일간) |
장수풍뎅이를 관찰할 수 있는 장수풍뎅이 씨름대회, 장수풍뎅이 생태돔 관찰, 장수풍뎅이 전시, 관찰용 풍뎅이 진열과 판매행사 |
|
표고버섯전, 동동주, 옥수수, 단호박찜 |
4회 |
2008.7.25.(금)-29(화)(5일간) |
|
|
|
5회 |
2009. 7.24(금) ~28(5일간) |
장수풍뎅이, 사슴벌레, 물방개, 소금쟁이, 가재 등 다양한 곤충 관찰. 병아리, 오리, 토끼,고슴도치 등 |
굴렁쇠, 고리던지기, 대나무 물총놀이 등 |
옛날백반, 촌닭, 옥수수, 버섯전 등 마을에서 생산된 먹거리 |
| ||||
6회 |
2010. 7.23~7.27 (5일간) |
주제: ‘슬로시티마을 장수풍뎅이 곤충체험 여름나드리’. 장수풍뎅이 애벌레 및 풍뎅이 활동관찰, 장수풍뎅이 성장과정 표본전시, 숲속 장수풍뎅이 관찰, 장수풍뎅이 씨름시켜 보기, 사슴벌레 전시 및 관찰, 꽃무지 돌리기, 수생곤충 및 다양한 민물고기 관찰 |
친환경농산물 오이, 호박, 고추, 가지 수확하기, 고동잡기 |
|
|
2010년 장수풍뎅이체험행사
|
|
어린이들 위한 체험도구 |
물놀이 |
|
|
토끼관찰 |
도룡뇽 관찰 |
|
|
헴스터관찰 |
다람쥐와 토끼 관찰 |
|
|
만들어보기 체험 |
장수풍뎅이 관찰 |
|
|
장수풍뎅이 알과 애벌레 관찰 |
장수풍뎅이 번데기 관찰 |
|
|
체험장 안내도 |
민물고기를 관찰하는 관광객들 |
|
|
수생곤충 및 다양한 민물고기 관찰 |
장수풍뎅이 판매 |
|
|
물총놀이 |
농산물판매 |
■ 마을놀이
청명, 백중, 추석, 설날 음식을 준비하여 먹고 담소하는 정도이다. 과거에 있던 농악놀이도 하고 있지 않다.
■ 마을관리 및 홍보활동
마을총회(대동계): 음력11월 5일에 반월과 칠인 마을주민 전체가 회의에 참여하고 있으며 년말 결산과 새해 마을사업을 계획한다.
■ 인물별 특징
효자집안 : 김재암(79세)선조들께서 효자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까지 狀記를 보관하고 있다.
열녀집안: 장영일씨 조모께서 열녀칭호를 얻고 있는데 口傳에 의하면 남편이 먼저 죽으면 여자가 3년 이내에 남편을 따라 죽어야 저승에서 남편과 함께 생활할 수 있다하여 장영일씨 조모께서는 방에서 극약을 마시고 돌아가셨다.
■ 마을 주민
가구주 |
전화번호 |
개인별 경력 |
영농생활 |
거주마을 |
강주성 |
|
|
|
칠인 |
고명수 |
|
|
|
반월 |
김공수 |
|
|
|
반월 |
김봉님 |
|
|
|
반월 |
김상화 |
|
|
|
칠인 |
김선님 |
|
|
|
반월 |
김선환 |
|
|
|
칠인 |
김순애 |
|
|
|
칠인 |
김재민 |
|
|
|
반월 |
김준만 |
|
|
|
반월 |
문쌍운 |
|
|
|
칠인 |
문원순 |
|
|
|
반월 |
신옥기 |
|
|
|
반월 |
임종연 |
|
|
|
반월 |
장경선 |
|
|
|
반월 |
장광님 |
|
|
|
외지거주 |
장광자 |
|
|
|
칠인 |
장무웅 |
|
|
|
반월 |
장병옥 |
|
|
|
칠인 |
장성곤 |
|
|
|
|
장수용 |
|
|
|
반월 |
장영님 |
|
|
|
칠인 |
장점님 |
|
|
|
|
장찬완 |
|
|
|
반월 |
장충남 |
|
|
|
칠인 |
장형열 |
|
|
|
칠인 |
장홍남 |
|
|
|
반월 |
정병남 |
|
|
|
칠인 |
정연식 |
|
|
|
반월 |
정정례 |
|
|
|
반월 |
조명하 |
|
|
|
칠인 |
차거심 |
|
|
|
칠인 |
한덕순 |
|
|
|
반월 |
한승철 |
|
|
|
칠인 |
한승태 |
|
|
|
칠인 |
한정남 |
|
|
|
칠인 |
■ 장충남 공적비
마을 입구에 장충남씨의 공적비가 있다.
|
|
성암장공충남기공비(誠菴張公忠男紀功碑)
전남 장흥군 유치면에 있는 국사봉(國師峰)은 산세가 웅장하고 봉만(峰巒-산꼭대기의 뾰쪽뾰쪽한 봉우리)이 수려할 뿐 아니라 기암괴석이 아름다운 명산으로 고사(古史)에 전해 오거니와 그 아래 반월마을에서 출생한 성암 장충남공은 현대의 이인(異人)이다. 이런걸보면 인걸(人傑)은 지령(地靈)이라는 것은 허언(虛言)이 아닌 것도 같다. 공(公)은 서기 1941년 9월 13일 이 고장 명문 흥성장씨(興城張氏) 가문에서 태어났다. 선계(先系)는 고려조에 호부상서를 지낸 휘(諱) 연우(延祐)는 현조(顯祖)이며 아버지는 휘(諱) 순태(淳泰) 이고 어머니는 광산 김씨 이다. 공(公)은 어려서부터 청수(淸粹)한 자품(姿稟)과 헌앙(軒昻)한 기우(氣宇), 단아한 용모와 명민한 재질(才質)을 지닌 분으로 백가서를 두루 섭렵했으며 또한 효우(孝友)에도 지극했다. 1981년도부터 마을 이장으로 10여년간을 주민을 위해 봉사정신으로 관계기관을 두루 심방하면서 거액을 연차적으로 보조 받아 교량과 하천 확장(擴張)제언(堤堰)을 신설하고 더 편리한 농지경지정리와 관개영농 수리시설 개보수를 성실히 하였으니 그리하여 관내 몽리민(蒙利民)민들은 폭우와 한발에도 전혀 피해를 입지 않고 해마다 많은 소득을 올렸다. 그리고 농로와 안길을 포장하여 각종 농기계를 사용하는데 편리하게 했고 마을회관 및 유선각을 건립하여 수시로 주민 안식처가 되게 하였다. 이 많은 사업을 헌신 노력으로 살기 좋은 마을을 만들었으니 어찌 장하지 않겠는가? 주민들은 이구동성으로 공적을 길이 기념하고자 그 추진 대표 장경선, 조명하외 3인은 나를 찾아와 업적을 적은 문건을 보이며 글을 청하기에 굳이 사양 못하고 대강을 간추려 이렇게 적는다. 서기 2005년 왕춘상완 성균관전학밀성 박용암 삼가지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