由 말미암을 유
축
말미암다

由의 갑골문

由의 전문
由의 갑골문은 아래로 깊게 파인 형태의 가운데를 세로획이 내리 지르고 있는 모양입니다. 가운데의 가로획[①]은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있는 상태, 즉 중심을 가로질러 튀어나와 있다는 개념을 나타낸 것입니다. 전문도 이에 따르고 있으며, 田(밭 전)과의 구분을 위하여 세로획이 돌기[②] 형태로 삐져나오게 표기하고 있습니다. 이는 배달말의‘축(軸)’소릿값을 시각화 시킨 글자입니다.
由가 본래의 의미인‘축’이 가지는‘중심이나 근원’의 어기에서‘말미암다’의 뜻으로 가차 사용되며, 전문에서는 車와 由의 합자인 軸으로 분화됩니다.
말미암다 (1) 어떤 현상이나 사물 따위가 원인이나 이유가 되다.
(2) 일정한 곳을 거쳐 오다.
理由(이유), 自由(자유), 事由(사유), 緣由(연유) 등에서 由가‘말미암다(1)’의 뜻이며, 經由(경유 ; 어떤 곳을 거쳐 지남)에서는 由가‘말미암다(2)’의 뜻입니다.
軸 굴대 축
축

軸의 전문
軸은 車와 由의 합자입니다. 由가 본래‘축’의 소릿값을 나타냈으나, ‘말미암다’의 뜻으로 가차됨에 따라 車로 구분하여 분화시킨 글자입니다.
축(軸) (1) 굴대.
(2) 둘둘 말도록 되어 있는 물건의 가운데 끼는 막대.
(3) 활동이나 회전의 중심.
(4) 두루마리
(5) 회전 운동이나 직선 왕복 운동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둥근 막대 모양의 부품.
(6) 회전 운동의 중심이 된다고 가정하는 직선.
主軸(주축), 地軸(지축), 軸索突起(축삭돌기 ; 신경 세포에서 나온 긴 돌기), 詩軸(시축 ; 시를 적는 두루마리) 등에서 軸이‘축’의 뜻입니다.
油 기름 유
축축한 흐름 ; 기름

油의 갑골문1

火의 갑골문

油의 갑골문2

油의 전문
油의 갑골문1의 ①부분은 火의 한 쪽으로‘불꽃’의 뜻입니다. 이는 등잔(燈盞)의 모양을 형상화 한 것으로‘기름’의 한 특성인‘불이 붙다’는 관념을 나타낸 것이며, 갑골문2 자형은 뒤집어진 由와 水[流 ; 흐름]의 합자로 여기서의 由는‘축(軸)’에서 소릿값을 빌려와‘축축하다’의 뜻입니다. 즉‘축축한 물[흐름]’에서‘기름’의 뜻을 나타냅니다. 전문은 이에 따르고 있습니다.
‘축 쳐지다’에서‘축’은‘물건 따위가 아래로 늘어지거나 처진 모양’의 뜻이며, ‘축축’은‘물기가 있어 젖은 듯하다’, ‘물건 따위가 아래로 자꾸 늘어지거나 처진 모양’의 의미로 다 쓰이는데, 이는‘축’을‘겔(콜로이드 용액이 일정한 농도 이상으로 진해져서 튼튼한 세망조직을 만들어 굳어진 것)’이나‘젤(용액 속의 콜로이드 입자가 유동성을 잃고 약간의 탄성과 견고성을 가진 고체나 반고체의 상태로 굳어진 물질)’의 어기로 본 것입니다.
石油(석유), 燈油(등유), 輕油(경유), 揮發油(휘발유) 등에서 油가‘기름’의 뜻입니다.
紬 명주 주
축축한[기름진] 실 ; 명주

紬의 전문
紬는 糸와 由의 합자이며, ‘축축한[/기름진] 실’에서‘명주(明紬)’의 유난히 윤기 있게 반들거리는 느낌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이에 해당하는 별도의 배달말이 있는 것으로 추정합니다.
柚 유자 유/바디 축
축축한[기름진] 과일 ; 유자
축이 되는 틀 ; 바디

柚의 전문
柚는 木과 由의 합자이며, ‘축축한[/기름진] 과일’로‘유자(柚子)’의 과육이 잼이나 양갱 등의 원료로 쓰임을 나타냅니다. 또 由의‘축’에서‘축이 되는 틀’로‘바디(/베틀이나 방직기, 가마니틀 따위에 딸린 기구의 하나. 대오리, 나무, 쇠 따위로 만들어 베 또는 가마니의 날에 씨를 쳐서 짜는 구실을 한다)’의 뜻도 나타냅니다.
宙 집 주
축

宙의 갑골문

宙의 전문
宙의 갑골문은 가로로 누운 工과 由의 합자입니다. 工은‘품(/넓이)’의 뜻을 나타내며, 由[축]로 가로로서의 넓이[품]가 아니라, 종축(縱軸)으로서의 공간(空間)의 뜻을 나타냅니다.
상고대 배달말에서 종축으로서의 무한한 공간을‘축’이라고 했던 것으로 추론합니다.
宇宙(우주)에서 宙가‘축’의 뜻입니다.
笛 피리 적
대나무 축 ; 피리

笛의 전문
笛은 竹과 由의 합자이며, ‘대나무로 된 축’이라는 것에서‘피리(/속이 빈 대에 구멍을 뚫고 불어서 소리를 내는 악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의 뜻을 나타냅니다.
汽笛(기적), 警笛(경적), 鼓笛隊(고적대), 萬波息笛(만파식적) 등에서 笛이‘피리’의 뜻입니다.
舳 고물 축/이물 유
배의 축 ; 이물, 고물

