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작성일자: 2013.1.15 작성자: 홍콩 무역관 이범희(bhlee@kotra.org.hk) □ 수출입동향 ○ 육·어류 조제품 - 수입 동향 HS Code 16 수입통계 (단위: 천 홍콩달러, %) | 2009 | 2010 | 2011 | 2012.1~11월 | 순위 | 수입국 | 수입 규모 | 증감률 | 수입 규모 | 증감률 | 수입 규모 | 증감률 | 수입 규모 | 시장 점유율 | 증감률 | - | 전체 | 5,936,834 | +7.6 | 6,907,325 | +16.3 | 10,651,860 | +54.2 | 9,406,174 | 100.0 | -1.1 | 1 | 중국 | 1,821,232 | +8.9 | 2,208,640 | +21.3 | 3,693,477 | +67.2 | 3,803,231 | 40.4 | +15.4 | 2 | 미국 | 504,885 | +37.7 | 610,855 | +21.0 | 891,181 | +45.9 | 945,947 | 10.1 | +20.5 | 3 | 스페인 | 489,079 | -9.8 | 460,262 | -5.9 | 795,236 | +72.8 | 518,684 | 5.5 | -23.8 | 4 | 호주 | 256,289 | -20.1 | 252,500 | -1.5 | 350,666 | +38.9 | 334,210 | 3.6 | +3.0 | 5 | 대만 | 204,985 | +20.0 | 241,634 | +17.9 | 328,819 | +36.1 | 298,482 | 3.2 | +2.6 | 6 | 태국 | 332,821 | +17.4 | 328,996 | -1.1 | 336,342 | +2.2 | 294,145 | 3.1 | -3.6 | 7 | 일본 | 219,341 | -3.4 | 261,377 | +19.2 | 241,683 | -7.5 | 265,202 | 2.8 | +19.8 | 8 | 이탈리아 | 174,812 | -2.6 | 207,156 | +18.5 | 357,173 | +72.4 | 257,517 | 2.7 | -19.4 | 9 | 폴란드 | 145,638 | +17.7 | 218,286 | +49.9 | 374,087 | +71.4 | 233,992 | 2.5 | -28.8 | 28 | 대한민국 | 9,781 | +17.5 | 31,152 | +218.5 | 94,228 | +202.5 | 41,228 | 0.4 | -53.8 |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 특히 소시지(HS Code 160100)의 경우 지난 3년간 대한민국에서의 수입이 꾸준히 증가추세로 Parknshop 및 Wellcome 등 대형마트에서 다양한 대한민국 소시지 제품을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되었음. · 대한민국 소시지 제품에 대한 인기가 꾸준히 증가추세로 더욱 다양한 브랜드 제품이 팔리고 있는 추세임. - 수출 동향 HS Code 16 수출통계 (단위: 천 홍콩달러, %) | 2009 | 2010 | 2011 | 2012.1~11월 | 순위 | 수출국 | 수출 규모 | 증감률 | 수출 규모 | 증감률 | 수출 규모 | 증감률 | 수출 규모 | 시장 점유율 | 증감률 | - | 전체 | 1,256,955 | -16.5 | 1,252,700 | -0.3 | 1,694,862 | +35.3 | 1,084,973 | 100.0 | -27.6 | 1 | 베트남 | 45,922 | +136.8 | 77,723 | +69.2 | 556,640 | +616.2 | 365,942 | 33.7 | -23.4 | 2 | 마카오 | 180,474 | +9.5 | 206,716 | +14.5 | 260,691 | +26.1 | 251,004 | 23.1 | +7.4 | 3 | 중국 | 376,092 | -56.0 | 598,224 | +59.1 | 662,254 | +10.7 | 237,450 | 21.9 | -60.3 | 4 | 미국 | 207,425 | +16.3 | 144,022 | -30.6 | 91,485 | -36.5 | 109,135 | 10.1 | +36.7 | 5 | 싱가포르 | 24,896 | -21.3 | 35,002 | +40.6 | 55,717 | +59.2 | 38,830 | 3.6 | -20.9 | 6 | 말레이시아 | 17,619 | -2.4 | 17,180 | -2.5 | 29,404 | +71.2 | 29,813 | 2.7 | +23.4 | 7 | 대만 | 379,966 | +99.4 | 142,133 | -62.6 | 9,731 | -93.2 | 15,620 | 1.4 | +61.5 | 8 | 캐나다 | 13,272 | +9.7 | 16,515 | +24.4 | 10,289 | -37.7 | 11,175 | 1.0 | +20.7 | 9 | 일본 | 753 | -41.7 | 1,678 | +122.9 | 5,826 | +247.3 | 8,166 | 0.8 | +40.2 | 20 | 대한민국 | 114 | -98.5 | 940 | +724.9 | 3,849 | +309.4 | 301 | * | -92.2 |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 육 · 어류 조제품의 수출 및 재수출은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로 대부분 베트남, 마카오 및 중국 등지로 수출되고 있음. ○ 당류. 