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해랑길9구간1일차 (서산/당진)(순)( 아라메길관광안내소 ~유곡2교차로 : 80코스, 81코스 )
◈ 일 자/기상: 2025. 2.18 /맑음 (영하9도~영상2도:당진)
◈ 위 치: 서산,딩진
◈ 누구와: 나홀로
◈ 경로: 아라메길관광안내소(삼길포종점)-도비도항-장고2리정류장 - 삼화교-유곡2교차료 (38.4㎞)
* 80코스: 아라메길관광안내소(삼길포종점)-도비도항-장고2리정류장 (17.2㎞ )
* 81코스: 장고2리정류장-삼화교-유곡2교차료 (21.2㎞): CF모텔에서 1박(날머리에서 약915미터 이격)
◈ 거리: 40.2㎞
◈ 시간: 8시간 38분(08시36분~18시14분)
◈ 교통
- 갈때 : 백석역(3호선) → 센트럴시티(서울)서산행(06시50분) → 서산(1시간50분소요)
* 서산터미널→버스승강장(,910번:08시40분출) → 아라메길관광안내소(삼길포종점)
※유곡2교차로에서 약915미터 이격CF모텔에서 1박
▼서해랑길 80코스(17.2km)
▼서해랑길 81코스(21.2km)
09시25분(출발09시36분 출발)...삼길포 서해랑80코스 안내 간판
오늘은 서해랑 80코스에서83코스를 답사하기 위해 서산버스 터미널에서 08시40분출발
삼길포 종점가는 버스를 타고
80코스 시점인 삼길포종점에 09시25분에 하차해 간단해 준비후 09시36분에 답사 시작
삼길표 종점 버스 시간표
서산 아라메길관광안내소(삼길포종점)
수산시장
삼길포종점 전경
삼길포상징물
삼길포항 모습
삼길포 항
삼길포 항 모습
삼길포 9경
멋진 풍경
멋진 삼길포항 모습
화곡3리 노인정 입구
삼길포 포지석
**삼길포항 ; [ 三吉浦港 ]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화곡리에 있는 국가 어항.
삼길포항은 조선 시대부터 인천을 왕래하던 범선이 출입하던 포구였다.
1972년 지방 어항으로 지정되었으며, 1994년부터 현대식 항구로 바꾸기 위한 기본 조사 및 시설 계획을 수립하였다.
1999년에는 서산시에서 유일하게 국가 어항으로 지정되었고 2000년에 어항의 기본 설계 용역을 발주하고 2002년에는 실시 설계 용역을 발주하여 그 결과에 따라 2003년에 3만 2575㎡ 면적에 방파제, 물양장, 선착장, 호안, 선양장, 준설, 진입 도로 등의 공사를 착공하여 2011년 완공할 예정이다.
2009년 어항 통계에 의하면, 어선 109척에 전체 톤수 242.23톤, 평균 톤수 3.14톤이며, 유람선 2척이 정박하고 있다.
계류 시설로 선착장이 167m, 2008년에 공사가 완료된 방파제는 299.5m이다. 물양장은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인데 상·하부 357m 중 하부 공사는 2010년에 완료되었고 상부의 잔량 77m가 공사 중에 있다.
어항 면적은 4만 9000㎡, 어획고는 84억 100만 원, 어획량 4,331M/T이며 주 어종은 우럭, 노래미 등이다.
2005년부터 우럭을 테마로 하는 ‘삼길포 우럭 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2009년까지는 5월에서 6월 사이에 열렸으나 2010년부터 10월에 개최되고 있다. 2009년 1월에는 대산지방해양항만청에서 삼길포항의 미래를 밝히는 등불을 형상화하여 삼길포 붉은등대를 건립하였는데 등대 주변에는 우럭을 형상화한 조형물과 쉼터 등이 조성되어 있어 우럭 등대로도 불린다.
한편 유람선은 대산항과 대산임해산업단지, 주변의 유·무인도를 구경하는 코스로 운영하고 있으며,
여름철에는 일시적으로 충청남도 당진군의 난지도를 연결하는 항로가 운영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대호방조제
**대호방조제 ; [ 大湖防潮堤 ]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화곡리와 당진군 석문면 교로리를 연결하는 방조제.
정부는 간척지를 개발하여 다목적 수자원과 농경지를 확보하기 위해 대호지구 농업 종합 개발 계획을 수립하고 9년간의 건설 공사를 통해 1984년 11월 16일에 대호방조제를 준공하였다.
