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우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충남대학교 제55대 선율 총학생회입니다.
학생 중심의 충남대학교를 만들기 위해 추모 분향소 시위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 일정 : 5월 7일(화) ~ 5월 10일(금) 12:00 ~ 17:50
* 장소 : 대학본부 앞 잔디 광장
2만 학우 여러분들의 목소리가 대학본부에 닿을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카드뉴스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라며, 이외에 궁금한 점은 DM이나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를 통해 문의 바랍니다.
2024년 5월
충남대 총학생회가 시위를 예고했네요.
요즘 충남대가 무슨 문제가 있나 싶기도 하고 해서 찾아 봤어요.
예전에 정심화국제문화회관이라는 이름에서 정심화라는 이름을 빼자는 어처구니없는 총장도 있었던 충남대라서 모슨 또 어이없는 사건이 터진건가 싶기도해서 총장님이 누군지 찾아 봤는대요.
총장 인사말
1952년 설립되어 개교 72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충남대학교는 창의, 개발, 봉사의 교육이념 아래 국가거점대학교로서 학문 발전을 선도하고 미래 사회를 선도할 우수한 인재를 육성하며 지역사회와 국가, 나아가 인류를 위한 연구 개발에 기여해 왔습니다.
충남대학교는 대전·세종·충남지역의 지역거점국립대학교로서 대덕연구개발특구,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내포신도시를 아우르는 초광역 메가 캠퍼스를 조성하고 있으며,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충남대학교는 지난 72년간의 성장을 바탕으로 미래 사회를 선도할 더 강한 대학, 미래 가치를 창출하는 혁신 대학으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창의적 자산을 기반으로 가치 창출을 선도하는 대학교,
학생 중심의 맞춤형 교육을 통한 STRONG 인재양성 대학교,
Mega Campus 구축으로 지역의 혁신 성장을 선도하는 대학교,
대학-지역-국가 동반성장을 위한 나눔과 공유 가치를 창출하는 대학교,
구성원 모두가 건강하고 행복한 대학교,
The STRONG CNU, Mega University.
미래 사회를 선도할 강한 대학교, 충남대학교입니다.
충남대학교 총장 김정겸
김정겸
충남대학교 총장 약력 프로필
1963년 부여 출생
1988년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졸업
1990년 석사학위 논문 컴퓨터 補助授業(보조수업)에 있어서 피이드백의 效果(효과)에 관한 硏究(연구)
1990년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육학 석사 졸업
1997년 박사학위 논문 멀티미디어 CAI 환경에서 상호작용 유형과 학습자 특성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
1997년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육학 박사 수료
1997년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 위촉
2001년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 마감
2001년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임용
2007년 미국 인디애나대학교 연구교수 출강
2009년 미국 인디애나대학교 연구교수 마감
2010년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이사
2012년 대학교육개발원 부원장 취임
2013년 대학교육개발원 부원장 퇴임
2013년 기초교양교육원 대학교육개발센터 센터장 취임
2013년 기초교양교육원 원장 취임
2014년 기초교양교육원 대학교육개발센터 센터장 퇴임
2014년 기초교양교육원 원장 퇴임
2015년 유공교원 표창
2015년 대학구조개혁평가 위원 위촉 (2016년 종료)
2015년 한국산학기술학회 우수 논문상 수상
2015년 저역서 스마트 시대의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출간 도서출판 학지사
2016년 충남대학교 교무처 처장 취임
2016년 학부교육선도대학육성사업단 단장 취임
2016년 BK21 Plus 세계시민교육 전문인력 양성사업단 단장 취임
2016년 충남대학교 교무처 처장 퇴임
2016년 교육부 자체평가 위원
2016년 충남대학교 총동문회 부회장
2016년 전국교무처장협의회 회장
2017년 대학강의 평가도구 개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7년 The effects of teaching image, communal sense, and class environment on academic procrastination in a university e-learning setting , Information(Japan)
2017년 중등 예비교사와 현장교사의 세계시민교육 교수효능감과 관련된 변인 연구 글로벌교육연구
2017년 예비수학교사 창의・인성 역량 강화를 위한 교과교육학 강의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017년 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Based Instruction in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of Preliminary Teachers, Journal of Advanced Research in Dynamical and Control Systems
2017년 문제행동유아의 행동원인에 대한 부모-교사의 인식수준과 교사의 지도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8년 국립대학법인평가(서울대학교) 단장 취임
2018년 대학역량진단평가 위원 (2019년 종료)
2018년 AI융합교육연구소 소장 취임
2018년 중․고등학생 창의핵심역량 진단도구의 성별과 학교급별에 따른 구인동등성 검증 및 잠재평균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8년 초・중등학생을 위한 디자인적 사고기반의 STEAM교육프로그램의 효과 공학교육연구
