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765 | 1926 | 1936 | 1956 | 1976 | 1992 | 1993 | 2008 |
극효 |
| 해→봉양 | 해→봉양 |
|
| 해→봉양 | 지 |
|
극제 | 회 |
|
| 회→봉양 | 회→봉양 |
| 해→봉양 | 해→봉양 |
|
|
|
|
|
|
|
|
|
㉮모산 모강공 묘역 아래 柳榰선조 묘 상석
호 모재(茅齋) 휘 지(搘) 해(楷) 배 여산송씨
㉯ 1765 을유보
19세 |
| 20세 |
|
| 21세 |
|
| 22세 |
|
| 23세 | … | 31세 |
몽정 |
| 형浻 |
|
| 극효 |
|
|
|
|
|
|
|
|
|
|
|
|
|
|
|
|
|
|
| |||
|
|
|
|
| 극제 |
|
| 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회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백 |
|
|
|
|
|
|
|
|
|
|
|
|
|
|
|
|
|
| |
浻소용돌이칠형 |
㉰1926 병인보
19세 |
| 20세 |
|
| 21세 |
|
| 22세 |
|
| 23세 | … | 31세 |
몽정 |
| 형浻 |
|
| 극효 |
|
| 해楷 |
|
| 봉익 |
|
|
|
|
|
|
|
|
| 봉양 |
|
| ||||
|
|
|
|
| 극제 |
|
| 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백 |
|
|
|
|
|
|
|
|
|
|
|
|
|
|
|
|
|
| |
浻소용돌이칠형 |
㉱ 1936 가승보(감찰공파보)
19세 |
| 20세 |
|
| 21세 |
|
| 22세 |
|
| 23세 | … | 31세 |
몽정 |
| 형浻 |
|
| 극효 |
|
| 해楷 |
|
| 봉익 |
|
|
|
|
|
|
|
|
| 봉양 |
| 인태 | ||||
|
|
|
|
| 극제 |
|
| 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백 |
|
|
|
|
|
|
|
|
|
|
|
|
|
|
|
|
|
| |
浻소용돌이칠형 |
㉲1956 모강공파보
19세 |
| 20세 |
|
| 21세 |
|
| 22세 |
|
| 23세 | … | 31세 |
몽정 |
| 형浻 |
|
| 극효 |
|
|
|
|
|
|
|
|
|
|
|
|
|
|
|
|
|
| ||||
|
|
|
|
| 극제 |
|
| 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회檜 |
|
| 봉익 |
|
|
|
|
|
|
|
|
|
|
|
| 봉양 |
| 인태 | |
|
|
|
|
|
|
|
| 백 |
|
|
|
|
|
|
|
|
|
|
|
|
|
|
|
|
|
| |
浻소용돌이칠형 |
㉳ 1976 병진보
19세 |
| 20세 |
|
| 21세 |
|
| 22세 |
|
| 23세 | … | 31세 |
몽정 |
| 형浻 |
|
| 극효 |
|
|
|
|
|
|
|
|
|
|
|
|
|
|
|
|
|
| ||||
|
|
|
|
| 극제 |
|
| 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회檜 |
|
| 봉익 |
|
|
|
|
|
|
|
|
|
|
|
| 봉양 |
| 인태 | |
|
|
|
|
|
|
|
| 백 |
|
|
|
|
|
|
|
|
|
|
|
|
|
|
|
|
|
| |
浻소용돌이칠형 |
㉴1992 모강공파보
19세 |
| 20세 |
