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난설헌 한시
8. 送荷谷謫甲山(송하곡적갑산) : 갑산으로 귀양가는 오라버니 하곡에게 ①
☞ 遠謫甲山客(원적갑산객) ☜
咸原行色忙(함원행색망)
臣同賈太傅(신동고태부)
主豈楚懷王(주기초회왕)
河水平秋岸(하수평추안)
關雲欲夕陽(관운욕석양)
霜楓吹雁去(상풍취안거)
中斷不成行(중단불성행)
시구 풀이
멀리 갑산으로 귀양가는 나그네 우리 오빠
한자풀이
遠 원 : 멀다
謫 적 : 귀양가다
甲 갑 : 첫 번째 천간
山 산 : 뫼
客 객 : 나그네
허난설헌 한시
8. 送荷谷謫甲山(송하곡적갑산) : 갑산으로 귀양가는 오라버니 하곡에게 ②
遠謫甲山客(원적갑산객)
☞ 咸原行色忙(함원행색망) ☜
臣同賈太傅(신동고태부)
主豈楚懷王(주기초회왕)
河水平秋岸(하수평추안)
關雲欲夕陽(관운욕석양)
霜楓吹雁去(상풍취안거)
中斷不成行(중단불성행)
시구 풀이
함경도 고원 길에 행차가 바쁘리라
한자풀이
咸 함 : 다
原 원 : 근원
行 행 : 다니다
色 색 : 색
忙 망 : 바쁘다
허난설헌 한시
8. 送荷谷謫甲山(송하곡적갑산) : 갑산으로 귀양가는 오라버니 하곡에게 ③
遠謫甲山客(원적갑산객)
咸原行色忙(함원행색망)
☞ 臣同賈太傅(신동고태부) ☜
主豈楚懷王(주기초회왕)
河水平秋岸(하수평추안)
關雲欲夕陽(관운욕석양)
霜楓吹雁去(상풍취안거)
中斷不成行(중단불성행)
시구 풀이
귀양가는 신하는 충신 가태부와 같다지만
한자풀이
臣 신 : 신하
同 동 : 같다
賈 고 : 앉은 장사(값 가)
太 태 : 크다
傅 전 : 전하다
풀이 : 고태부, 가태부는 직언을 하다가 유배된 충신으로 둘째 오라버니를 의미한다.
허난설헌 한시
8. 送荷谷謫甲山(송하곡적갑산) : 갑산으로 귀양가는 오라버니 하곡에게 ④
遠謫甲山客(원적갑산객)
咸原行色忙(함원행색망)
臣同賈太傅(신동고태부)
☞ 主豈楚懷王(주기초회왕) ☜
河水平秋岸(하수평추안)
關雲欲夕陽(관운욕석양)
霜楓吹雁去(상풍취안거)
中斷不成行(중단불성행)
시구 풀이
귀양보내는 입금이야 어찌 어리석은 초회왕이랴
한자풀이
主 주 : 주인
豈 기 : 어찌
楚 초 : 모형, 땅이름
懷 회 : 품다
王 왕 : 왕
풀이 : 초회왕 : 초나라의 회왕(초나라의 처음이자 마지막 황제)
허난설헌 한시
8. 送荷谷謫甲山(송하곡적갑산) : 갑산으로 귀양가는 오라버니 하곡에게 ⑤
遠謫甲山客(원적갑산객)
咸原行色忙(함원행색망)
臣同賈太傅(신동고태부)
主豈楚懷王(주기초회왕)
☞ 河水平秋岸(하수평추안) ☜
關雲欲夕陽(관운욕석양)
霜楓吹雁去(상풍취안거)
中斷不成行(중단불성행)
시구 풀이
강물은 가을 강 언덕에 잔잔하고
한자풀이
河 하 : 물
水 수 : 물
平 평 : 평평하다
秋 추 : 가을
岸 안 : 언덕
허난설헌 한시
8. 送荷谷謫甲山(송하곡적갑산) : 갑산으로 귀양가는 오라버니 하곡에게 ⑥
遠謫甲山客(원적갑산객)
咸原行色忙(함원행색망)
臣同賈太傅(신동고태부)
主豈楚懷王(주기초회왕)
河水平秋岸(하수평추안)
☞ 關雲欲夕陽(관운욕석양) ☜
霜楓吹雁去(상풍취안거)
中斷不成行(중단불성행)
시구 풀이
변방 함경도의 산 구름 석양에 물들겠지
한자풀이
關 관 : 빗장(국경의 요충지)
雲 운 : 구름
欲 욕 : 하고자 하다
夕 석 : 저녁
陽 양 : 볕
허난설헌 한시