2018년 중․고등학생 창의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18년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부회장 취임
2018년 한국창업교육학회 부회장 취임
2019년 학부교육선도대학육성사업단 단장 퇴임
2019년 연구논문 숲체험활동의 교육적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9년 한국교육학회 부회장 취임
2019년 육군교육사령부 자문위원 위촉
2019년 한국교육공학회 부회장 취임
2020년 한국교육공학회 부회장 퇴임
2020년 저역서 창업교육론 출간 도서출판 동문사
2020년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소장 취임
2020년 Application of Human Performance Technology(HPT) Standards for School Teachers in Korea, Asia-Pacific Collaborative education Journal
2020년 BK21 Plus 세계시민교육 전문인력 양성사업단 단장 퇴임
2021년 국립대학법인평가(서울대학교) 단장 퇴임
2021년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소장 퇴임
2021년 How do teachers’ systematic class goal-setting activities impact their effective performance? , Asia-Pacific Collaborative education Journal
2021년 BK Four21 세계시민교육 미래인재양성사업단 단장 취임
2021년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자체평가 위원 위촉
2021년 연구논문 COVID-19 상황에서 대학 온라인 수업의 쟁점과 해결방안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021년 연구논문 COVID-19 상황에서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경험 열린교육연구
2021년 대학 원격수업 평가준거 개발 연구를 위한 문헌 고찰 열린교육연구
2021년 학습목표지향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습민첩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1년 연구논문 대학생의 컴퓨터적 사고력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1년 연구논문 자유선택놀이 활동에서 유아 또래 관계 탐색을 위한 위치데이터 활용 방안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022년 대전형 디지털 교육의 방향 탐색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022년 교육논문 K-MOOC 강좌에서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이러닝효능감, 교수실재감,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향의 관계 규명 교육공학연구
2022년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제1기 지방교육재정공시심의위원회 위원장 취임
2022년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제6기 지방교육재정계획심의위원회 위원 위촉
2022년 연구논문 원예활동 환경교육이 유아의 환경감수성과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022년 연구논문 중학교 기술․가정교과 식생활 단원에서 창의핵심역량을 적용한 PBL수업에 대한 형성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2년 대전교육정책연구 자문위원 위촉
2023년 한국교육공학회 회장 취임
2023년 제20대 윤석열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 사회문화분과 분과위원 위촉
2023년 대한민국 시도지사협의회 지방교육사회자문위원회 위원 위촉
2024년 제20대 충남대학교 총장 취임 (04월)
2028년 퇴임 예정 (03월)
사범대학 교육학과 김정겸 교수
2024년 4월 1일 제20대 충남대학교 총장으로 취임
취임식 당일 김정겸 총장은 오전 9시30분 신임 보직자들과 함께 대전 현충원을 방문하여 참배했는대요.
당일 김정겸 총장은 대학 구성원에 보낸 취임 인사말을 통해 “충남대의 발전을 위해서는 메가 캠퍼스 구축 및 특성화, 기초학문 분야 활성화 및 역할 확대, 세계적인 연구성과 창출, 혁신적인 교육모델 실천, 지역 성장동력 발굴과 사회공헌, 글로벌 협력 확대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역설했죠. 그리고 대학 미래에 대해서는 “인문·사회·예술·체육과 자연과학, 공학, 농학, 의약학이 서로 어우러진 연구 잘하고, 구성원이 행복한 미래사회를 선도할 강한 대학을 만드는 데 앞장서겠다”고 각오를 밝혔어요.
겉으로는 멀쩡해 보이는 충남대 총장이고,
심지어 충남대 전구성원의 투표를 통해 직선제로 뽑인 총장이더라구요.
2023년 11월 23일 충남대학교의 모든 구성원에 의해 직선제로 선출된건데 제20대 충남대학교 총장 선거에서 1차 투표 당시 34.76%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고, 다시 치뤄진 2차 결선 투표에서 52.88%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하여 제20대 충남대학교 총장임용후보자로 당선된 사람이네요. 작년 선거 당시 공약을 보면 ‘책임, 소통, 변화 이끄는 준비된 총장’이라는 가치를 내걸고 주요 공약으로 첫째 연간 국가재정사업 1200억원 추가 유치 둘째 연간 연구비 등 500억원 추가 확보 셋째 학생 및 취업 중심 맞춤형 교육 모델 완성 넷째 인문학 소양과 리더십을 갖춘 STRONG 인재양성 다섯째 지역혁신성장을 위한 메가 캠퍼스 구축 등을 제시해서 당선된거드라구요.
그런데 불행하게도 충남대 구성원 중 최대 규모인 대학생들이 그다지 총장의 소통 스타일과 민주주의에 대해 동의하지 못하는 상황인거 같네요. 아래 2024 충남대 총학생회 요구문을 보면 대략 이해할 수 있을거 같네요.
총학생회 및 중앙운영위원회 요구문
학우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충남대학교 제55대 총학생회장 이찬솔입니다.
