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통영 미륵도 용궁사 원문보기 글쓴이: 용왕님의 나라
시궁창을 맑히는 청정한 연꽃처럼 이 협우 월명종민 스님 (예비역 군승, 통영 미륵도 용궁사 주지) 본문말씀 : 나침반불교성전 130쪽 제4분3품2장6절(붓다의 나라) 1. 도덕 불감증에 중독된 우리 시대 사랑하는 여러분! 그 동안 평안하셨습니까? 요즘 뜻 있는 사람들은 우리 시대를 일러 ‘도덕 불감증 시대'라고 합니다. 아주 오래 전에 어느 신문에서 '첫날밤이 과연 첫날밤일까요?'라는 묘한 제목의 글을 본 적이 있었습니다. 그런가 하면 '애인없는 주부는 1급 장애인'이란 말도 꽤 오래 전의 유행어입니다. 그만큼 우리 사회가 성이 개방되어 있다는 증거이고 나쁜 말로 하면 성도덕이 문란해져 사람이 짐승이 되어간다는 뜻이겠습니다. 최근 박근혜 정부에서 법무부 차관에 임명된 고관이 중도 하차할 수밖에 없는 지경으로 내몰렸던 것도 성적 일탈, 즉 도덕성의 문제가 그 원인이었습니다. 어디 그 뿐입니까? 본인 또는 그 자식들이 병역의무를 교묘히 회피하거나 부정한 재산형성의 문제 등으로 국무총리 후보자도, 장관 후보자로 올랐던 출중한 능력의 인재들이 이른바 청문회 과정을 거치면서 결국 자진 사퇴의 길로 내몰릴 수밖에 없었던 이유 역시 도덕성의 문제가 그 원인이었습니다. 그러기에 현 시대를 ‘도덕 불감증의 시대’라고 말들 하는 것입니다. 도덕 불감증이 무엇입니까? 윤리 도덕을 지키려는 최소한의 의지와 감각이 마비된 증세를 말합니다. ‘윤리고 도덕이고 그게 다 무엇이냐, 지금 당장 내가 행복하면 제일’이라고 하는 인간들이 넘쳐나는, 이러한 도덕 불감증의 시대를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것입니다. 참으로 안타깝고 슬픈 시대가 아닐 수 없습니다. 2. 사람이 도덕 불감증에 빠지는 이유 그렇다면 무엇 때문에 멀쩡하던 사람들이 도덕 불감증에 중독되고 마는 걸까요? 우리말에 ‘어리석다’는 말이 있습니다. 어리석다는 말은 얼이 썩어버렸다는 뜻입니다. 얼이 썩어버렸으니 올바른 판단을 하는 정신을 가질 수 없게 되고 올바른 판단을 하는 정신을 잃어버리게 되었으니 선악시비를 판단하거나 행동하는 데 장애가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아무리 많이 배운 사람이라도, 아무리 직위가 높은 사람이라도 생각을 지배하는 얼이 썩어버리면 결국 도덕 불감증에 중독되어 마구잡이 인생을 살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 불자들은, 아니 이 세상 모든 사람들은 얼이 썩지 않도록 항상 부처님의 가르침을 내 안에 공급해야 하는 것입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이 담긴 불경을 매일같이 읽고 외우고 묵상하고 실천하면 결코 얼이 썩는 일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왜? 부처님의 가르침은 지혜와 자비의 샘이기 때문입니다. 불경 가운데 마하반야, 즉 위대한 지혜가 담겨있는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여러분! 항상 부처님 말씀을 가까이 하여 늘 읽고 늘 깨닫고 늘 실천하여 지혜롭고 자비로운 삶을 사시기를 축원합니다. 3. 시궁창을 맑히는 청정한 연꽃처럼 불자 여러분! 우리가 사는 이 곳, 이 세간을 일러 석가모니 부처님께서는 '사바세계'라 하시었습니다. 사바세계란 어떤 세상을 말할까요? 《아미타경》에 보면 "沙婆世界 五濁惡世 - 劫濁 見濁 煩惱濁 衆生濁 命濁……."<아미타경, 대정장 12:348 상> 즉, 사바세계 오탁악세 - 시대가 오염된, 사상이 오염된, 번뇌가 오염된, 중생이 오염된, 목숨이 오염된…….