서산시 대산읍 화곡리 삼길포에서 당진군 석문면 도비도까지 3,253m 길이의 1호 방조제와 석문면 도비도에서 석문면 교로리까지 4,554m 길이의 2호 방조제를 합해 제방 길이 7,807m, 제방 높이 30.5m의 석괴·토사 혼성형 방조제이다.
대호방조제를 건설함에 따라 개발된 총 면적은 77㎢이고(약2330만평), 수혜 면적은 7,419㏊이며 저수량 1억 2200만 톤 규모의 담수호와 농경지 37㎢가 생겨났으며 연간 5만 1198M/T의 식량을 증산하였다.
또한 양수장 7개소와 용수로 238㎞가 조성되었다.
대호방조제에는 삼길포항과 한국농어촌공사에서 운영하는 도비도농촌휴양단지[대호농어민교육복지센터, 대호암반해수탕, 대호환경농업시범단지] 등이 위치하고 있다.
원래 대산면 화곡리의 삼길포, 운산리의 횟개, 지곡면 대로리의 날개 등은 실치, 바지락, 망둥이 잡이로 중요한 어촌이었으나 방조제 건설 이후 이들 어촌은 그 기능을 완전히 상실하였다.
다만, 삼길포만 각종 수산물이 풍부하고 갯벌 체험, 민물낚시와 바다낚시를 한 곳에서 즐길 수 있어 관광객들이 즐겨 찾는 어촌으로 존속하고 있다.
특히 대호방조제가 시작되는 삼길포는 우럭, 실치, 간제미, 대하 등 각종 수산물이 풍부하고 주변 경관이 수려하여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으며 매년 10월에는 ‘삼길포 우럭 축제’가 개최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삼길포 모습
삼길포 앞 바다
대호방조제
멋진 바다 풍경
방조제 모습
멀리 당진 발전소가 조망되고..
삼길포모습
멀리 도비도가 조망되고..
삼길포모습
도비도항과 도비도
**도비도 ; [ 搗飛島 , Dobido ]
충청남도 당진군의 최북단 석문면에 있었던 섬이다.
1984년 대호방조제 준공으로 현재는 육지와 연결되었다.
대난지도를 오가는 연락선이 출항하는 포구 역할을 하고 있는데, 섬의 절벽이 깎아지른 듯하다.
지금은 도비도 농촌휴양단지가 조성되어 당진 6경으로 불린다.
『해동지도』(당진)에서 '가비도(加非島)'가 조도와 초락도 사이에 표현되어 있다.
'더할 가(加)'자로 보아, '더비도'가 '도비도'로 변한 후 한자로 '도비도(搗飛島)'로 쓰게 된 것이라고 해석되고 있다.
『조선지형도』(풍도)에는 석문면 서쪽 바다에 도비도가 확인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도비항
도비도 모습
뒤돌아본 대호방조제
난지섬해수욕장입구
해안길을 따라...
소조도,소난지도,대난지도등 예쁜 섬들...
소난지도와 대난지도...
대호간척 친환경농업 시범 지구 표석
대난지도 일대
해안길을 따라..
대호방조제와 당진 발전소
도비도의 전망대 아래를 지난다
대호방조제와당진발소
지적삼각점
난지도 일대
대호방조제와 당진발전소
방조제안의 바다 모습...
대호방조제와 당진발전소
방조내 해안태양열 페널
태양열 페널
비행하는 철새들
발전소 삼거리
서문입구에 있는 당진 전력 문화홍보관인데 안 들어가고 그냥 지나친다
**당진전력문화홍보관 ; [ 唐津電力文化弘報館 ]
충청남도 당진시 석문면 교로리에 있는 ‘전력(電力)’을 주제로 한 전시관이다.
당진화력발전소(발전용량 4000MW)를 운영하는 한국동서발전(주)이 지역주민들에게 전력산업에 대한 홍보를 하고, 문화교류의 장을 제공하기 위해 세웠다.
