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1. LOT구분방법 |
 |
|
|
제품시공시 LOT별로 구분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유의한다. |
|
|
|
|
2. 운반 및 보관방법 |
|
|
제품의 상하차 및 층별운반시 LOT별로 미리 구분하여 보관한다. |
|
|
|
|
3. 시공 |
|
|
▶ 동일 LOT로 픙별, 실별 시공이 될 수 있도록 한다. |
|
|
▶ LOT 번호가 다를 경우 색상차이 발생 우려가 있으므로 생산년도, 월, 일을 구분하여 시공하시고 가능하면 작업반도 구분해서 시공한다. |
|
|
|
|
4. 마이톤 뒷면에 표시되어 있는 화살표 방향이 일치되도록 시공 |
|
 |
|
1. 마이톤 뒷면에 표신된 화살표 방향이 일치되도록 시공한다. |
|
|
▶ 턱짐현상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
|
|
|
|
2. H-BAR를 현장에서 전달할 경우 |
|
|
|
|
H-BAR의 아랫부분이 원형Cutter기에 닿게 한 후 절단한다. |
|
|
 |
|
▶ H-Bar의 윗부분부터 절단할 경우, H-Bar의 날개부분이 휘어져 마이톤의 턱짐현상을 발생시킨다. |
|
|
|
▶ 이미 H-Bar의 날개부위가 휘어졌을 경우, 현장에서 플라이어 등으로 펴서 시공해야 한다. |
|
|
3. H-Bar의 삽입방향 |
|
|
 |
|
H-Bar의 삽입방향 표시 ▶ 그림1)과 같이 마이톤에 H-Bar를 삽입할 때 반드시 수평방향으로 끼워 넣어야 합니다. 그림 2)과 같이 그릇된 방향으로 시공할 경우 턱짐현상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
※ H-Bar가 삽입된 제품을 T-Bar에 얹어 기시공된 마이톤에 무리하게 밀어 넣을 경우 H-Bar가 기울어져 턱짐현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
|
|
4. Main Bar 설치간격 |
|
|
 |
|
▶ 옆의 그림과 같이 Steel T-Bar와 Aluminum T-Bar의 작업여유 이격거리를 준수하여 시공하도록 한다. |
|
|
5. 마이톤 시공방향과 채광방향의 관계 |
|
|
마이톤 적용방법 중 채광방법과 마이톤 시공방향은 시공 후 정밀 시공 여부의 판단에 크게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건물내부에 유입되는 자연채광의 방향에 의하여 그림자가 발생되고, 이것은 천장을 보는 각도나 일출 일몰 등의 자연과의 상태가 바뀔 때마다 나쁜상태로 보이는 요인이 되므로 마이톤의 적용방향과 건물내부로 유입되는 자연채광 방향을 고려해서 마이톤이 적용되어야 한다. |
|
|
|
1) 마이톤 적용방법 |
|
|
|
마이톤을 설계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건축물의 기본설계시에 마이톤 적용방향을 우선 고려하므로서 천장재 시공방향 즉, 천장디자인에 부합되는 등가구 설계를 할 수 있도록하여야 한다. 천장 기본 평면도와 전기 설계가 완료된 후, 이것에 의하여 천장 평면도가 설계되는 예가 있어 부적합한 설계가 진행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하여 건축물의 디자인 효과가 감소되고 또한 마이톤도 비규격으로 공급되어야 하는 등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
|
|
2) 채광뱡향 |
|
|
|
한국은 북반구에 위치하므로 남쪽으로부터 건물내부로 채광이 유입되고, 이러한 현상은 건축물의 배치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남쪽을 기준으로 마이톤 시공방향이 결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남쪽에 있는 인접건물과의 간격이 좁아 남쪽으로 부터의 채광유입보다 동쪽의 채광유입이 더 많은 경우에는 마이톤 시공방향을 동쪽을 기준으로 설계하고 시공되어야 한다. |
|
|
|
|
|
- < 채광방향에 의한 마이톤 시공의 예 > - |
|
|
 |
|
|
| | | |
|
|
6. H-Bar품질 |
|