설탕과자 - 수입 동향 HS Code 17 수입통계 (단위: 천 홍콩달러, %) | 2009 | 2010 | 2011 | 2012.1~11월 | 순위 | 수입국 | 수입 규모 | 증감률 | 수입 규모 | 증감률 | 수입 규모 | 증감률 | 수입 규모 | 시장 점유율 | 증감률 | - | 전체 | 1,990,423 | -9.1 | 2,401,139 | +20.6 | 2,757,494 | +14.8 | 2,497,649 | 100.0 | +1.9 | 1 | 대한민국 | 463,459 | +12.3 | 609,305 | +31.5 | 729,447 | +19.7 | 615,891 | 24.7 | -7.3 | 2 | 중국 | 641,693 | -10.2 | 713,015 | +11.1 | 684,764 | -4.0 | 607,955 | 24.3 | -0.6 | 3 | 일본 | 306,794 | -13.9 | 337,962 | +10.2 | 358,581 | +6.1 | 309,968 | 12.4 | +1.5 | 4 | 태국 | 144,628 | +9.5 | 100,616 | -30.4 | 167,793 | +66.8 | 225,061 | 9.0 | +44.1 | 5 | 말레이시아 | 73,628 | -10.9 | 78,515 | +6.6 | 210,223 | +167.8 | 200,017 | 8.0 | +6.7 | 6 | 미국 | 64,062 | -28.9 | 100,497 | +56.9 | 135,967 | +35.3 | 127,826 | 5.1 | +14.3 | 7 | 대만 | 42,989 | -0.5 | 68,400 | +59.1 | 77,991 | +14.0 | 80,446 | 3.2 | +19.4 | 8 | 영국 | 39,171 | -12.2 | 90,111 | +130.0 | 41,346 | -54.1 | 61,529 | 2.5 | +62.8 | 9 | 독일 | 25,296 | -12.2 | 33,455 | +32.3 | 41,318 | +23.5 | 45,029 | 1.8 | +17.9 | 10 | 호주 | 56,966 | +14.1 | 79,140 | +38.9 | 109,274 | +38.1 | 38,085 | 1.5 | -62.0 |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 대한민국이 당류. 설탕과자 시장을 선도하고 있음. · 최근 홍콩 유통업체에서 한국산 당류, 설탕과자 등에 대한 구매 문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은 상당히 고무적이며 다양한 과장 등이 다양한 유통업체를 통해 활발히 판매되고 있음. · 또한 홍콩 내 유명 식당체인 등으로 인기리에 국산 설탕이 대량 유통되고 있음. - 수출 동향 HS Code 17 수출통계 (단위: 천 홍콩달러, %) | 2009 | 2010 | 2011 | 2012.1~11월 | 순위 | 수출국 | 수출 규모 | 증감률 | 수출 규모 | 증감률 | 수출 규모 | 증감률 | 수출 규모 | 시장 점유율 | 증감률 | - | 전체 | 781,566 | -27.2 | 872,834 | +11.7 | 867,643 | -0.6 | 784,814 | 100.0 | +0.9 | 1 | 중국 | 196,469 | -24.4 | 264,793 | +34.8 | 306,092 | +15.6 | 326,839 | 41.6 | +15.8 | 2 | 마카오 | 139,096 | -3.0 | 159,128 | +14.4 | 189,530 | +19.1 | 173,099 | 22.1 | +5.7 | 3 | 미국 | 186,951 | -25.1 | 169,141 | -9.5 | 169,468 | +0.2 | 111,456 | 14.2 | -22.7 | 4 | 베트남 | 7,200 | +999.2 | 16,721 | +132.5 | 27,384 | +63.8 | 34,074 | 4.3 | +51.6 | 5 | 캐나다 | 28,433 | -8.1 | 37,450 | +31.7 | 21,971 | -41.3 | 20,110 | 2.6 | +6.8 | 6 | 호주 | 20,441 | -6.5 | 20,105 | -1.6 | 17,454 | -13.2 | 18,354 | 2.3 | +7.2 | 7 | 싱가포르 | 12,972 | -9.6 | 13,349 | +2.9 | 11,587 | -13.2 | 11,623 | 1.5 | +5.3 | 8 | 영국 | 31,846 | -33.3 | 38,778 | +21.8 | 15,444 | -60.2 | 11,050 | 1.4 | -26.9 | 9 | 