이라고 하여, 우리가 사는 이 세상, 곧 사바세계란 5가지 더러움에 찌들어 죄악과 고통이 넘치고, 눈물과 슬픔이 가득한 오탁악세라고 하시었습니다. 그렇다면 여러분! 이 오탁악세를 어찌해야 하겠습니까? 그냥 둬야 할까요? 아니지요. 부처님의 원력에 우리의 정진을 더하여 오탁악세를 행복이 가득한 불국정토로 바꾸어야지요. 이것이 바로 우리 불자에게 주어진 사명이요, 책무인 것입니다. 자랑스러운 우리 믿음의 선조들은 이 땅을 불국토로 가꾸기 위해 얼마나 많은 정진을 바쳤습니까? 신라의 수도, 경주에 있는 토함산 불국사를 보십시오. 부처님의 가르침이 찬란하게 꽃피는 이상적인 국가, 사바세계를 불국토로 가꾸려는 원력의 표상으로 세운 절이 바로 불국사가 아닙니까? 우리 믿음의 선조들은 불국사를 세우면서 신라 천년의 꿈 - ‘불국정토’를 구현해냈던 것입니다. 그 불국토의 꿈, 이제 우리가 다시 꿈꾸고 이뤄나갈 차례임을 우리 모두 깨닫기를 바랍니다. 너희는 사람 가운데 연꽃이니 불자 여러분!《관무량수경》에 보면, 석가모니 부처님께서는 우리 불심의 사람들을 일러 가라사대 "念佛之者는 世間之蓮花니라. 若(見)念佛者커든 當知하라. 此人은 卽是人中의 芬陀利花니라."<관무량수경, 대정장12:346.중>고 하여 염불하는 사람, 부처님을 생각하는 사람은 이 오탁악세의 연꽃이니, 만약 염불하는 불심의 사람을 보거든 이 사람은 사람 가운데 분타리화 곧 연꽃인 줄 알라고 말씀하시었으니, 이 말씀에서 우리는 자신을 구하고 세상을 맑힐 불국정토 건설의 열쇠를 찾아야 할 것입니다. 아시다시피, 연꽃은 결코 맑은 샘이나 청정한 계곡에 뿌리 내리지 않습니다. 연꽃은 그러한 맑은 곳에서보다는 더럽고 냄새 나는 시궁창 연못에 뿌리를 내리고 산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더럽고 냄새나는 시궁창 같은 이 세상을 살아가되, 스스로를 아름다운 연꽃으로 장엄하면 그 자리가 바로 불국정토로 변화된다는 이 말씀에서 우리 모두 불국정토 건설의 비밀법문을 깨달아야 할 것입니다. 불자를 표상하는 연꽃이 갖는 3가지 공덕 그러면 여기서 잠시 부처님을 상징하고 또한 불심으로 살아가는 우리 불자를 표상하는 연꽃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중국 송나라 때에 불자로, 시인으로 이름이 높았던 주무숙 거사가 남긴 애련설(愛蓮說)도 유명하거니와, 특히 동시대의 거장 - 소동파 거사가 남긴 연화찬(蓮花讚)은 더욱 유명한데, 이 시간 통하여 잠시 연화찬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연화찬왈蓮花讚曰 연꽃을 찬미하여 가라사대, 처염상정處染常淨 비록 더러운 곳에 처하여도 언제나 청정하고 내허외원內虛外圓 안으로 텅 비었으되 밖으로는 원만하며 이기직질而其質直 그 성질이 소박하고 곧음에도 생어유니生於游泥 진흙 구덩이에서 살아가니 고군자야故君子也 그러므로 군자라 한다. 연화삼덕蓮花三德 연꽃에게는 세 가지 덕이 있으니, 유니불염游泥不染 더러운 곳에서 자라나지만 맑고 고운 자태와 향기를 지녔으니 시위일덕是爲一德 이것이 첫 번째의 덕이요. 종자불실種子不失 연꽃종자는 천년의 세월이 지나도 싹이 트니 시위이덕是爲二德 이것이 두 번째의 덕이요. 화과동시花果同時 연꽃은 꽃이 피고 열매 맺음이 동시에 이뤄지니 시위삼덕是爲三德 이것이 세 번째의 덕이다. 자신과 세상을 맑히는 연꽃이 되는 길