舳의 전문
舳는 舟와 由의 합자이며, ‘배의 축’에서‘이물(/배의 앞부분), 고물(/배의 뒷부분)’의 뜻을 나타냅니다.
岫 산굴 수
산의 축 ; 동굴

岫의 주문

岫의 전문
岫은 山과 由의 합자이며, ‘산의 축’으로 굴곡 없이 길게 뚫리듯이 난 굴로‘동굴’의 뜻을 나타내며, 이에 해당하는 별도의 배달말이 있었던 것으로 추론합니다.
邮 우편 우
축이 되는 읍 ;

邮의 전문
邮는 由와 邑의 합자이며, ‘축이 되는 읍’으로 자연적으로 생겨난 읍(邑)이 아니라, 일정한 거리별로 설치하여 둔 관청(官廳)의 뜻을 나타내며, 이로부터‘우편국(郵便局)’의 훈(訓)을 나타냅니다.
鼬 족제비 유
축 같은 쥐 ; 족제비

鼬의 전문
鼬는 鼠와 由의 합자이며, ‘축 같은 모양의 쥐’로‘족제비’의 가늘고 긴 몸통과 이에 이어진 꼬리의 모양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胄 자손 주
닮은 축 ; 맏이

胄의 금문

胄의 전문
胄의 금문은 冑가 통용된 글자이며, 전문은 由와 肉[肖(닮을 초)의 축약]의 합자입니다. ‘닮은 축’에서‘맏이’의 뜻을 나타냅니다. 여기서의‘축’이란‘일정한 특성에 따라 나누어지는 부류’의 뜻입니다. ‘젊은 축, 늙은 축’의‘축’이 그 예입니다.
冑孫(주손), 冑胤(주윤), 冑裔(주예) 등에서 冑가‘맏이’의 뜻입니다.
冑 투구 주
축이 있는 쓰개 ; 투구

冑의 금문

冑의 전문
冑의 금문은 특별한 장식이 있는 모자의 아래에 目이 있는 모양인데, 이 특별한 장식이‘축[①]’모양으로, ‘투구(/군인이 전쟁 때 갑옷과 함께 갖추어 쓰던, 쇠로 만든 모자)’의 모양을 본뜬 글자이며, 전문은 由[축]와 冃(쓰개 모)의 합자로 변경되었습니다. 상고대 배달말에서‘축’이란‘툭 튀어나온 돌기’의 어감을 가졌던 것입니다.
甲冑(갑주 ; 갑옷과 투구를 아울러 이르는 말), 鎧胄(개주) 등에서 冑가‘투구’의 뜻입니다.
苖 참소리쟁이 적
축이 있는 풀 ; 소루쟁이, 참소리쟁이

苖의 전문
苖은 艹와 由의 합자이며, ‘축이 있는 풀’로‘소루쟁이, 참소리쟁이’등의 뜻을 나타냅니다. 여기서의‘축’이란 식물의 열매가 다닥다닥 붙어서 축을 이룸을 말합니다.
怞 근심할 유
축축한 마음 ; 칙칙하다, 꿉꿉하다

怞의 전문
怞는 心과 由의 합자이며, ‘축축한 마음’에서‘칙칙하다, 꿉꿉하다’의 뜻을 나타냅니다.
迪 나아갈 적
축축 나아가다 ; 죽죽/쭉쭉

迪의 전문
迪는 辵[걷는 동작]과 由의 합자이며, 由의‘축’에서 소릿값을 빌려와‘축축 나아가다’로‘죽죽/쭉쭉’의 의태어를 나타냅니다.
㣙 걷는모양 적
축축 행하다 ; 죽죽/쭉쭉

㣙의 전문
㣙는 彳[行(다닐 행)의 축약]과 由의 합자이며, 由의‘축’에서 소릿값을 빌려와‘축축 행하다’에서‘죽죽/쭉쭉’의 어기를 나타냅니다.
䛆 빌 주
추근추근하다

䛆의 전문
䛆는 言[속에 든 감정을 드러내다, 나타내다]과 由의 합자이며, 由의‘축’에서‘추근추근하다(/성질이나 태도가 검질기고 끈덕지다)’의 뜻을 나타냅니다.
설문(說文)에는‘詶也[비는 것이다]’라고 되어 있는데, ‘추근추근하다’에 대한 중국어식의 의역 풀이입니다.
妯 동서 축/두근거릴 축
축이 되는 여자 ; 동서
축축이는 몸짓 ; 초근초근, 추근추근

妯의 전문
妯는 女와 由의 합자이며, ‘축이 되는 여자’에서‘동서(同壻)’의 뜻을 나타냅니다. 또 女가‘몸짓[姿(모양 자)의 축약]’으로 쓰일 경우에는 彳아나 走처럼 직접적인 움직임은 없는 상태의 태도나 자세를 나타내는데, 由의‘축’과 더하여, ‘초근초근, 추근추근(/성질이나 태도가 검질기고 끈덕진 모양)’의 뜻을 나타냅니다.
설문(說文)에는‘動也[움직이는 것이다]’라고 되어 있는데, 이는‘초근초근, 추근추근’에 대한 중국어가 없기에‘動[움직이는 모양]’으로 풀이한 것입니다.
㽕 순 유/넘어진나무에서순날 유/산굴 유/움틀 유
說文 ; 木生條也

甹의 전문
첫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