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상속인의 사망으로 인해 피상속인의 재산이 상속인에게 무상이전되는 경우 납부해야 하는 세금을 상속세라고 하며 다른 사람으로부터 아무런 대가없이 재산을 취득하게 되는 경우 증여받은 재산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을 증여세라고 합니다. 상속세나 증여세에 대해 자세히 살펴 보겠습니다. |
|
상속세란? |
|
피상속인의 사망으로 인해 피상속인의 재산이 상속인에게 무상이전되는 경우 납부해야 하는 세금입니다. |
|
상속세 과세대상 |
사망 또는 실종선고된 자연인의 재산 |
상속세 과세방법 |
: 피상속인 전체재산에 대해 상속세 계산후 상속비율대로 세금 부담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roundimg03_01.gif)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roundimg03_02.gif) |
[사례1] 아버지가 돌아가시면서 10억원 상당의 재산을 형에게 6억원, 동생에게 4억원의 재산을 갖도록 유언한 경우 상속세 계산방법은? |
|
형과 동생이 각각 자신이 받은 재산금액에 따라 상속세를 계산하여 납부하는 것이 아니라, 10억원의 상속세를 먼저 계산하고, 형은 6/10, 동생은 4/10으로 나누어 납부합니다. 참고로 이때 형과 동생은 자신이 상속받은 재산가액을 한도로 상속세를 연대하여 납부할 의무가 생깁니다.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roundimg03_03.gif)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roundimg03_04.gif)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arr_bl_03.gif) |
상속순위와 법정 상속비율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arr_or_03.gif) |
원칙적인 상속방법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rednum_01.gif) |
유언상속 : 유언이 있으면 유언에 따라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rednum_02.gif) |
협의상속 : 유언이 없다면 상속인간의 협의에 따라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rednum_03.gif) |
법원의 조정 및 법정상속 : 협의분할이 되지 않으면 민법에 따라 법정상속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arr_or_03.gif) |
법정상속의 경우 상속순위와 상속비율 |
상속순위 |
상속인 |
법정상속비율 |
상속인 |
1순위 |
피상속인의 직계비속(배우자) |
1.5 |
피상속인의 배우자 |
2순위 |
피상속인의 직계비속(배우자) |
1 |
피상속인의 자녀(장남,성별,혼인여부 불문) |
3순위 |
피상속인의 형제, 자매 |
|
|
4순위 |
피상속인의 4촌 이내의 방계혈족 |
|
|
|
|
※ |
선순위 상속인이 있으면 후순위자는 상속인이 될수 없으며, 같은 순위에 여러명이 있으면 공동상속인이 됩니다. |
|
※ |
배우자가 있는 경우 직계비속이 있으면 직계비속과 공동상속인이 되며, 직계비속이 없는 경우 직계존속과 공동 상속인이 되고, 모두 없는 경우에는 단독상속인이 됩니다.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arr_bl_03.gif) |
상속포기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arr_or_03.gif) |
상속포기를 하는 경우 |
|
상속이 개시되면 피상속인의 모든 재산과 채무가 한꺼번에 상속인에게 이전되므로, 상속받을 채무가 상속재산보다 큰 경우에는 상속을 포기해야 합니다.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arr_or_03.gif) |
상속포기방법 |
|
피상속인의 채무가 재산보다 많다는 사실을 안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가정법원에 상속 포기 또는 한정승인 신고를 해야 합니다.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arr_bl_03.gif) |
상속세 계산구조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roundimg03_01.gif)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roundimg03_02.gif) |
피상속인 사망시 보유재산 (+) 간주상속재산(보험금,신탁재산,퇴직금) (+) 상속개시일전에 증여 또는 처분한 재산가액 (-) 공제액(공과금,장례비용,채무,공익목적출연재산의 과세가액산입) |
|
|
|
과세표준 (+) (×) 세율 |
|
|
|