불자 여러분! 더럽고 혼탁한 세상을 맑히는 청정하고 아름다운 연꽃, 억겁의 세월이 지나도 변치 않는 본성을 지닌 고운 자태에 그윽한 향기를 머금은 연꽃, 꽃이 피고 열매 맺음이 동시에 이뤄지는, 즉 정진과 성불을 동시에 추구하는 그런 연꽃같은 불자가 되려면 우리가 어찌하여야 하겠습니까? 그렇습니다. 그 길은 바로 <3귀의 5계> 의 실천 속에 있으니, 자신과 세상을 맑히는 연꽃같은 삶을 서원한다면 우리 모든 불자들은 그 어떤 경우에 있어서도 삼귀의를 생명으로 하여야 하며, 항상 오계를 준행하는 불자가 되어야만 합니다. 모두 합장한 채, 한 목소리로 따라 하시기를 바랍니다. 첫째 귀의불양족존(歸依佛兩足尊)이니 거룩하신 부처님께 귀의하는 제자가 되겠습니다. 둘째 귀의법이욕존(歸依法離慾尊)이니 거룩하신 가르침에 귀의하는 제자가 되겠습니다. 셋째 귀의승중중존(歸依僧衆中尊)이니 부처님을 저희 가슴에 심어주시고 그 가르침을 들려주시어 항상 바른 길로 저희를 인도하여 주시는 모든 거룩하신 스님들에게 귀의하는 제자가 되겠습니다. 그렇습니다. 우리 불자들이 이처럼 3귀의를 생명으로 하는 삶을 살 때 자신과 세상을 맑히는 청정한 연꽃으로 거듭날 수가 있는 것입니다. 우리 불자들이 3귀의를 통하여 청정한 연꽃으로 거듭났다면 이제는 5계를 준행하는 삶을 살 것을 부처님 앞에 서원해야 합니다. 모두 다시 한 번 합장한 채, 한 목소리로 따라 하시기를 바랍니다. 첫째 불살생(不殺生)이니 모든 생명을 존중하고 늘 자비롭게 살아가는 제자가 되겠습니다. 둘째 불투도(不偸盜)이니 남의 재산을 탐내지 않고 늘 베풀며 살아가는 제자가 되겠습니다. 셋째 불사음(不邪淫)이니 부부생활에 있어 정도를 지키며 늘 청정하게 살아가는 제자가 되겠습니다. 넷째 불망어(不妄語)이니 거짓말을 하지 않고 언제나 부드럽고 온유하며 정직하게 살아가는 제자가 되겠습니다. 다섯째 불음주(不飮酒)이니 몸과 마음에 해로운 일체의 약물을 섭취하지 아니하고 늘 지혜롭게 살아가는 제자가 되겠습니다. 4. 말씀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사랑하는 불자 여러분! 이제 말씀을 정리할 시간입니다. 여러분! 지금 우리 시대는 도덕 불감증 시대입니다. 사람들의 심성 속에 윤리와 도덕이 사라지고 있는 시대, 이익과 쾌락만을 쫓아 옳고 그름에 대한 감각이 무너진 오탁악세의 시대, 도덕 불감증 시대가 바로 오늘 우리의 시대라고 했습니다. 일찍이 세존께서는 이러한 ‘오탁악세’를 살아가는 우리 모든 불자들을 향해 “너희는 사람 가운데 연꽃”이라 말씀하시면서, “너희 불자들은 더러운 시궁창을 맑히는 연꽃이 되어야 한다.”고 당부하셨습니다. 가정의 안정과 행복을 위협하고, 국가 사회의 안정과 번영을 위협하는 심각한 도덕 불감증을 치유하여 오탁악세로부터 불국정토를 회복하여 하는 거룩한 책무가 바로 우리 불자들에게 지워져 있음을 자각하여 우리 모두 시궁창을 맑히는 청정한 연꽃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오늘 이 말씀을 통하여, 이 자리에 참석한 우리 모든 불자들이 더러움에 물들지 않는 아름다운 연꽃이 되어 항상 부처님의 거룩한 말씀을 의지하고 항상 3귀의와 5계를 받드는 가운데 자신과 세상을 맑히고, 부처님께서 분부하신 불국정토 건설의 거룩한 책무를 기필코 완수하는 무량대복을 지어가는 불자 여러분 되시기를 간절히 축원합니다.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설법일지 : (1) 2013.03.26(화) 통영미륵도용궁사 월보 제126호 <이 달의 설법>에 탑재 (2) 2013.03.26(화)10;00 통영 미륵도 용궁사 음력2월 미타재일법회. (3) 2002.07.24(수)10;00 통영 미륵도 용궁사 음력6월 미타재일법회. (4) 2001.07.22(일)10;00 제50사단 호국심련사 일요법회. |
첫댓글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아~좋은 법문 감사드립니다.마음에 새겨 실천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나무아미타불나무아미타불나무아미타불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