2005년부터 2년여에 걸쳐 사업비 54억 원을 들여 건립하였으며, 2007년 7월 19일 개관하였다.
충청남도 당진의 대호방조제와 당진화력발전소 사이에 있다.
부지면적은 4만 8600㎡, 건축총면적은 4,750㎡로, 지하 1층·지상 2층 건물이다.
내부 전시시설은 에너지관·전기관·환경관·지구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인류가 불을 발견할 때부터 전기를 이용하게 되기까지의 역사와 전기에너지 생성과정, 지구의 환경과 미래의 대체에너지 등에 대해 설명하고, 축소 설계된 발전설비·전기시설 등을 전시한다.
단순한 설명판 대신 영상매체와 게임과 퀴즈 등을 이용해 전기에너지를 흥미롭게 체험할 수 있게 만들었으며,
빛 에너지의 운동모습을 모티브로 하여 직선·사선·육면체의 빛이 반복적으로 변하도록 공간 설계가 되어 있다.
전시관 외에 각종 교육행사·워크숍·공연장으로 활용할 수 있는 대강당 및 세미나실 등의 부대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외부에도 공연 및 행사를 열 수 있는 넓은 야외무대와 광장, 연못·어린이놀이시설 등이 있어 지역주민들의 문화공간 겸 쉼터로 활용되기도 한다.
개관 이후 1년 동안 총 3만 4,204명의 관람객이 방문했는데 그중 약 23%는 현장체험학습을 위해 방문한 어린이와 청소년들이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당진발전본부 서문 입구
11시51분...여수 한식 부폐에서 민생고 해결...11.5키로미터 지점
석문면 교로리 새골 일대
교로리 버스 승강장
당진발전소
당진발전 본부 입구
고로3리 마을 회관 앞
난지섬 해수욕장과 왜목마을 입구
교로2리 왜목마을 입구 버스 승강장
왜목마을 입구 마을 간판 표식 아치
왜목마을 해수욕장/바다
**왜목마을
충청남도 당진시 석문면(石門面) 교로2리에 있는 마을.
인구는 25명(2003)이다. 일출(日出)과 일몰(日沒), 월출(月出)까지 모두 한 장소에서 볼 수 있는 전국 유일의 장소로 유명하다.
충청남도 서해의 땅끝 마을로서, 해안이 동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인근의 남양만(南陽灣)과 아산만이 내륙으로 깊숙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왜가리의 목처럼 불쑥 튀어나온 모습이라고 해서 왜목마을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모두 8가구가 살고 있으며 7가구는 어업, 1가구는 농업에 종사한다.
독특한 지형구조 때문에 바다 너머 경기도 화성시까지는 서로 육지가 멀리 떨어져 있고 수평선이 동해안과 같은 방향이어서 일출·일몰·월출을 모두 볼 수 있다.
또한 지구의 공전에 따라 태양이 경기도 화성시 앞바다의 국화도와 장고항 사이로 이동해가면서 떠오르고 지기 때문에,
석문산(79m) 정상에 오르면 일출과 월출의 위치가 시기별로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다.
화려하고 장엄한 동해의 일출과는 달리, 이곳의 일출은 한순간 바다를 가로지르는 짙은 황톳빛의 물기둥이 만들어지면서 소박하면서도 서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한다.
일몰은 대난지도(大蘭芝島)와 소난지도 사이의 비경도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데, 활활 타오르던 태양이 서서히 빛을 감추며 바다와 하늘을 동시에 검붉게 물들이면서 바닷속 깊이 잠겨버리는 장관을 연출한다.
특히 일출과 일몰 광경을 볼 수 있는 날이 최소 180일이나 된다. 태양이 국화도 위로 뜨는 7월과 장고항 틈 사이로 떠오르는 1월에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왜목 해변의 조행물
도지섬과 국화도
왜목 해변 전경
왜목선착장
왜목마을
산돌교회
13시00분...산돌교회모습... 14.5키로미터지점
고개도 넘고???
시골길을 따라...
철새비상
바다도 보이고...
예쁜 전원주택도...
용무치항 입구
용무치항 입구 버스 승강장
**용무치항
용무치항은 용무치라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용이 살던 연못이 있었다고 전한다.
이곳은 당진의 대표 관광지인 장고항과 왜목마을 사이에 자리 잡고 있다.