|
| 21세 |
|
| 22세 |
|
| 23세 | … | 31세 |
몽정 |
| 형浻 |
|
| 극효 |
|
| 해楷 |
|
| 봉익 |
|
|
|
|
|
|
|
|
| 봉양 |
| 인태 | ||||
|
|
|
|
| 극제 |
|
| 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백 |
|
|
|
|
|
|
|
|
|
|
|
|
|
|
|
|
|
| |
浻소용돌이칠형 |
㉵ 2003 하정공파보
19세 |
| 20세 |
|
| 21세 |
|
| 22세 |
|
| 23세 | … | 31세 |
몽정 |
| 형浻 |
|
| 극효 |
|
| 해楷 |
|
| 봉익 |
|
|
|
|
|
|
|
|
| 봉양 |
|
| ||||
|
|
|
|
| 극제 |
|
| 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백 |
|
|
|
|
|
|
|
|
|
|
|
|
|
|
|
|
|
| |
浻소용돌이칠형 |
㉶2008 무자보
19세 |
| 20세 |
|
| 21세 |
|
| 22세 |
|
| 23세 | … | 31세 |
몽정 |
| 형泂 |
|
| 극효 |
|
|
|
|
|
|
|
|
|
|
|
|
|
|
|
|
|
| ||||
|
|
|
|
| 극제 |
|
| 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해楷 |
|
|
|
|
|
|
|
|
|
|
|
|
|
|
| 봉양 |
| 인태 | |
泂멀형(이름에 잘안쓰는 글자)로 바꾸어짐 |
※ 영팔정 증수기에 도유사 지(榰)선조는 족보에 없으나 모강공묘옆 해(楷) 묘 상석에 일명 지(搘)로 써 있는데 족보에 없는 이유는?
※ 해(楷)가 1926, 1936년 극효아들, 1956, 1976년 극제아들, 1992년 극효아들, 2008년 극제아들로 변하는 이유는?
※ 1936년 봉양 아래 인태가 처음 나오고 1956년으로 나옴
※ 회 해 두분의 字 원규, 配 여산송씨이나 지는 1993년 하정보에 나오다기 2008년 무자보에서 없어지고 마지막에 넣음
② 2003년 하정보(榰)와 2008년 대동보(楷)에서 극제 아들로 2남에서 3남으로 바꾸어 집니다.
③ 한 사람 이름이 회(檜) 지(搘) 해(楷)로 3번 바꾸어 질 수 있는지와 1677년 영팔정 중수기에 나오는 지(榰)를 후손들이 지, 해 로 만들어 싸우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 싸웠으면 1956년에 극제 2남을 2003년 극제 3남으로 한 이유는 무엇인가? 또 봉익은 자손이 없다고 봉익을 빼도 되는가?
④ 원규, 배 여산송씨, 아들 봉익은 같은데 지(搘)가 어느선조 자손인지 확인하여 영팔정 중수 도유사”지(搘)를 족보에 추가 했으면 함
※ 족보에 추가 해야 하는 이유 : 영팔저 중수(고처 지음)를 약재 상운선조가 했다는 일부종원이 있는데 중수기를 보면 중수 때 상량문을 쓴 것(撰)이며 영팔정을 지은 사람은 모산대동계원(별유사에 류, 정, 박 이씨가 있는 것으로 보아서 대동계원이 지었음) 당시 도유사가 경창, 지 선조 이기에 인태를 떠나서 이런 업적을 족보에 올려야 함.
⑤ 족보에 청계공 관직명이 잘 알 수 없고 빠진 관직이 많으니
[정묘생진, 학행천발(薦拔), 능침낭(陵寢郎), 공조좌랑, 군위현감, 경남도도사, 전라도점마, 공조전랑, 호조정랑, 사헌부지평, 충청도경차관, 광흥창수, 고부군수, 남원부사, 광주목사] 순서대로 관직명을 족보에 쓰고 다음에 문하생, 천거된 내력, 기축옥사 등을 쓰면 좋겠음.