8. 送荷谷謫甲山(송하곡적갑산) : 갑산으로 귀양가는 오라버니 하곡에게 ⑦
遠謫甲山客(원적갑산객)
咸原行色忙(함원행색망)
臣同賈太傅(신동고태부)
主豈楚懷王(주기초회왕)
河水平秋岸(하수평추안)
關雲欲夕陽(관운욕석양)
☞ 霜楓吹雁去(상풍취안거) ☜
中斷不成行(중단불성행)
시구 풀이
서릿발 찬 바람에 기러기 나는데
한자풀이
霜 상 : 서리
楓 풍 : 단풍나무
吹 취 : 불다, 바람
雁 안 : 기러기
去 거 : 가다
허난설헌 한시
8. 送荷谷謫甲山(송하곡적갑산) : 갑산으로 귀양가는 오라버니 하곡에게 ⑧
遠謫甲山客(원적갑산객)
咸原行色忙(함원행색망)
臣同賈太傅(신동고태부)
主豈楚懷王(주기초회왕)
河水平秋岸(하수평추안)
關雲欲夕陽(관운욕석양)
霜楓吹雁去(상풍취안거)
☞ 中斷不成行(중단불성행) ☜
시구 풀이
중간에서 못가고 돌아 왔으면.
한자풀이
中 중 : 가운데
斷 단 : 끊다
不 불 : 아니
成 성 : 이루다
行 행 : 가다
허난설헌 한시
8. 送荷谷謫甲山(송하곡적갑산) : 갑산으로 귀양가는 오라버니 하곡에게 ⑨
遠謫甲山客(원적갑산객)
咸原行色忙(함원행색망)
臣同賈太傅(신동고태부)
主豈楚懷王(주기초회왕)
河水平秋岸(하수평추안)
關雲欲夕陽(관운욕석양)
霜楓吹雁去(상풍취안거)
中斷不成行(중단불성행)
시구 풀이
멀리 갑산으로 귀양가는 나그네 우리 오빠
함경도 고원 길에 행차가 바쁘리라
귀양가는 신하는 충신 가태부와 같다지만
귀양보내는 입금이야 어찌 어리석은 초회왕이랴
강물은 가을 강 언덕에 잔잔하고
변방 함경도의 산 구름 석양에 물들겠지
서릿발 찬 바람에 기러기 나는데
중간에서 못가고 돌아 왔으면.
풀이 : 초회왕 : 초나라의 회왕(초나라의 처음이자 마지막 황제)
허난설헌 한시
9. 夜夜曲(야야곡): 깊은 밤의 노래 ①
☞ 玉淚微微燈耿耿(옥루미미등경경) ☜
羅瑋寒幅秋宵永(라위한폭추소영)
邊衣裁罷剪刀冷(변의재파전도냉)
滿窓風動芭蕉影(만창풍동파초영)
시구풀이
옥 같은 눈물 찔금찔금 , 등잔불 깜박깜박
한자풀이
玉 옥 : 구슬
淚 루 : 눈물
微 미 : 작다
微 미 : 작다
燈 등 : 등불
耿 경 : 빛나다
耿 경 : 빛나다
허난설헌 한시
9. 夜夜曲(야야곡): 깊은 밤의 노래 ②
玉淚微微燈耿耿(옥루미미등경경)
☞ 羅瑋寒幅秋宵永(라위한폭추소영) ☜
邊衣裁罷剪刀冷(변의재파전도냉)
滿窓風動芭蕉影(만창풍동파초영)
시구풀이
비단 휘장 싸늘하고 가을밤은 길기도 하다
한자풀이
羅 라 : 새그물
瑋 위 : 옥이름, 아름답다
寒 한 : 차다
幅 폭 : 너비
秋 추 : 가을
宵 소 : 밤, 작다
永 영 : 길다
허난설헌 한시
9. 夜夜曲(야야곡): 깊은 밤의 노래 ③
玉淚微微燈耿耿(옥루미미등경경)
羅瑋寒幅秋宵永(라위한폭추소영)
☞ 邊衣裁罷剪刀冷(변의재파전도냉) ☜
滿窓風動芭蕉影(만창풍동파초영)
시구풀이
변방에 보낼 옷 다 짓고 나니, 싸늘해진 가위
한자풀이
邊 변 : 가장자리
衣 의 ; 옷
裁 재 : 마르다, 옷을 짓다
罷 파 : 방면하다, 그만두다
剪 전 : 자르다, 가위
刀 도 : 칼
冷 냉 : 차다
허난설헌 한시
9. 夜夜曲(야야곡): 깊은 밤의 노래 ④
玉淚微微燈耿耿(옥루미미등경경)
羅瑋寒幅秋宵永(라위한폭추소영)
邊衣裁罷剪刀冷(변의재파전도냉)
☞ 滿窓風動芭蕉影(만창풍동파초영) ☜
시구풀이
바람 따라 움직이는 파초 그림자만이 창을 채우네.