용무치항 선착장에 서면 국화도와 도지섬을 조망할 수 있다.
밀물 때는 낚시를 즐기는 사람들이 많다. 썰물 때가 되면 용무항 주변으로 널찍한 갯벌이 드러나는데, 굴, 바지락 등을 맨손으로 채취하는 체험이 가능하다. 단, 조수간만차가 심한 편이라서 항상 안전에 유의해야 한다.
주변에 펜션 등 숙박업소가 많아 하룻밤 쉬기에도 좋다.
[네이버 지식백과]
용무치(원머리) 마을
도지섬과 국화도가 조망되고...
용무치 나루터
왜목마을과 해변
도지섬과 국화도가 조망되고...
용무치나루터/용무치55.4고지 일대
장고항2리 마을 표석
장고항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 사업소
장고항
장고항
녹적봉 회관
장고항마을
장고항
**장고항
포구가 자리한 바닷가의 지형이 장고를 닮았다 해서 장고항이라 불리는 당진의 전형적인 어촌 마을이다.
일출과 일몰을 모두 감상할 수 있어 수도권 인근에서 찾아오는 나들이객이 많으며 낚시 마니아들 사이에선 배낚시를 즐길 수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
대호방조제를 오른편에 두고 있어 물결이 잔잔하고 배를 빌려 바다로 나가면 우럭, 놀래미, 광어 등이 많이 잡힌다.
포구 입구에는 직접 잡거나 인근 포구에서 공수한 싱싱한 해산물과 횟감들을 저렴한 가격에 맛볼 수 있는 포장마차들이 성업 중인데 3, 4월에는 실치가 많이 잡혀 실치 회를 맛보려는 미식가들이 즐겨 찾고 전어가 많이 잡히는 가을에는 바다를 바라보며 전어회와 전어구이를 맛볼 수 있다.
배들이 정박 중인 방파제 반대편으로는 기암절벽과 소나무가 어우러진 작은 자갈밭이 있어 멋진 일몰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해안 경찰과 서해랑81코스 안내도
13시42분.. 서해랑 81코스 안내간판.. 18키로미터 지점
장고항 표지석
장고항 실치 마을
설치잡이배
구억말 일대
일종의 생태통로
아늑한 시골길을 ...
구억말 선착장 (마성포구)
석문국가 산업단지 일대
장고항리 일대
국화도 선착장
**국화도
국화도는 행정구역상 경기도 화성시에 속하는 곳이지만 화성시에서 가는 뱃길은 한 시간이나 걸려
충남 당진의 장고항에서 약 20분 정도 배를 타고 들어가는 방법을 택한다.
꽃이 늦게 피고 늦게 진다고 해서 늦을 ‘만(晩)’자를 써 만화도라 불렸으나 일제 시대 창씨 개명으로 국화가 많이 피는 섬이라 해서 국화도라 바꿔 부르게 되었다고 하는데 실제로 섬 전체에 들국화가 지천으로 핀다.
차는 들어갈 수 없고 걸어서 한 시간이면 전체를 돌아볼 수 있을 만큼 작은 섬으로 조선시대에는 유배지이기도 했다.
국화도와 이어진 토끼섬은 썰물 때 바위와 백사장이 드러나며 걸어서 갈 수 있는데 조개와 고동 등이 많아 조개 줍기 체험을 할 수 있고 선착장 반대편으로는 펜션을 비롯한 숙박지와 간단한 편의시설을 갖춘 해수욕장이 있어 여름철 피서지로 인기가 많다.
여름 피서철만 피한다면 한적한 섬 여행을 제대로 즐길 수 있는 섬으로 추천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당진 국가 산업 단지 본부인가??
석문방조제... 총길이 10키로미터
**석문방조제 ; [ Seongmun Tide Embankment , 石門防潮堤 ]
요약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 가곡리에서 석문면 장고항리를 잇는 방조제이다.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 가곡리에서 석문면 장고항리의 바닷길을 연결하는 방조제이다.
길이는 10.6km로, 2008년 현재 우리나라의 단일방조제 중 가장 길다. 넓이는 120m, 높이는 13m로, 방조제 위로 왕복 2차선 도로가 곧게 뻗어 있다.