※ 광주목사는 서당동 묘비에 세겨저 있으며 황혁(의승지,1551년-1612년)이 지은 기축록상권에 “곤재전(허목,시호문정,1595~1682)글에서”주목州牧 류몽정은 광주목사를 말하며 기축록하(황혁씀)정곤재 행장에 “~~~나덕준 등이 나주 대안동에 서재를 세우고 향음주례를 행할 때 선생을 받들어 빈으로 삼앆더니 목사牧使 柳夢井이 듣고 가서 보고 감탄하기를~~~”에서 목사 류몽정으로 나옴
16.숙제(앞으로 확인할 사항)
① 사당동에 있는 지선조 상석과 1976년 대동보에 극제 3남으로 올라있는 인태선조를 1992년 모강공파보에서 극효 아래로 옮긴 이유를 확인하기 위해
② 1976년(병진) 대동보(병진보)에 수록된 세계가 맞는지 1677년 이후 1976년 이전에 발행된 대동보를 대종회에 가서 확인해 봐야함.
17. 족보 확인
①확인할 내용
㉮ 몽두 존재 여부
㉯19세 몽정(夢井) 20세 형(무자보泂,병진보浻) 21세극효(克孝) 후손 여부
㉰ 몽정→형→21세 극제(克梯) 아들이 정(楨) 회(檜) 백(栢) 순서
㉱ 회(檜)→봉양(鳳陽)→징린(徵隣)→동번(東蕃)→영록(榮祿)→명신(明信)→영기(永基)→병수(秉壽)→위연(威淵)→인태(寅泰)→중렬(重烈) 창열(昶烈) 경렬(暻烈)
㉲ 지(搘)는 어느 자손이며 해(楷) 회(檜) 동일 인물이다.
㉳ 인태님 선조를 서자라는 이유로 이리저리 옮긴 것이 타당한가? 서자 차별이 없어진 현대사회에서 바르게 족보를 만들기를 바란다.
② 대동보와 파보 확인 여부(대승공 22세 이후 발행 족보)
㉮(1) 기사보(1689)
㉯(2) 경신보(1742)
㉰(3) 을유보(1765) : 확인함
㉱(4) 정사보(1803)
㉱-1(5) 부제학공파보(1854) : 확인함
㉲(6) 갑자보(1864)
㉳(7) 병인보(1926) : 확인함
㉳-1(8) 문화류씨가승보(감찰공파,1936) : 확인함
㉳-2(9) 모강공파보(1956) : 확인함
㉳-3(10) 모강공파보(1992) : 확인함
㉳-4(11) 하정공파보(2003) : 확인함
㉴(12) 무자보(2008) : 확인함
※ 청계공 출생이후 손자대부터 발행한 대동보와 파보에서 12질 족보에서 확인하지 못한 족보는 추후 확인하여 다시 정리한후 올리겠습니다.
-------------------------------
위글을 2019년 6월 29일 뿌리깊은버드나무/인물에 글쓰기 한 이후 7월 1일까지 청계공후손 몇분으로 부터 오해를 받고 해명하였는데 저의 생각은 좋은 일하고 욕먹는 기분입니다.
1. 위글 내용처럼 류지(柳榰)선조는 저의 방계선조이지만 서당동에 청계공 아들 형, 손자 극효, 증손 지, 고손봉양 묘가 있고 ①지(榰)선조 상석에 일명 해(楷) 배 여산송씨라 한 것은 청계공 종손과 종원 어른들께서 어떤 근거에 의해 승락했을 것이며 ②모산대동계 명단에 지(榰)선조가 아들에게 계원 자격을 승습했다는 기록과 ③영팔정 중수 상량문에 도유사로 지(榰)선조 이름이 있는데 족보에는 지(榰)선조 이름이 없어 어느분이 아버지이며 조부인지 알려줄 자료를 제공했는데 오해하신분이 었었고
2. 족보에 청계공 관직명이 고부와 남원부사만 있어 하정공처럼 청계공 관직도 처음 말직부터 광주목사까지 다음 족보 만들 때 추가 했으면 하는 저의 충정을 흐리게 하여 최종직함만 쓰면 된다고 하니 자기 선조는 후손들이 자랑해야 한다는 저의 생각과 다릅니다. 저의 선조 류경창은 이번 남재공파보를 만들 때“1677년 순정기원후 기사년 : 영팔정 중수기에 도유사”를 추가 했습니다.