|
H-Bar 제품 품질은 아래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사용해야 한다. 마이톤 제품의 시공 후의 외관은 제품의 정밀도, H-Bar의 품질상태, 작업자들의 숙련도 등의 세가지 요인에 의해서 좌우된다. 이중 H-Bar의 품질 상태가 턱짐현상을 좌우하는 변수이다. 따라서 H-Bar의 철판두께, 직진도, 두 개를 맞대었을 때의 틈새등이 일정수준 이상의 품질이어야 한다. |
|
|
|
① 철판두께 : 0.5 ㎜이상 ["(주)유창 마이톤용" 가 표시되어 있다] ② 직진도(가로굽힘 및 세로굽힘) : 1.5 ㎜미만/1,000 ㎜ ③ 틈새 : 1㎜미만 ④ H-Bar의 두께 1.17 ㎜ ~ 1.23 ㎜ ⑤ 뒤틀림이 없어야 합니다. ⑥ 길이 : 마이톤 길이보다 2 ㎜ ~3 ㎜ 짦게 절단하십시오. |
<마이톤 전용 H-Bar> |
|
|
|
* H-Bar에 마킹된 화살표 방향이 제품이면의 표시방향과 일치되도록 시공한다. |
|
 |
|
1. Bond 사용방법 준수 |
|
|
1) 마이톤에 적합한 전용접착제 사용 |
|
|
|
● 마이톤 전용접착제 - 상 품 명 : 오공본드(마이톤 전용 접착제) - 품 명 : 오공201, 오공205(HB 최우수등급 : 친환경상품 사용 권장사항) - 포장단위 : 18 ㎏/캔, 1 ㎏/비닐팩 - 표준도포량 : 0.3 ㎏/㎡ |
|
|
2) 마이톤의 석고보드 하지판에 Bond의 힘으로 부착되는것임. |
<Staple 모형> |
|
|
|
▶ Staple의 용도는 Bond가 경화될 때까지 임시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임. (Staple : 1매(300 × 600)당 18~20개) |
|
|
3) Bond가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한다 |
|
|
|
▶ Bond가 균일하게 도포되지 않았을 겅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마이톤 자체의 하중에 의한 처짐으로 턱짐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 또한 스프레이 도포 혹은 ROLLER 도포는 시간경과에 따라 접착력이 저하됨과 동시에 하지판과 마이톤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마이톤 뒷면에 전용본드를 점점이 부착하십시오. ▶ 전용접착제는 300 × 600 규격 1매당 12~15곳 정도로 점점이 도포하십시오. |
 |
|
|
4) Bond를 물로 희석하는 것을 금한다. |
|
|
|
▶ 물로 희석하면 도포는 쉽지만 제품내에 물이 흡수되어 제품의 수축, 팽창을 유발시켜 이음매 부분에 틈이 생길 수도 있고, 겨울철에는 동결될 우려가 있다. 이로인해 접착력이 저하되어 시간이 지만에 따라 마이톤의 자체하중에 의한 처짐으로 들뜸현상이 발생하여, 턱짐불량의 발생 원인이 된다. |
|
|
|
|
2. 석고보드 하지판 점검 |
|
|
▶ 하지용 석고보드는 요철, 두께편차등이 없어야 합니다. 만일, 두께 편차가 발생할 경우에는 Joint compound등으로 하지를 평활하게 하여 주십시오. |
|
|
|
|
3. 하지판 이음매와 마이톤 이음매 중복방지 |
|
|
▶ 건물 중앙선 부위에 석고보드 중앙에서 먹줄을 띄운다. 하지판 이음매가 중복될 경우, 마이톤에 두께 편차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
|
|
|
|
4. 하지판(석고보드) 시공시 유의사항 |
 |
|
|
▶ 석고보드 고정을 위한 피스는 석고보드 표면과 일치하거나 표면에서 1 ㎜ 깊이로 시공되도록 한다. |
|
|
|
|
5. 마이톤 뒷면에 방향으로 부착시공 |
|
|
|
 |
마이톤 뒷면 |
|
|
▶ Cube/Stripe 제품의 경우 화살표 방향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Cube/Stripe 무늬의 산과 골부위의 색이 다르게 보일 수 있습니다. |
|
|
|
 |
|
6. 건물모양과 천장판의 방향 |
|
|
▶ 채광방향과 마이톤의 길이방향이 일치하도록 한다. |
|
|
|
|
7. 부착방법 |
|
|
|
▶ 일반적으로 마이톤은 혼열붙힘을 원칙으로 합니다.
