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낡은 우리 집 고쳐 살아요" 서울시 '집수리지원센터' 개소
- 전체 주거지 약 1/3인 저층주거지 보편적 집수리 지원… '전국 최초’
- 찾아가는 주택진단, 공구 임대, 주민 아카데미, 업체정보 제공 등 4대 서비스
- 올해 6개소 무료 시범운영 → '17년 25개소 → '19년 100개소 이상 확대
□ 서울 시내 전체 주거지의 약 1/3을 차지하는 저층주거지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주택 진단, 전동드릴 같은 공구 임대는 물론 사용법 안내, 현장실습 등 집수리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집수리지원센터' 6개소가 7일(수) 전국 최초로 문을 연다.
○ 시 전체면적(606㎢) 중 주거지는 313㎢이고, 이 가운데 아파트, 도로, 공원 및 뉴타운·재개발구역을 제외한 111㎢가 저층주거지(4층 이하)다. 이중 20년 이상 된 주택이 72%에 이를 정도로 노후화가 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 '집수리지원센터'는 전면철거 대신 지역별 맞춤형 재생과 개별주택에 대한 집수리를 지원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시가 지난 4월 발표한 「주거재생정책 실행방안」의 하나다. 노후된 저층주거지에 대한 집수리를 지원함으로써 무조건 허물고 새로 짓는 것이 아닌 집을 고쳐서 오래 쓰는 문화를 만들어나가는 것이 목표다.
○ '집수리 지원센터'는 건축법상 용어인 '주택관리지원센터'를 시민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바꾼 것이다.
□ 6개소가 문을 여는 곳은 ▴종로구 창신숭인 도시재생사업구역 ▴구로구 가리봉동 도시재생사업구역 ▴용산구 해방촌 도시재생사업구역 ▴성북구 장위동 도시재생사업구역 ▴은평구 산새마을 주거환경관리구역 ▴금천구 시흥동 주거환경관리구역이다.
○ 시범운영 대상지 6개소는 도시재생활성화지역과 주거환경관리사업구역 가운데 선정됐으며, 시는 내년 상반기까지 시범운영하며 보완사항을 발굴하고 개선해나간다는 계획이다.
구분
종로구 창신숭인
구로구 가리봉동
용산구 해방촌
성북구 장위동
은평구 산새마을
금천구 시흥동
유형
도시재생사업구역
도시재생사업구역
도시재생사업구역
도시재생사업구역
주거환경관리구역
주거환경관리구역
현장
사진
현장지원센터
현장소통마당
현장지원센터
구역 내 유휴점포
공동이용시설
공동이용시설
□ 서울시는 올해 6개소를 시범운영하는 것을 시작으로, '17년 상반기까지 25개소, '19년에는 100개소 이상 설치해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시범운영 기간 동안에는 모든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 '집수리지원센터'는 ①찾아가는 주택진단 서비스 ②집수리 관련 각종 공구 임대 ③찾아가는 주민 아카데미 ④집수리업체 관련 정보 등 4개 서비스를 중심으로 운영된다.
① 찾아가는 주택진단 서비스 : 집수리를 희망하는 시민이 온‧오프라인으로 신청하면 전문 상담사가 직접 찾아가서 주택 전반에 대해 진단 후 어느 부분에 대한 수리가 필요한지 체크리스트를 작성해준다. 상담사는 집수리 관련 사회적기업, 마을기업의 실무인력과 해당 관내에서 활동하는 건축사로 구성되며, 비상주로 주 2일 상담 예정이다.
② 집수리 관련 각종 공구 임대 : 시민 누구나 스스로 집수리를 할 수 있도록 자주 사용하지는 않거나 개별적으로 구입하기 부담스러운 전동드릴, 공구셋트, 사다리 등 13개 품목 43종을 빌려준다. (공구 리스트 붙임자료 참조)
③ 찾아가는 주민 아카데미 : 주택 유지‧관리와 관련해 서울시와 중앙정부가 운영 중인 각종 지원제도를 알기 쉽게 정리해 맞춤형으로 알려주고, 공구 사용법 안내 및 현장실습도 실시할 예정이다.
④ 집수리 업체 관련 정보 : 인근에 위치한 집수리 업체의 위치, 업종, 공사비 등 각종 정보를 현재 구축 중인 '집수리 종합정보시스템(홈페이지)'와 연계해 '16년 상반기부터 제공할 계획이다.