석문지구 간척농지 종합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조성되었으며, 1987년 7월부터 8년 5개월간의 공사기간을 거쳐 1995년 12월에 완공되었다. 1995년까지 투여된 사업비는 총 1,520억 원이었다.
석문방조제가 축조되면서 거대한 담수호인 석문호(石門湖)가 생겨났고, 22.15㎢의 농경지와 8㎢의 국가공단부지가 확보되었다. 2008년 현재까지 총 2,833억 원을 투여하여 진행된 간척농지 종합개발사업이 마무리 단계에 이르렀으며 간척농지 중 45만 9,000㎡가 농업용 주거·생산시설, 복지시설로 조성될 예정이다. 석문방조제 가까이에 서해안에서 일출을 볼 수 있는 곳이라 하여 유명해진 왜목마을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석문 국가 산업단지 표식
석문방조제/ 석문국가 산업단지 표식
석문방조제 삼거리
당진시 드론산업 지원센터
당진시 드론산업 지원센터
플리밍고 골프장의 모습
석문산단 10교옆을 지나고
석문 국가 산업 단지...지금부터 허허벌판을 지나간다.
**석문국가산업단지
충청남도 당진시 석문면과 고대면 일원에 조성된 산업단지로 사업면적은 약 12,012천 ㎡(약 363만평)이며 석문방조제의 건설로 확보된 부지에 건설되었다.
국토교통부가 선정한 7대 신성장산업인 기가스틸, 에너지, 디지털부품 등 관련 모든 업종이 입주가 가능하며 국가혁신클러스터로 지정되었다.
2014년 처음 1단계 개발산업이 추진되었고 산학협력을 위한 호서대학교 산학융합캠퍼스가 위치하며 현재 업체 입주가 추진되고 있다.
산업단지 옆에는 현대제철산업단지가 위치하고 있어 철강과 관련된 업체들이 입주해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산업단지에 입주공장은 1%도 안되는것 같다.
에스제이 건설ㅅ산업 사 건물
군대군대 입주공장들...
석문산단1교 옆을 지나고
허허벌판을 10여키로 미터를 간다.
한국가스공사 당진생산기지 건설현장
당진기지 부곡 천연가스 공급시설 건설공사장
석문방조제를 따라서...
석문간척지(1단지부터 45단지 까지?)
석문호
**석문호(石門湖)
석문 방조제는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 가곡리에서 석문면 장고항리까지 바닷길을 연결하는 방조제이다.
석문 방조제 길이는 6,606m, 넓이는 120m, 높이는 13m이며, 방조제 위로 왕복 2차선 도로가 곧게 뻗어 있다.
석문 지구 간척 농지 종합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조성되었으며, 1987년 7월부터 8년 5개월간의 공사 기간을 거쳐 1995년 12월에 완공되었다.
1995년까지 투여된 사업비는 총 1520억 원이었다.
석문 지구 간척지 농업 종합 개발 사업은 2009년에 최종 완공되었다.
석문 방조제가 축조되면서 서산시 운산면 가야산에서 발원하는 역천 최하류에 거대한 담수호인 석문호(石門湖)가 생겨났고,
22.15㎢의 농경지와 8㎢의 국가 공단 부지가 확보되었다. 석문호는 지역의 농업용수와 공업용수로 활용 중이다.
당진시는 담수가 시작되면서 퇴적층이 발생하고 수질 기준이 등급 외로 떨어지는 오염이 가중되고 있는 석문호를 대규모 생태 공원으로 조성하고 있다.
총사업비 356억 원을 들여 50㏊ 규모의 습지를 조성하고 수초 저류지[60㏊]와 인공 식물섬 11개소, 파라교와 관찰교 17개 등을 만들 예정이다.
석문호 방조제는 유역 면적 25,217㏊, 수혜 면적 1,546㏊, 만수 면적 763㏊, 총저수량 14,610,000㎥, 유효 저수량 9,100,000㎥, 배수 갑문 8련 16문, 방조제 연장 길이는 6,606m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석문호
석문방조제 뚝위 모습
방조제 위부분 모습
석문 간척지
석문간척지 모습
석문대교 모습
석문대교 모습
석문대교아래로 지나고
삼화교
한국농어촌공사 당진 지사장
석문교
한국농어촌공사 당진 지사장
지적 삼각점
뒤돌아본 삼화교
석문호 모습
석문교
석문교
송산 간척지
수로를 따라...