3. 오해를 받은 부분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① 청계공 종손과 당시 청계공 어른들이 지(榰)와 봉양 묘와 상석을 하라고 허락한 근거가 있을 것이니 다음 족보 만들 때 몽정→형→극효→지→봉익, 봉양으로 세계를 만들고(후손이 없으니 아무리 서자라지만 지, 봉익 봉양이 청계공 장손이 되어도 무리 없다고 봅니다) 봉양아래 징린→동번→영록→명신→영기→병수→위연→
인태는 문중 결의에 따라 뒤에 적당한 곳에 두어도 된다고 생각하는데 현재 최고족보인 을유보에 극제아들로 회(檜)가 나와 그전에 발행된 기사보와 경신보를 보고 다시 글을 수정하겠습니다.
② 지(榰)선조가 해(楷) 회(檜)로 이름을 바꾸어서 청계공 손자 극효와 극제 아들로 왔다갔다하고 또 극제 아들로 올때는 둘째와 세째로 왔다갔다하는 것은 청계공에게 불효하는 것입니다(그래서 바로 잡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③ 청계공 후손들께서 족보에 청계공 생년 졸년도 과거경력 관직은 짧게 기록하고 기축사화(후손들이 이렇게 사용하기에)에 대하여 길게 써 놓았는데 저의 생각은 출생부터 과거급제, 관직명을 하정공처럼 쓰고 다음에 기축사화 내용을 좋은 일이 아니기에 간략(사육신들도 관직명이 길고 단종복위는 간단하게 기록함)하게 기록했으면 하는 바랩이지만 청계공 후손들께서 알아서 할 일이기에 제가 할 말은 아니지만 오해를 하신분이 있어 이런 넉두리를 씁니다.
④ 저의 생각은 지(榰)선조가 모산동계 도유사를 했다는 것은 류, 정, 박, 이씨들이 인정한 분이기에 이런 훌륭한 선조를 그것도 종손과 집안 어른들이 묘를 쓰라고 인정한 분을 2008년 무자보(문화류씨대동보)에서 인태님과 묶어서(지 선조 잘 못이 아닌데) 뒤로 보낸 것은 생각해볼 문제라서 자료를 제공해주고 오해 받아 해명하고~~~~~~~~~~
8월경에 모산대동계 모임을 합니다. 그때 신북에 가서 지선조가 어느 아들에게 대동계 계원자격을 인계했는가" 손자 증손 순서로 계원 명단을 사진을 찍어 와서 올리겠습니다.
첫댓글 문화류씨 기사보(1689년간)를 보면 극효의 두아들로 (서자) 지 / (서자) 환이 나오고 (서자) 지는 아들이 봉익 / 봉지 두 아들이 있었고 (서자) 환의 아들는 없습니다. 그리고 극제의 아들로는 정이 나오고 정의 아들로 주신 / 세신이 나옵니다. 주신과 세신은 수자 항렬의 여러 아들을 두었습니다. <출처 한국족보자료시스템) 기사보에 극효 -- 지 -- 봉익 / 봉지 -- 후손 기록없음, 극제 -- 주신 / 세신 --- 수자항렬 여러 형제들로 기록되어 있는 바, 봉익/봉지의 후손들이 기록되지 않은 이유는 추정하건데 극효는 정부인에서 자녀가 없어 후부인에서 늦게 지를 낳아서 후손들이 작은집은 극제 집안보다 더 늦게 태어난듯 합니다.
한국고전종합DB을 보면 최희량(1560-1651, 나주 초동리 출신)의 일옹집에 만력 41년(1613년) 별감 류극효가 나오고 신천익(1592-1661)의 소은유고 문집을 보면 측실 소생아들 신육삼의 배위가 류극효의 딸로 되어 있고 문화류씨 기사보에도 류극효의 사위가 신육삼으로 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