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울건(建)자는 붓(律-두인변)으로 공부한 것을 표현할수가 있어야만이 사람은 비로소 자기의 갈길(길게 걸을인.민책받침)을 걸어갈수가 있다는글자이다
그 뜻이 발전하여 붓으로 쓴 법율을 먼곳까지 길게 걸어서 골고루 펼쳐 모든사람들에게 알려주어야 비로소 백성들의 기강이 세워진다는뜻으로 <세울건>자가 된것이다
쓰임새
1,건대공우천하자 필선수우 규뮨지내(建大功于天下者 必先修于 閨門之內= 큰 지도력을 발휘하여 대통령으로 당선되려는 사람은 우선 자기가정을 잘다스려흠없는 모범을 보이는것이 반드시 꼭 필요하다할것이다)
출처;新語에 건대공우천하자필선수우규문지내 ,수대명우만세자필선행지우직미지사(修大名于萬世者必先行之于織微之事)
보시라
감상하시라
그리고 음미하라
희귀한 꽃사진과 30가지 좋은글
 【부레옥잠화】 1. 행복한 사람은 남을 위해 기도하고, 불행한 사람은 자기만을 위해 기도한다.
 【금낭화】 2. 남의 이야기를 열심히 들어 주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이고, 한 소리 또하고, 또하고 하는 사람은 불행한 사람이다.
 【안개 속의 물봉선화】 3. 남의 칭찬을 자주하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이고, 자기자랑을 하는 사람은 불행한 사람이다.
 【모싯대꽃】 5. 일을 보람으로 아는 사람은 행복하고, 의무로 아는 사람은 불행하다.
 【안개 속의 동자꽃】 6. 언제나 싱글벙글 웃으며 말하는 사람은 행복하고, 투덜대는 사람은 불행하다.
 【당아욱꽃】 7. 평생 고마웠던 일만 마음에 두는 사람은 행복하고, 섭섭했던 일만 마음에 담는 사람은 불행하다.
 【쇠별꽃 과 봄까치】 8. 남이 잘 되는 것을 축복하고 위로 하는 사람은 행복하고, 남이 잘 되면 배가 아프고 실패하면 통쾌해 하는 사람은 불행하다.
 【개갓냉이꽃】 9. 행동으로 보여 주는 사람은 행복하고, 말로 보여주는 사람은 불행하다.
 【산당화(=동백 축소판)】 10. 자신에게 엄격하고 남에게 부드러운 사람은 행복하고, 자기에게 후하고 남에게 가혹한 사람은 불행하다.
 【붉은 인동초꽃】 11. 감사하는 마음으로 먹는 사람은 행복하고, 불평으로 먹는 사람은 불행하다.
 【개불알꽃(일명:봄까치)】 12. 마음까지 화장하는 사람은 행복하고, 얼굴만 화장하는 사람은 불행하다.
 【금꿩의 다리】 13. 자신의 잘못을 곧바로 인정하는 사람은 행복하고, 잘못했다는 말을 절대로 하지 않는 사람은 불행하다.

【천일홍】 14. 가슴을 펴고 당당하게 걷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이고, 고개를 숙이고 걷는 사람은 불행?사람이다.
 【3000년에 1번 핀다는 우담바라꽃】 15.누구에게나 배우려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이고, 자신이 만물박사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불행한 사람이다.
 【쟁반연꽃】 16. 잘 된 이유를 찾는 사람은 행복하고, 안 될 이유만 찾는 사람은 불행하다.
 【노루귀꽃】 17. 공과 사가 분명한 사람은 행복한 사람이고, 공과 사를 구분하지 못하는 사람은 불행한 사람이다.
 【파란장미】 18. 아는 것이 적어도 행동으로 옮기는 사람은 행복하고, 아는 것이 많아도 실천하지 못하는 사람은 불행하다.
 【아부틸론 꽃】 19. 해야 할 일이 많음을 긍지로 여기는 사람은 행복하고, 그것을 불만으로 여기는 사 람은 불행하다.
 【자목련】 20. 겸손과 양보가 몸에 밴 사람은 행복하고, 교만과 거만이 몸에 밴 사람은 불행하다.
 【등꽃】 21. 목소리가 힘차고 생기있는 사람은 행복하고, 기어 들어가는 사람은 불행하다.
 【구름패랭이】 22. 남의 잘못을 잘 용납하는 사람은 행복하고, 자기의 잘못을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불행한 사람이다
 【꿩의비름】 23. 좋아하는 사람이 많은 사람은 행복한 사람이고, 미워하는 사람이 많은 사람은 불행한 사람이다

【말나리꽃】 24.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이고, 자기의 잘못을 모르는 사람은 불행한 사람이다.
 【뻐꾹나리】 25. 죽음의 삶의 연장이라고 태연히 받아들이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이고, 죽음이 끝이라고 무서워하며 불안에 떠는 사람은 불행한 사람이다.