상속세 납부세액 | |
상속세 과세가액 (-) 기초공제 & 인적공제 (일괄공제 선택가능) (-) 추가공제 (-) 배우자공제 (-) 금융재산상속공제 |
|
|
|
산출세액 (-) 공제·감면세액 (-) 기납부세액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roundimg03_03.gif)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roundimg03_04.gif)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arr_or_03.gif) |
상속세 부과대상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rednum_01.gif) |
상속세를 내야 하는 재산 |
|
① 상속재산 : 피상속인에게 귀속되는 모든 물건과 재산적 가치가 있는 법률상 사실상의 모든 권리 ② 간주상속재산 : 보험금(피상속인이 납입한 부분에 한함), 신탁재산, 퇴직금 ③ 증여재산가액 : 피상속인이 상속인에게 상속개시일로부터 10년 이내에 증여한 재산가액 상속인이 아닌 자에게 상속개시일로부터 5년 이내에 증여한 재산가액 ④ 추정재산가액 : 피상속인이 상속개시일 전 1년 또는 2년내 처분한 재산 - 1년 이내 : 재산종류별 2억원 이상 재산 매각, 인출 또는 채무 부담액 (용도불분명한 경우) - 2년 이내 : 재산종류별 5억원 이상 재산 매각, 인출 또는 채무 부담액 (용도불분명한 경우) ※ 재산종류별 : ⓐ 현금+예금+유가증권, ⓑ 부동산+부동산에 관한 권리, ⓒ ⓐⓑ이외의 기타재산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rednum_02.gif) |
상속세를 내지 않는 경우 : 유족연금 또는 유족보상금, 공공단체에 유증 또는 증여한 재산 등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roundimg03_01.gif)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roundimg03_02.gif) |
[사례2] 아버지가 사고로 갑자기 돌아가셨다. 아버지가 보험계약자, 피보험자로 되어있고, 보험금수익자는 어머니로 되어있는 보험금이 2억원이 나왔다. 또 아버지 회사에서 퇴직금 1억원과 사고피해회사에서 유족보상금으로 5천만원이 나왔다. 상속재산은 얼마인가요? |
|
피상속인이 보험료를 부담한 보험금은 상속재산에 포함되며, 퇴직금도 사망에 의해 지급되는 것이므로 상속 재산에 포함됩니다. 하지만 사고에 대한 유족피해보상금은 상속재산에서 제외되므로, 결국 상속재산은 보험금 2억원과 퇴직금 1억원을 합한 3억원이 되는 것입니다.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roundimg03_03.gif)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roundimg03_04.gif)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arr_or_03.gif) |
상속재산의 평가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rednum_01.gif) |
원칙 : 상속개시일 현재의 시가로 평가 (상속전 증여재산이 있는 경우는 증여일 현재 시가) |
|
※ |
시가의 의미 : 상속개시일 전후 6월(증여는 3월) 이내의 ①거래가액(매매) ②감정가액(감정) ③ 보상가액(수용,공매)을 말함 => [특례]평가위원회의 자문을 거치면 기간 밖이라 하더라도 인정가능 합니다.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rednum_02.gif) |
예외 : 시가를 산정하기 어려운 경우 |
|
- 토지 : 개별공시지가, 건물 : 국제청 기준가액 - 상장주식,채권 : 평가기준일 이전 이후 각 2월간 공표된 종가평균액 - 비상장주식 : 순손익가치와 순자산가치를 가중산술평균한 가액으로 평가 {(순손익가치×3)+(순자산가치×2)}÷5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arr_or_03.gif) |
상속재산에서 차감하는 항목 |
|
공과금, 장례비용, 채무, 공익목적출연재산가액 ※ 장례비용 : 최저 500만원, 최고 1,000만원 공제 (단, 500만원 이내의 납골사용비용 추가 인정 가능)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arr_or_03.gif) |
상속세 공제제도의 종류 |
구분 |
항목별 공제 |
일괄 공제 |
기초공제 |
2억원 |
5억원 |
기타 인적 공제 |
자녀공제 |
1인당 3천만원(인원제한 없음) |
미성년자공제(20세미만) |
500만원×20세까지의 잔여연수 |
연로자공제(60세이상) |
3천만원 |
장애인공제 |
500만원×75세까지의 잔여연수 |
배우자상속공제 |
최소 5억원~최고 30억원 |
- |
추가공제 |
가업상속(1억원한도), 영농상속(2억원한도) |
- |
금융재산상속공제 |
순금융재산의 20%(한도 2억원) |