<지난 4월부터 개별주택 집수리 보편적 지원을 위한 4대 지원방안 추진 중>
□ 한편, 서울시는 지난 4월 발표한 「주거재생정책 실행방안」 4대 지원방안(▴주택 신축‧개량 공사비 저리융자지원 ▴집수리 지원센터 설치 ▴집수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집수리 전문업체 육성) 가운데 주택 신축‧개량 공사비 저리융자 지원을 이미 시행 중이다.
○ 공사 금액의 80% 이내에서 최대 9천만 원까지 5년 균등분할 상환 조건으로 지원하고 연 2%의 금리를 시가 부담하는 것으로, 본격 시행에 앞서 시는 우리은행과 지난 2월 협약을 체결했다.
○ 집수리 종합정보시스템(홈페이지)은 집수리가 필요한 시민과 전문업체 모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집수리 관련 온라인 허브로, 내년 초부터 이용 가능하도록 준비 중이다. 이곳을 통해 우수 집수리 사례를 공유하고 우수 업체는 시가 홍보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저층주거지 집수리 공공지원은 오랜 기간 살아온 정든 내 집에서 원하는 대로 더 오래 살 수 있도록 도와드리는 것”이라며 “노후된 주택을 무조건 철거하고 새로 짓는 것이 아니라 고쳐서 오래 사는 문화를 만들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따로붙임 1) 집수리 지원센터 세부 운영계획
2) 집수리 지원센터 공구 리스트
<따로붙임 1>
집수리 지원센터 시범사업 세부 운영계획
· 대 상 지 : 주거지 재생사업 구역 6개소 설치
※ 도시재생활성화구역 4개소(창신숭인, 가리봉, 해방촌, 장위동), 주거환경관리구역 2개소(산새마을, 시흥동)
· 장 소 : 도시재생지원센터, 공동이용시설 또는 구역 내 유휴시설에 설치
· 주요 제공 서비스
연번
구분
내용
방법
비고
1
찾아가는 주택진단 서비스
현황 진단, 공사 범위 산출
(체크리스트 작성)
상담사 파견(건축사+실무인력)
※ 방문 또는 온라인 접수
2
집수리 관련 각종 공구 임대
전동드릴, 사다리, 망치 등
센터 직원 관리
3
집수리업체 관련 정보 제공
관할 구역 내 집수리업체 현황 및 개략 공사비 등
상담사 안내 (`16년 하반기~)
홈페이지
구축 연계
4
교육 프로그램 제공 및 홍보
집수리 등 유지‧관리 방법, 지원제도 홍보, 공구 사용방법 안내 등
전문가 파견 교육, 홍보 리플릿
제작 및 배포
· 운영범위 : 1개 동 단위 기본 (구역 특성에 따라 유동적으로 설정)
· 운영시간
- 찾아가는 진단 서비스 : 주 2일 원칙, 오전 또는 오후시간대 (비상주)
- 각종 공구 임대 : 주 5일(9:00~18:00)
- 집수리업체 정보제공 : 수시(`16년 ~)
- 교육프로그램 운영 : 수시(주민 신청 시)
· 센터 위치
연번
구 분
위 치
비 고
1
종로구 창신‧숭인
지봉로 5길5 6층 (창신동 237)
현장지원센터
2
구로구 가리봉동
우마1가길 19 (가리봉동 111-5번지)
현장소통마당
3
용산구 용산2가동(해방촌)
신흥로 95-17 (용산2가동 1-485)
현장지원센터
4
성북구 장위동
장월로23길 32 (장위동 234-52)
유휴점포
5
은평구 신사동(산새마을)
가좌로11나길 19 (신사2동 237번지)
공동이용시설
6
금천구 시흥동(박미사랑마을)
시흥대로12길 82 4층 (시흥3동 957-11)
공동이용시설
<따로붙임 2>
집수리 지원센터 시범사업 공구 리스트
연번
구분
규격
수량
비고
1
콘크리트 드릴(충전)
18V/4Ah
4
DDH-1801L-2S
2
드라이버 드릴(충전)
18V/4Ah
4
DD-1801L-2S
3
임펙 드릴(충전)
18V/5Ah
1
ID18BL
4
콘크리트 해머드릴(유선)
16mm
4
DMV-16K
5
드릴용 비트
33pcs
16
6
공구세트
18pcs
5
7
공구세트
25pcs
5
8
목공용 톱
TAJIMA / GN-265
5
9
사다리
A형
1
10
줄자
5.5m
5
11
전기 닐선(롤선)
30m
1
12
삽
막삽
2
각삽
1
13
낫(전지가위)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