계속 수로를 따라...
백석 3교옆을 지나고
**역천 ; [ 驛川 ]
요약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과 당진시 고대면 사이를 흐르는 지방하천.
용장천(龍障川)이라고도 한다. 금강 서해권 수계(水系)에 속하는 지방 2급 하천으로서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고풍리와 용장리 경계를 기점으로 하여 종점인 당진시 고대면까지 총연장 19㎞이다.
유로연장은 29.13㎞, 유역면적은 176.06㎢이다. 운산면 원평리를 흐르는 원평천이 용현계곡에서 흘러내린 물과 합류하여 고풍리의 고풍저수지로 모이고, 고풍저수지 아래로 역천이 북동쪽으로 흘러 당진시의 채운포(彩雲浦)로 유입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뒤돌아본 백석3교
비상하는 철새들
파인스톤컨트리 클럽 당장을 따라 진행...
송산 간척지
파인스톤컨트리 클럽 당장을 따라 진행...
송산 간척지
파인스톤 컨트리 클럽 입구
**파인스톤 컨트리클럽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 무수리에 있는 골프를 칠 수 있는 시설.
파인스톤 컨트리클럽은 간척지 공사를 시작하기 전까지는 폐염전이었던 곳에 양질의 흙 300만 톤가량을 복토하여 조성한 퍼블릭 골프장이며 3부제로 운영하고 있다.
2014년 기준 연간 약 105,000명이 내장하여 국내 18홀 골프장 중 홀당 이용객이 가장 많았던 것으로 유명하다.
인근 기업체 근로자들에게도 인기가 많은 골프장이다.
파인스톤 컨트리클럽 건립 당시는 당진에 골프장이 없었다. 그리고 서해안 고속 도로로 인해 수도권과 충청 지역에서 접근이 매우 용이한 지역이라 경제적 가치가 높을 것이라 여겨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당진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인근 기업체 근로자 및 지역 주민의 골프 대중화에 기여할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파인스톤 컨트리클럽은 주식 회사 인서 골프 코스 설계 연구소에서 설계하고, 키온 건설에서 시공하여 2008년 5월 2일 임시 사용 허가로 개장하여 2009년에 준공하였다.
현재까지 매년 10만 명 이상의 골퍼들이 방문하는 퍼블릭 골프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잭 니클라우스 디자인사의 수석 디자이너 출신인 톰 펙이 설계한 코스의 전장은 총 7,338야드이며, 파인 코스와 스톤 코스로 나누어 운영을 하고 있다.
주변에 15~20년 된 3,000여 주의 소나무와 112세대의 고급 빌리지가 조성되어 있다.
폐염전이라 황량할 것으로 생각하지만, 주변에 쭉쭉뻗은 미인송과 완만한 구릉과 분수가 있고,
억새와 갈대가 잘 어우러진 산책로, 수령 200년의 배롱나무, 달마상 닮은 팽나무 등이 특별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코스는 완만하지만 코스 곳곳에 111개의 벙크를 비롯한 해저드 등의 위험 요소가 있어 흥미를 배가하고 있다.
파인스톤 컨트리클럽은 2010년 한국 10대 뉴코스에 선정된 후 현재까지 연속 3회 한국 10대 퍼블릭 코스에 선정되는 등 퍼블릭 골프장으로서의 명성을 이어 가고 있다.
현재 연간 10만 명 이상의 골퍼들이 애용하고 있고, 캐디를 제외한 직원 60여 명이 근무하는 등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지역 주민 고용 창출에도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골프장의 총 면적은 686,891㎡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무수2교를 지나고...
우측에 하천을 끼고 진행
원당마을 일대
유곡리
18시02분... 서해랑82콧, 안내간판..39.5키로미터 지점
여기서 CF 모텔(약 9백미터)까지 더 간단
여기 까지 82코스 구간임
여기서 이탈해서 모텔까지 간다
18시13분 ... CF모텔에 도착
이곳에서 체크인하고 배낭 두고 식당에가서 식사후 내일 아침먹을것 사기지고 모텔에 가서 취침
내일아침04시50분경 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