기획처장이 글로컬 대학 30 사업 등 학내 주요 현안에 대해 구성원들의 의견을 수렴한다는 명목으로 매주 수요일 11:30~12:30, 대학본부 별관에서‘수요 열린 정책포럼’을 개최한다는 소식을 입수하였습니다. 하지만 총학생회에서 해당 포럼에 대하여 모니터링을 한 결과 대상이 학내 구성원 전체(교수, 직원, 학생 등)임에도 불구하고 포럼에 대하여 어떠한 연락조차 받지 못한 학생들이 대다수였습니다. 이러한 보여주기식 소통에 대하여 총학생회는 학생들의 요구를 전달하고 시위를 예고하는 바입니다.
하나, 소통은 교육의 수요자인 학생이 가장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며, 말이 아닌 행동으로 의지를 보이십시오.
새롭게 임용된 본부는 사업 추진과 관련해 구성원들의 목소리를 듣기 위하여 공청회, 대토론회 그리고 보직자들이 직접 집무실에서 나와 직접 의견을 수렴할 것이라는 약속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앞서 수차례 진행한 총학생회와의 면담에서 추상적인 계획만 내세울 뿐 어떠한 세부 일정도 확답 받지 못하였습니다. 글로컬 사업 본지정 계획서 제출까지 세 달조차 남지 않았습니다. 본부가 내세우고 자부하는 소통은 이런 것입니까? 글로컬 사업의 중요성에 대하여 타 대학 동향, 국정 기조와 같은 외부 요인으로서 갈음하는 것이 아닌 우리 대학 구성원들이 납득할 수 있는 이유를 충분히 제시하고 납득시키십시오.
둘, 거교적 사안에 대한 결정은 학생 중심의 구조가 될 수 있도록 하십시오.
일각에서 본지정과 통합실행계획 제출 전 진행될 구성원 의견 수렴 방식에 대하여 찬반 투표로 진행될 시 총장 선거 반영비율에 준할 수 있다는 소문이 퍼지고 있습니다. 이는 충남대학교의 명운을 좌지우지할 수 있는 사안에 대하여 학생 의견이 묵살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찬반 투표로 계획서 제출 시 학생이 불공정한 반영비율로 인해 피해 보지 않을 것을 약속하십시오.
셋, 현재 우려되는 문제점들에 대한 명확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십시오.
통합 기반 혁신 추진 시 교명, 졸업장 분리, 캠퍼스 이전 문제 등과 같은 학생 피해로서 제기되는 문제점들이 많습니다. 또한 당장 내년부터 실시될 무학과·무전공 관련해서도 해당 내용에 대하여 전혀 전달받지 못한 단과대학이 대다수이며 무전공 입학 신입생들을 위한 시설, 자치기구 등과 같은 인프라도 전혀 마련돼있지 못한 실정입니다. 관련 제반이 전혀 다져있지 못한 지금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과연 지속 가능성이 있는 것입니까?
이 외에도 여러 대책 마련이 필요한 사항들이 많습니다. 총학생회와 중앙운영위원회는 혁신의 필요성은 공감하나 본부의 소통 방식과 추진 방식에 대해서는 전혀 납득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짓밟히고 있는 민주주의를 규탄하기 위한 학생 민주주의 추모 시위를 시작으로 본부에 우리들의 목소리가 닿을 수 있도록 대응하겠습니다.
5월 7일부터 본부의 소통 방식과 절차적 문제를 지적하기 위한 현수막 시위를 시작으로 학생 민주주의 추모 시위를 대학본부 앞에서 진행하겠습니다. 추모 시위는 12:00~17:50까지 진행될 것이며 방명록 작성(서명 시위), 게시판 시위 등을 함께 진행해 현재 학생들의 의견을 사실적 근거를 통해 본부에 전달하겠습니다. 또한 글로컬 사업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거나 관심이 저조한 학우분들을 위해 시위 진행 기간 중 총학생회 자체 제작 리플랫 교부 활동도 병행하겠습니다. 이러한 활동에도 불구하고 본부가 부답으로 일관한다면 시위의 강도를 높여가겠습니다. 자세한 시위 매뉴얼에 대해서는 시위 예고문 및 카드뉴스를 통해 학우분들께서 한눈에 보기 편하시도록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존경하는 2만 학우 여러분, 충남대학교의 명운이 걸린 사안에 대하여 재학생으로서의 권리와 책임을 자각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우리의 뜻에 동참하는 학우분들께선 시위 기간 많은 참여 부탁드리겠습니다.
2024년 4월 25일
충남대학교 제55대 선율 총학생회
충남대학교 제55대 중앙운영위원회
|
첫댓글 직선제로 뽑혔으면 탄핵도 가능하겠네요~
충남대는
옛날부터 사범대 인문대 공과대가 문제였습니다.
특히 그 쪽 단과대 교수들이 총장과 학생처장을 하면 꼭 사단이 나곤 했어요.
민주주의에 대한 이해 수준이 높지 않은 분들이 교수라면서 보직 명찰 달고 학사행정 운영하는걸 보면 어디 초등학교가 더 잘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 때가 많죠.
충대는 공과대 교수들만 아니면 지금보다 2배는 더 내실있게 발전했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