한자풀이
滿 만 : 차다
窓 창 : 창문
風 풍 : 바람
動 동 : 움직이다
芭 파 : 파초, 향기풀이름
蕉 초 : 파초
影 영 ; 그림자
허난설헌 한시
9. 夜夜曲(야야곡): 깊은 밤의 노래 ⑤
玉淚微微燈耿耿(옥루미미등경경)
羅瑋寒幅秋宵永(라위한폭추소영)
邊衣裁罷剪刀冷(변의재파전도냉)
滿窓風動芭蕉影(만창풍동파초영)
시구 풀이 (시 전체)
옥 같은 눈물 찔금찔금 , 등잔불 깜박깜박
비단 휘장 싸늘하고 가을밤은 길기도 하다
변방에 보낼 옷 다 짓고 나니, 싸늘해진 가위
바람 따라 움직이는 파초 그림자만이 창을 채우네.
허난설헌 한시
10. 강남곡(江南曲) : 강남에서 부르는 노래 ①
☞ 人言江南樂(인언강남낙) ☜
我見江南愁(아견강남수)
年年沙浦口(년년사포구)
腸斷望歸舟(장단망귀주)
시구 풀이
사람들 강남을 즐거운 곳이라 하지만
한자풀이
人 인 : 사람
言 언 : 말씀
江 강 : 물
南 남 : 남녘
樂 락 : 즐겁다
허난설헌 한시
10. 강남곡(江南曲) : 강남에서 부르는 노래 ②
人言江南樂(인언강남낙)
☞ 我見江南愁(아견강남수) ☜
年年沙浦口(년년사포구)
腸斷望歸舟(장단망귀주)
시구 풀이
나는 강남의 근심을 보았습니다
한자풀이
我 아 : 나
見 견 : 보다
江 강 : 물
南 남 : 남몈
愁 수 : 금심
허난설헌 한시
10. 강남곡(江南曲) : 강남에서 부르는 노래 ③
人言江南樂(인언강남낙)
我見江南愁(아견강남수)
☞ 年年沙浦口(년년사포구) ☜
腸斷望歸舟(장단망귀주)
시구 풀이
해마다 모래벌 포구에서
한자풀이
年 년 : 해
年 년 : 해
沙 사 : 모래
浦 포 : 물가
口 구 : 입
허난설헌 한시
10. 강남곡(江南曲) : 강남에서 부르는 노래 ④
人言江南樂(인언강남낙)
我見江南愁(아견강남수)
年年沙浦口(년년사포구)
☞ 腸斷望歸舟(장단망귀주) ☜
시구 풀이
단장의 이별하고 고향 가는 배를 보았답니다.
한자풀이
腸 장 : 창자
斷 단 : 끊다
望 망 : 바라다
歸 귀 : 돌아오다
舟 주 : 배
허난설헌 한시
10. 강남곡(江南曲) : 강남에서 부르는 노래 ⑤
人言江南樂(인언강남낙)
我見江南愁(아견강남수)
年年沙浦口(년년사포구)
腸斷望歸舟(장단망귀주)
시구 풀이 (시 전체)
사람들 강남을 즐거운 곳이라 하지만
나는 강남의 근심을 보았습니다
해마다 모래벌 포구에서
단장의 이별하고 고향 가는 배를 보았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