|
 |
|
|
▶ Cube 제품은 정렬붙힘을 합니다. 혼열붙임을 할 경우 Cube 무늬가 연결되지 않고 엇갈리게 시공외관 불량의 원인이 됩니다. |
|
|
8. Wall Molding 부분의 마이톤 시공 |
|
|
시공시, Wall Molding부분이나 등가구 부분에 마이톤을 수동절단 시킨 제품(300 × 600 보다 작은 제품)을 시공할 경우에는 Bond를 도포하지 않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고 있으나 Bond를 상용하여 시공해야 한다. (시공후 두께편차의 원인) |
|
 |
|
1. 재료의 보관 |
|
|
1) 상대습도 80 %이하의 장소에 보관 2) 물이나 습기의 해를 받지 않게 항상 건조하고 청결한 장소에 보관 3) 제품 모서리 부분 파손에 주의하며, 평탄하고 안전한 장소에 보관 4) 벽면으로부터 1 m이상 이격하고, 깔판을 놓은 후 방습성 있는 Sheet를 깔고, 덮어 보관한다. 5) 비가 올 때의 운반을 피하며, 현장 도착 후 비가 올 때는 상하차를 금한다. 6) 지하층 및 옥외의 보관은 하자의 원인이 되므로 금지한다. |
|
|
|
|
2. 환경조건 |
|
|
1) 시공시 온도는 30 ℃, 상대습도 80 %이하유지 : KSL 9150 |
|
|
|
▶ 접착공법의 경우 85 %이하 유지 ▶ 공사중 정기적으로 습도를 측정, 현장 습도가 80 %를 넘는 경우는 출입구 등을 비닐 Sheet등으로 차폐하여 습기를 막아준다. |
|
|
2) 창호공사가 완료되어 유리가 끼워진 다음 시공해야 한다.
|
|
|
3) 건물내부의 모든 수장공사가 완료된 후 시공할것 |
|
|
|
▶ 바닥공사 : 방수공사, 타일공사, 석공사, 테라조공사, 수장공사 등 완료후 시공 ▶ 벽체공사 : 조적공사, 미장공사, 수장공사 등 완료후 시공 |
|
|
3. 경량철골 |
|
|
1) H-Bar의 높이 |
|
|
|
▶ 마이톤 자체 하중에 의한 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마이톤의 길이가 1,500㎜ 이상인 경우에는 높이 30 ㎜의 H-Bar를 사용하며, 길이 1,800 ㎜ 이상인 장척제품은 보조캐링찬넬과 H-Bar를 클립으로 연결하여 보강시공해야 한다. |
|
|
2) 경량틀 |
|
|
|
▶ Carring Channel, Minor Channel을 시방서대로 설치하여야 함. | | | |
|
|
4. 필히 보강대 부착제품 |
|
|
1) T-Bar공법 |
|
|
|
① 제품규격 6101220 초과시 : 1EA ② 가공제품(Cube, Stripe) : 1EA ③ 지하층, 화장실, 식당(부득이 사용할 경우) - 610 × 610 : 1EA, - 610 × 1220 :2EA, - 610 × 1220 초과시 : 3EA |
|
|
2) T&H-BAR공법제품 |
|
|
|
(장폭, 장척제품 : 폭 395 ㎜초과시, 길이 1,500 ㎜초과시) * 길이 1,210 ㎜를 넘는 경우에는 제품 폭을 300 ㎜롤 선택하고, 제품의 모서리는 면취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처짐현상을 방지할 뿐 아니라 턱짐현상도 방지할 수 있음. |
|
|
|
|
5. 보강대 부착방법 |
|
|
처짐방지를 위한 보강대의 종류로는 두가지가 있다. |
|
|
|
1) STEEL삼각보강대(T-Bar공법 제품적용) |
|
|
|
|
▶ 마이톤 길이 방향으로 부착시에 마이톤 하중에 의한 휘어짐이 쉬운 알루미늄 보강대 보다는 하중에 의한 STEEL보강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
 |
|
|
|
① 규격 : 0.5 ㎜THK × 8 ㎜ × 20 ㎜ ② 재질 : Galvanized-Steel ③ 적용방법 |
|
|
|
|
● 마이톤의 뒷면에 표면무늬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부착 고정 ● 고정판을 삼각보강대 Hole에 끼워 맞춘 후 고무망치를 이용하여 가볍게 두들겨 걸침코가 삼각보강대에 완전히 결쳐지게 고정한다. ● 무리한 힘으로 Pin을 고정하면 제품표면을 관통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를 요함. |
|
|
2) 알루미늄 보강대(T&H-Bar공법 제품적용) |
|
|
|
▶ 마이톤 폭방향으로 부착시 보강대가 H-Bar 윗부분에 걸쳐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 보강대 윗날개부위를 사각으로 절단하여 마이톤 뒷면을 3등분한 지점에 2개를 부착해야 한다. |
 |
|
|
|
① 규격 : 0.8 ㎜THK × 15 ㎜ × 15 ㎜ ② 재질 : 알루미늄 ③ 적용방법 : |
|
|
|
|
● 마이톤의 뒷면에 표면 무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부착 ● 합성고무계 본드 사용(대흥 D5250, 오공310) ● 접착부위의 마이톤면과 알루미늄 보강대 면에 본드를 충분히 도포해야 한다,.