-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rednum_01.gif) |
상속공제제도 : ‘기초공제+기타인적공제’와 ‘일괄공제’중 선택 가능 |
|
단, 배우자 단독 상속인 경우에는 일괄공제 선택 불가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rednum_02.gif) |
배우자상속공제 : 실제 상속받은 재산가액(법정상속비율 내)을 30억원 한도로 공제함. 최소5억원 공제. ※ 상속인이 인적공제대상자 또는 배우자공제대상자로서 상속을 포기하는 경우에도 인적공제와 배우자공제는 가능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rednum_03.gif) |
기타 인적공제 : 자녀, 미성년자, 연로자, 장애인 공제 ※ 배우자는 미성년자공제와 연로자공제 대상이 아님(단, 장애인공제와 중복적용은 가능) ※ 원칙적으로 기타인적공제는 중복적용 불가함(단, 자녀공제+미성년자공제, 장애인공제+기타인적공제는 가능)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rednum_04.gif) |
금융재산 상속공제 : 과세포착율을 높이기 위해 금융재산 상속시 공제혜택을 부여 |
|
순금융재산가액(금융재산가액-확실한 금융채무) |
금융재산상속공제액 |
2천만원 이하인 경우 |
순금융재산가액 전액 공제 |
2천만원 초과인 경우 |
순금융재산가액 × 20% (단, 계산금액이 2천만원 이하시 2천만원을 공제하며, 공제한도는 2억원으로 함)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roundimg03_01.gif)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roundimg03_02.gif) |
[사례3] 아버지가 돌아가시면서 어머니가 10억원 주택을, 형(장애인,25세)이 5억원 상가를, 그리고 동생(18세)이 5억원 예금을 상속받은 경우 상속세 계산시 계산되는 공제금액은 얼마인가요? |
|
① 기초공제 : 2억원 + ② 자녀공제 : 0.6억원 (2명×3천만원) + ③ 미성년자공제 : 0.1억원 (동생, 500만원×2년) + ④ 장애인공제 : 2.5억원 (형, 500만원×50년) + ⑤ 배우자상속공제 : 8.6억원 (10억을 공제하여야 하나 법정상속비율내에서 공제해야 하므로 20억× {1.5 / (1.5 + 1 + 1)} = 약 8.6억원) + ⑥ 금융재산상속공제 : 1억원 (5억원 × 20%) 총 공제금액 : 14.8억원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roundimg03_03.gif)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roundimg03_04.gif) |
※ |
일괄공제적용여부 : ①~④까지의 공제합계액이5.2억원이므로 일괄공제 금액인 5억원보다 커 일괄공제 미적용합니다.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roundimg03_03.gif)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roundimg03_04.gif)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rednum_05.gif) |
위 (1)~(4)번의 공제금액에 대한 총괄 상속공제한도액 상속세과세가액 (-) 상속인이 아닌 자에 대한 유증 등의 재산가액 (-) 상속세 과세가액에 합산된 증여재산의 과세표준 (배우자로부터 증여받은 경우, 그 증여재산가액에서 배우자 증여재산공제금액을 차감한 금액) (-) 상속인의 상속포기로 그 다음 순위의 상속인이 상속받은 재산가액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roundimg03_01.gif)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roundimg03_02.gif) |
[사례4] 할아버지 재산은 금융재산만으로 8억원입니다. 할아버지는 위독한 상황인데 할머니는 상속세에 대한 걱정으로 할아버지 재산 중 6억원을 자녀명의로 돌리는 것이 어떠냐고 동양종금증권 직원에게 제안하였습니다.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요? (증여재산의 직계존비속 친족공제금액은 3천만원임) |
|
① |
할아버지의 재산을 그대로 둔 경우 - 상속재산 = 8억원 - 상속공제금액 = 일괄공제 5억 + 배우자공제 5억 + 금융재산공제1.6억 = 11.6억 - 따라서, 상속공제금액이 상속재산보다 크므로 상속세 부담이 전혀 없습니다. |
|
② |
할머니 제안을 받아들인 경우(자녀명의로 6억을 돌려놓는 경우) - 상속재산 = 상속개시당시 보유재산 2억 + 상속개시전 10년 이내의 상속인에게 증여 6억 = 8억원 - 상속공제금액 = 일괄공제 5억 + 배우자공제 5억 + 금융재산공제 0.4억 과세표준 5.7억원(6억-0.3억원) = 4.7억원 - 따라서, 상속재산에서 상속공제금액을 뺀 3.3억원에 대해서는 상속세를 납부하여야 합니다. |
|
③ |