 【솔나리】 26. 차 탈 수 있는데 걷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이고, 걸을 수 있는데 타는 사람은 불행 한 사람이다.
 【잔대】 27. 몸이 원하는 음식을 먹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이고, 입이 원하는 음식을 먹는 사람 은 불행한 사람이다.
 【 둥굴레 꽃과 열매】 28. 좋은 의견이 나오고 해 보자고 하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이고, 보나마나 뻔하다고 하는 사람은 불행한 사람이다.
 【가시연꽃】 29. 배에 힘을 주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이고, 목에 힘을 주는 사람은 불행한 사람이다
 【해오라비난초】 30. 할 일을 다 하고 천명을 기다리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이고, 시작도 않고 요행을 기다리는 사람은 불행한 사람이다.
◆노화의 감각적 진행속도◆
60에는 해(年) 마다 늙고 70에는 달(月) 마다 늙고 80에는 날(日) 마다 늙고 90에는 때(時) 마다 늙고 100에는 분(分) 마다 늙는다
| | | |
건설 수출 2년만에 2배로 조선일보 경제란<2007.8.31>
올 240억弗 넘을듯 중동 산유국 特需로 · 油化공장 수주 급증
차학봉 기자 hbcha@chosun.com 입력 : 2007.08.30 23:30
-
인도 뉴델리 공항에서 서남쪽 10㎞ 떨어진 구가온 지역의 SK엔지니어링센터에는 현지인 60여명이 근무 중이다. 해외플랜트 수주가 급증하면서 인력난을 겪자 지난 4월 인도에 설계전담 사무실을 설치한 것이다. SK건설측은 “수주물량이 계속 늘고 있어 다음달까지 110명으로 채용인력을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쌍용건설은 나이 제한 없이 해외근무 인력을 뽑았으며 다른 건설업체들도 해외건설 경력직을 상시 모집하고 있다
지난 4~5년 전 만해도 구조조정을 하던 한국 건설업계가 인력난을 겪을 정도로 호황기에 접어들고 있다. 8월 말 현재 국내업체의 해외수주 총액이 210억 달러를 기록, 2005년 전체 수주총액 108억 달러의 거의 두 배에 육박하고 있다. 건교부는 연말까지 30억 달러 이상의 공사가 추가로 계약돼 올해 연간 수주금액이 24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오일 달러의 힘=해외건설 수주가 급증하는 근본적인 배경은 오일달러 덕분이다. 석유는 수출했지만 석유화학제품을 수입하던 산유국들이 이제 수출을 위해 석유화학 공장에 천문학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아람코는 2010년 550억 달러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을 정도. 전체 수주의 70%에 육박하는 145억 달러어치를 중동지역에서 수주했으며 석유화학 등 플랜트 수주가 전체 수주액의 71%를 차지한다. 두바이와 같은 중동국가들은 리조트와 신도시 등의 건축에도 투자를 늘리고 있다. 여기다가 아프리카와 중앙아시아 지역 등 신흥 산유국들도 석유관련 시설 및 인프라 투자를 늘리고 있다.
- ◆대형 플랜트 수주로 수익성 개선=특히 초대형 프로젝트의 수주가 늘어나면서 수익성도 개선되고 있다. GS건설의 이집트 정유공장 프로젝트(18억달러), 두산중공업의 아랍에미리트 담수발전공사(16억8900만 달러) 등은 공사 규모가 10억 달러를 훨씬 넘는다. 이들 공사들은 타당성 조사에서 설비의 제작, 토목공사, 건설, 시운전, 공장가동 준비까지를 모두 담당하는 일괄수주방식으로, 부가가치도 높다. 70~80년대 대형공사의 경우, 최저가 입찰제가 대부분이어서 이익은 고사하고 20~30%의 적자를 내는 경우가 허다했다. 현대건설 이종수 사장은 “수익성에 기반한 선별수주와 공기단축으로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다”고 말했다.
한국 업체의 시공능력에 대한 평가가 높아지면서 GS건설이 18억달러 규모의 이집트 정유공장 프로젝트를 수의계약, 안정적인 이익을 보장받았다.
◆고유가로 상당기간 호황유지 전망=고유가가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해외 시장도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삼성증권 허문옥 건설애널리스트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사빅사가 2011년에서 2020년까지 설비 투자 계획이 480억달러에 달하는 등 고유가가 지속되는 한 중동의 플랜트 발주는 꾸준하게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한 건설사 임원은 “최근 한국 업체들 간에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어 저가 수주도 우려된다”고 말했다.
◆ 플랜트(plant)
발전소·정유공장·석유화학제품공장과 같은 생산 시설이나 공장을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플랜트는 건설사가 토목은 물론 생산시설 설치, 가동준비 단계까지 일괄적으로 맡기 때문에 부가가치가 높다. 2000년 이후 우리 건설업계는 단순 토목 공사에서 벗어나 플랜트 중심으로 해외 진출을 강화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