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진단] 윤석열 정부 수소상용차 보급 계획 1년을 돌아보다
안녕하세요. 일요서울입니다.
지난해 출범한 윤석열 정부는 수소경제로드맵을 통해
수소상용차 활성화 방안을 내놨답니다.
이미 승용차 시장은 디젤, 가솔린, LPG,
하이브리드 등 내연기관과 전기차 및 수소차 등
다(多)모델 다품종 차량들로 포화 상태에 놓여 있으나,
상용차 분야는 정책 기조에 따라
전략적 성과를 더욱 키울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도 동반됐답니다.
글로벌 자동차업체와 국내 완성차업체 등은
몇몇 특수한 경우를 제하고는 상용차 분야에서
대체로 디젤 엔진을 장착한 차량을
대부분 생산·판매해 왔는데요.
최근에는 시내버스를 중심으로 일부 전기차 등으로
대체되고 있으나, 상용차 전반의
디젤 엔진 차량 완전 대체까지는
상당한 기간이 필요해 보입니다.
이런 가운데 업계에서는 디젤 엔진 외의 대안을
묵시적으로 기대해 온 것도 사실인데요.
2021년 말부터 지난해 상반기까지 이어진
요소수 사태는 디젤엔진에 국한돼 있는
상용차(트럭 등) 부문의 취약점을
그대로 드러낸 사례로 꼽힌답니다.
이에 윤 정부 역시, 문재인 정권이 기획했던
산업 계획의 연장으로 불릴 수도 있는,
수소 전략을 내걸었답니다.
앞서 문 정권에서는 수소경제 로드맵을 그리며,
수소차를 비롯해 수소산업 활성화와
경제 분야의 수소 확산을 꿈꿔왔지만
기술력과 인프라 한계에 부딪혔답니다.
새로 들어선 정부입장에서는
자칫 전 정권이 남긴 숙제로 비춰질 소지가 있음에도,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는 차원에서 수소 전략을 도입.
더욱이 전 정권으로부터의 연계성이 있는
산업으로 불리더라도 성공할 수 있다면
이른바 ‘손해 볼 게 없는 장사’인 셈입니다.
이에 정부는 대대적인 홍보와 함께
수치까지 언급하며 구체적인 방안을 세웠답니다.
또한 완성차업체의 적극적 참여가 필요한데요.
국내 유일의 수소차 생산 기술력을 가진
현대차그룹이 동참해야 하나 현대차그룹은 다소 냉담한 반응.
오히려 수익 구조의 정점에 있는
전기차에 포화를 집중하고 있답니다.
굳이 수소차 기술개발에 나선다면,
상용차보다는 투자 성과가 높은 넥쏘 등
수소승용차 개발이 현대차로서는 이익인데요.
수소버스나 수소트럭은 기술개발에 대한
빠른 성과를 얻기도 힘든 데다
내연기관 화물차에 비해 판매 가격마저
3~4배 수준으로 높아 시장 반응도 시큰둥합니다.
살펴보면 오는 2030년까지
전기차 분야에 24조 원을 투입해
국내 생산·수출 확대 및 연관 산업 강화에 나서겠다는 현대차.
여기에는 연관 산업분야인 신규 전기차 공장과
로봇 장비 등의 언급도 포함됐는데요.
정부와 현대차의 계획은 동일하게
2030년까지 같은 기간에 걸쳐 진행되지만
사뭇 다른 그림을 그리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그런 중에 정부가
수소상용차 3만대 보급 계획을 공개한지 만 1년.
그 사이 정부와 현대차는
얼마나 많은 수소상용차를 현장에 투입했을까.
지난 1년간 보급된 수소상용차는
총 480대 수준에 그쳤는데요.
지난 정권만 하더라도 현대차는
어려운 수소 인프라 환경 속에서 정부 수소 전략에
발을 맞추고자 안간힘을 써왔지만
윤 정부 수소 전략에는 다소 냉담하답니다.
산업통상자원부 등에 따르면 수소버스의 경우
대당 가격이 6억3000만 원에 이르는데요.
일반 시내버스(저상버스 기준) 가격이
약 9000만 원에서 1억 원 이하인 것에 비하면
6배가 넘는 가격이랍니다.
산업부 관계자는 “환경부, 산업부 및 지자체 등이
지원금을 투입하고 현대차가 1억 원정도 할인을 해서
약 1억3000만 원 선에 맞추고 있다”고 설명했답니다.
내년에 환경부가 계획하고 있는
수소버스 1700여대 보급 계획을 여기에 대입하면
차량 가격만 정부와 지자체 등 세금으로
약 1조 원에 이르는 금액이 투입돼야 하는데도
정부의 3만 대 계획에는 턱없이 부족합니다.
현대차가 제안한 가격은 7억7600만 원 수준.
여기에 정부가 2억5000만 원, 지자체가 2억 원,
현대차가 자체 할인을 추가해 2억1000만 원에
구매하도록 한다는 계획인데요.
문제는 지자체가 수소버스 지원도 쉽지 않은데,
사업자들의 화물차 매입까지 지원해야하는지
의문을 가지는 데 있답니다.
더 큰 문제는 기술력.
수소차 기술력의 포인트가 바로 연료전지인데
현대차가 공개 판매하고 있는 11톤급 수소트럭의 경우
5년50만km의 보증 기간이 주어진답니다.
일반 화물차들이 10~17년,
200~300만 km의 보증을 받을 수 있는 것에 비할 때
사업자의 구매 의지가 현저히 떨어지는 이유가 됩니다.
산업부 및 환경부 관계 부서는 취재진에게
“당장은 현대차의 기술 개발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황이 맞다”라면서도
“특히 수소상용차 보급을 위해서
인프라 확충이 바탕이 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답니다.
현재까지 수소트럭은 2021년부터 현대차가 생산한
5대에 올해 보급된 4대를 포함해 총 9대가
국내에서 도로를 밟고 있는데요.
여기에 환경부는 2024년
총 15대의 추가 보급 계획을 세웠답니다.
올해 보급된 수소버스와 내년 계획 1700여대를 포함해
2년간 총 2200여대가 보급될 계획이지만,
그마저도 계획이 순탄하게 진행돼야 한다는
전제랍니다.
매번 현대차가 1억 원의 할인을 해준다면
무려 2200억 원의 할인이라는 결과가 나오는데
과연 정권 말미에 현대차가
어떤 모습을 보일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 기사 원문 보기 ▼
▼ 지난 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