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달성 대구현대미술제
Dalseong Daegu Contemporary Art Festival
경계와 비경계 사이 展
강용면 | 권치규 | 금보성 | 김결수 | 김정민 | 김창환 | 노창환
리ㅁ우 | 손노리 | 어호선 | 윤보경 | 이기철 | 이ㅁ시 | 이이남
이정윤 | 임영규 | 장세록 | 조은필 | 최수남 | 한창규ㅁㅁㅁㅁ
Art Team Wrap | Gleb Dusavitskiy | Liu Pochun
Qian Liang | Robert Harding

강정보 디아크광장 일원
2019. 9. 6(금) ▶ 2019. 10. 4(금)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강정본길 57 | T.053-659-4293
주최
| 주관 
YouTube | https://youtu.be/0Jxmp2ZHdPo

강용면作_응고_3,400x800x1,900mm_스텐, 철골, 엑폭시 유화
예술가의 행위는 그 시대의 산물이고 그 시대의 대변자로 보고 있다! 시대가 요구하는 사회현상의 철학은 빠르게 변하고 있기 때문에 그것을 극복하고 리드하기 위해서는 기존 질서에 대한 부정에서부터 출발한다고 작가는 보고 있다.

권치규作_만월(滿月)_3,500x3,500x450mm_스테인리스 스틸 우레탄도장
친숙한 자연풍경중에서 숲의 이미지를 만월의 형상으로 표현하여 익숙한 대상을 새로운 시각으로 재현한다. 나뭇가지의 프랙탈 구조가 지닌 자연스러움과 원의 기하학적인 구조를 통하여 둥근 달을 이루며, 만월을 통해 각자의 꿈과 소망이 이루어지기를 희망한다.

금보성作_테트라포트_가변설치 8,000x3,000mm_칼라방수포
한글 ㅅ옷. 한자 사람인 ㅅ 모양으로 여러 사람이 함께하면 모든 것을 극복할 수 있고 치유한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테트라포트(Tetrapod)는 전쟁과 지진 난민 질병 분단 민족에게 희망과 평화의 상징이며, 생명과 재산을 지켜주고 함께 이겨낸다는 의미이다.

김결수作_Labor & Effectiveness_3,400x5,000mm_나무, 알루미늄판, 철파이프, LED, 네온
작가는 미학의 본질을 이미지 표층의 껍데기가 아닌 오브제의 심층 혹은 질료적 내면으로부터 발견하려고 끊임없이 시도하는 동양적 선문답(禪問答)에 가까운 조형적 태도로부터 기인하며, 달리 말해 작가의 작품은 ‘오브제의 내면을 재전유하는 지난한 육체적/정신적 노동’으로부터 기인한다고 하겠다.

김정민作_자라는 씨앗_4,000x1,700x3,300mm_합판, 철판, 아크릴도장
배는 우리의 삶의 은유이다. 거대한 배는 목적지를 설정하고 나아가지만 거대한 바다 위에서 그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항해는 달콤하지만은 않다. 배 안을 채운 다양한 형태의 꽃과 식물들은 그 삶을 살아가는 우리들의 모습이다. 곱디고운 꽃과 식물들은 달콤하지만은 삶이라는 항해이지만 결국 그 안에서 따뜻한 의미와 아름다운 의미들을 발견 할 수 있다는 희망을 은유하고 있다.

김창환作_혹등고래 - 자유_가변설치 15,000x20,000mm_스테인리스스틸
선과 선이 만들어 내는 공간은 가상의 공간이다.
작품을 관찰하며, 시선의 위치를 조금씩 다르게 하면, 무수한 공간이 생성, 소멸한다. 그 가상의 공간에서 본인은 희망을 보았고, 고단한 현실을 위안했었다. 혹등고래는 자유롭게 오대양을 누비며 사는 동물이다. 그 혹등고래를 통해 희망을 넘어 자유를 이야기 한다.

노창환作_뱀의 유혹_3,000x350x5,500mm_철, 페인트
작품의 전반적인 재료는 철판을 겹쳐서 뱀의 움직임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정면에서 보면 실루엣이 정해져있는 곡선으로 움직이고 단절된 철판의 압축된 느낌을 전달하고자 한다. 색채는 오방색의 의미로 한국인의 강인한 정신과 의지를 뱀을 통하여 접근해보고자 하였다.

리우作_은해지몽 銀海之夢_5,500x3,100x2,700mm_스테인리스스틸 / Computer parts + Monitor
장자의 호접지몽을 증강현실, 포스트휴먼을 상징하는 은해지몽으로 업그레이드 하였다. 자연과 테크놀로지, 사이보그와 인간 등의 구분, 즉 물物의 경계를 확장하고자 했다.

손노리作_원융圓融_공간내 가변설치 4,000x5,000x4,000mm_5톤 물탱크(플라스틱), 페트병, 조명
네트워크는 그 내부에서 동일한 커뮤니케이션 코드를 공유하는 한, 저마다의 결절(물리적한계성)조차 통합하여 무한히 뻗어나갈 수 있는 개방구조다.
동시에(그것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스위치가 절대적 힘을 가지므로) 네트워킹형태는 권력관계를 역동적으로 다시 조직하는 모순된 영향력이 될 수도 있다.

어호선作_상상의 숲-소나무(松)_각 높이 3,400x1,800mm_스테인레스스틸, 브론즈, 화강석, 우레탄도장, LED조명
‘상상의 숲-소나무(松)’는 우리 전통 민화의 클래식한 아름다운 형상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조형화 한 작품이다. 크기가 다른 작품을 배치하여 시각적 리듬감을 제공하고, 작품 상단부분에는 아름다운 빛이 나와 아이들에게 상상을 자극하고 꿈과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작품 하단부분에 있는 원형의 화강석에서는 상상의 샘이 흘러 사슴이 물을 마시는 이미지를 주어 무한한 상상력을 갈구하는 작가의 내면을 표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