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새터성지(다락골)
최양업 신부 출생지
청양에 복음이 전파되고 교우촌이 형성된 것은 한국 교회 최초의 박해라 일컬어지는 신해박해(1791년) 직후였으며, 그 주인공은 다름 아닌 최양업(崔良業, 1821~1861, 토마스) 신부의 집안이었다. 그리고 그 집안이 정착한 곳이 바로 다락골이었다. 여기에 천주교가 처음 전래된 것은 1791년이다.
다락골은 ‘땀의 순교자’ 최양업 신부와 그의 부친인 최경환(崔京煥, 보명 永訥,1805~1839, 프란치스코) 성인이 탄생한 유서깊은 교우촌이자 무명 순교자들의 무덤이 줄지어 서 있는 곳이다. 1866년 병인박해가 일어나고, 박해의 손길이 충청도 땅에도 거세게 몰아쳐 와 많은 순교자들이 나왔다. 이때 순교한 치명자의 묘소로 추정되는 30여 기의 묘가 이곳 다락골에 줄 무덤을 이루고 있다.
이 무덤이 있는 산은 경주 최씨(최양업 신부 집안)의 문중 산으로 이 묘의 주인공이 누구인지는 정확하지 않다. 홍주와 공주에서 순교한 교우들이라는 설과 해미나 갈매못에서 순교한 교우들이라는 설이 있다. 다만 최양업 신부의 집안에서 이들의 유해를 순교지로부터 옮겨서 이곳에 매장하였다는 점은 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