|
|
|
|
|
● 마이톤에 부착한 후 적층하여 24시간 경과후 시공된다. (BOND의 경화가 완료되어 마이톤과 보강대가 완전히 접착된 후에 시공할 것.) |
|
 |
|
1. Stripe/Cube 제품의 시공방법 |
|
|
|
▶ 시공시 Stripe/Cube 가공라인이 보행과 일치하게 한다. |
 |
|
|
|
2. 시공방법 |
|
|
▶ Cube 제품은 정렬붙임을 합니다. |
▶ Stripe 제품은 혼열붙임을 합니다. |
|
 |
|
등가구 설치부분으로 인한 Carring Channel 절단을 고려한다. Carring Channel 위치와 등가구의 위치를 고려한 후 천장을 시공하여 Carring Channel의 절단으로 인한 천장틀의 유동이 발생함으로 Carring Channel을 절단후 필히 보강을 해야한다. |
 |
|
|
|
 |
|
1. 보수용 도료는 시공이 끝난 후, 시공중 도장면의 파손부위나 흠집이 생긴 곳을 보수하는 도료이다. |
|
|
▶ 수용성 도료이므로 동절기에는 결빙(동절기 : 5~10 ℃, 하절기 : 냉장고 보관)하절기에는 부패되기 쉬우므로 주의깊게 관리해야 한다. 특히, 부패된 도료는 색상이 변색되었으므로 사용치 말것. |
|
|
|
|
2. 제품의 표면에 깊은 홈이 생긴 곳은 도료만으로 감취지기가 어려우므로 마이톤을 곱게 부수어 보수용 도료와 함께 섞어서 점도를 높여 흠을 메우고, 마른후에 마이톤 조각을 사용하여 도장면끼리 문질러 주면 도료를 바른 자국도 없어진다. |
|
 |
|
Ship-Lap 장척 제품 1,800 ㎜이상 적용시 자체 하중에 의한 휨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Z-Bar 높이 50 ㎜제품을 사용 설치한다. |
|
|
 |
|
최대 Span Data(50㎜ Z-Bar 사용시) |
|
|
천장판무게 |
폭(㎜): A |
최대span(㎜): B |
|
최대5 ㎏/㎡ |
300 |
2230 |
|
400 |
2110 |
|
500 |
2010 |
|
600 |
1930 |
| |
|
 |
|
Main Module Bar와 Cross Module Bar 설치시 마이톤의 길이방향이 Main Bar와 나란히 시공한다.
|
 |
|
| | | |
|
 |
|
▶ Main T-Bar와 Cross T-Bar의 직각을 맞추어야 합니다. 직각이 맞지 않을 경우 천장선이 일치하지 않아 마이톤과 T-Bar 사이가 벌어져} 외관이 불량해 보입니다. |
|
 |
|
 |
|
|
 |
|
|
|
 |
|
|
1. T&H-Bar용 점검 시스템 |
|
2. SHIP LAP 제품 |
|
|
 |
|
마이톤 T&H-Bar공법 제품의 일종이며, 좌우 Edge 가공을 각각 Kerfed홈과 직각 Reveal(모서리면취)로 가공하여 한쪽면 Kerfed 홈에 T-스프라인 또는 Z-Bar를 끼우고 다른 한쪽면 Reveal Edge가 겹치면서 올려지는 형태로 어느 부위에서든지 천장 점검 보수가 용이한 제품이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