결론 : 할머니의 제안대로 처리할 경우 납부하지 않아도 되는 상속세를 부담하게 되므로, 할머니의 제안을 받아들여서는 안됩니다. .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roundimg03_03.gif)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roundimg03_04.gif)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arr_or_03.gif) |
상속세의 계산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rednum_01.gif) |
세율 |
|
과세표준 |
세율 |
1억원 이하 |
과세표준의 10% |
1억원 초과 5억원 이하 |
1천만원 + 1억원 초과금액의 20% |
5억원 초과 10억원 이하 |
9천만원 + 5억원 초과금액의 30% |
10억원 초과 30억원 이하 |
2억4천만원 + 10억원 초과금액의 40% |
30억원 초과 |
10억4천만원 + 30억원 초과금액의 50%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rednum_02.gif) |
세대를 건너 뛴 상속 : 세액의 30%를 가산하여 할증과세 |
|
※ |
할아버지가 손자에게 상속하는 경우를 말하며, 아버지가 사망하여 대신 손자가 상속받는 대습상속의 경우 에는 할증과세하지 않습니다.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rednum_03.gif) |
세액공제 |
|
① 증여세액공제 : 상속재산에 가산한 증여재산에 대한 증여세액을 상속세 산출세액에서 공제 ② 외국납부세액공제 : 외국 법령에 의하여 부과받은 상속세를 산출세액에서 공제 ③ 단기 재상속에 의한 세액공제 : 상속 개시후 10년 이내에 다시 상속이 개시되는 경우 전의 상속세가 부과된 상속재산 중 재상속분에 대한 전의 상속세 상당액을 공제함 ※ 재상속 공제율 : 1년이내 재상속시 100%, 2년이내 재상속시 90%, … , 10년이내 재상속시 10% ④ 신고세액공제 : 상속개시일부터 6월 이내에 상속세 신고서 제출시 산출세액의 10%를 공제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arr_bl_03.gif) |
상속세의 납부기한 등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arr_or_03.gif) |
납부기한 |
|
상속개시일로부터 6월이내에 신고납부하여야 합니다. (피상속인 또는 상속인 전원이 외국에 주소를 둔 경우에는 9월이내)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rednum_01.gif) |
기한내 납부 : 신고세액공제로 산출세액의 10%를 공제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rednum_02.gif) |
기한후 납부 ① 신고불성실가산세 : 10/100 ② 납부불성실가산세 : 1일 3/10,000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arr_or_03.gif) |
납세지 : 피상속인의 주소지 관할세무서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arr_or_03.gif) |
과세최저한 : 과세표준이 50만원 미만일 경우에는 상속세를 부과하지 않습니다.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arr_or_03.gif) |
납부방법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rednum_01.gif) |
연부연납 납부세액이 1천만원 초과시 담보를 제공하고 일정기간동안 세금을 나누어 납부하는 연부연납 가능 (원칙 3년 이내(가업상속인 경우 5년, 상속재산중 가업상속재산비율이 50%이상인 경우 10년이내))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rednum_02.gif) |
물납 부동산과 유가증권가액이 재산가액의 1/2을 초과하고 납부세액이 1천만원 초과시 당해 부동산과 유가증권에 한하여 물납 가능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yasset.com%2Fimg%2Fico_rednum_03.gif) |
분납 납부세액이 1천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납부기한으로부터 45일 이내에 분납도 가능 |
|
|
지난주 상속세에 이어 이번주엔 증여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증여세는 상속세와 유사한 부분이 많으므로 두 세제간의 차이를 비교해보면서 보시면 좀더 쉽게 접근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 |
첫댓글 잘 알겠습니다...짜다라 물려줄 재산이 있을랑가요...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