프랑스 | 10,371 | -33.6 | 12,802 | +23.4 | 12,492 | -2.4 | 9,889 | 1.3 | -20.8 | 16 | 대한민국 | 1,619 | +37.4 | 2,063 | +27.4 | 3,985 | +93.2 | 3,503 | 0.4 | +37.2 |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 기타 식품제품과 유사하게 중국 및 마카오 등으로 수출되고 있으며 대한민국으로의 수출은 약 5억원 규모로 꾸준히 증가추세임. ○ 채소·과실의 조제품 - 수입 동향 HS Code 20 수입통계 (단위: 천 홍콩달러, %) | 2009 | 2010 | 2011 | 2012.1~11월 | 순위 | 수입국 | 수입 규모 | 증감률 | 수입 규모 | 증감률 | 수입 규모 | 증감률 | 수입 규모 | 시장 점유율 | 증감률 | - | 전체 | 2,040,963 | -0.2 | 2,232,984 | +9.4 | 2,596,261 | +16.3 | 2,542,741 | 100.0 | +9.7 | 1 | 미국 | 686,974 | +10.0 | 658,333 | -4.2 | 714,794 | +8.6 | 729,389 | 28.7 | +18.4 | 2 | 중국 | 485,266 | +4.8 | 594,780 | +22.6 | 729,902 | +22.7 | 644,610 | 25.4 | -2.7 | 3 | 태국 | 166,113 | -13.2 | 167,569 | +0.9 | 186,748 | +11.4 | 175,314 | 6.9 | +2.9 | 4 | 일본 | 75,255 | -3.9 | 108,606 | +44.3 | 109,278 | +0.6 | 161,333 | 6.3 | +70.9 | 5 | 필리핀 | 126,647 | -12.8 | 137,247 | +8.4 | 196,248 | +43.0 | 138,985 | 5.5 | -21.1 | 6 | 남아프리카 | 85,356 | -18.5 | 96,347 | +12.9 | 116,854 | +21.3 | 125,265 | 4.9 | +15.4 | 7 | 대만 | 55,266 | +24.7 | 70,724 | +28.0 | 82,449 | +16.6 | 90,190 | 3.5 | +17.9 | 8 | 대한민국 | 27,000 | +7.5 | 33,882 | +25.5 | 48,320 | +42.6 | 66,059 | 2.6 | +45.2 | 9 | 이탈리아 | 34,577 | +19.5 | 38,766 | +12.1 | 48,513 | +25.1 | 42,563 | 1.7 | -5.4 | 10 | 영국 | 29,449 | -13.8 | 29,545 | +0.3 | 34,847 | +17.9 | 41,100 | 1.6 | +30.6 |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 채소 · 과실의 조제품은 2011년 3월 일본 지진으로 인한 방사능의 영향으로 한국 제품의 수요가 급증하였음. · 2011년 3월 이전의 경우 대형마트에서 국산 채소 및 과일의 유통을 찾아볼 수 없었으나 현재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으며 최근 국산 딸기제품 등에 대한 TV 광고가 진행 중임. ○ 김치 - 한국 음식과 웰빙에 대한 관심으로 김치 수요 증가 - 한국 드라마 대장금 및 다양한 영화와 음악등의 영향으로 자연스럽게 한국 음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 특히 2003년 사스 예방에 효과가 있었다는 점과 한류 및 웰빙 트렌드가 맞물려 김치 판매량이 증가함. 김치 해외 수출량 추이 (단위: 달러) 
자료원: 무역협회 - 2011년 일본 수출량이 전체 수출량의 83%로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운데 미국, 홍콩, 대만 등지의 수요도 꾸준히 증가함 - 특히, 홍콩으로의 수출량은 2011년 전년동기 대비 35.8%, 2012년 상반기 32.4% 증가하며 김치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짐. - 수출 동향 HS Code 20 수출통계 (단위: 천 홍콩달러, %) | 2009 | 2010 | 2011 | 2012.1~11월 | 순위 | 수출국 | 수출 규모 | 증감률 | 수출 규모 | 증감률 | 수출 규모 | 증감률 | 수출 규모 | 시장 점유율 | 증감률 | - | 전체 | 552,119 | -4.7 | 668,816 | +21.1 | 1,269,575 | +89.8 | 699,484 | 100.0 | -42.0 | 1 | 중국 | 247,194 | -13.1 | 268,544 | +8.6 | 289,580 | +7.8 | 316,239 | 45.2 | +19.2 | 2 | 마카오 | 157,732 | +2.4 | 145,279 | -7.9 | 170,405 | +17.3 | 157,873 | 22.6 | +3.7 | 3 | 베트남 | 17,151 | .. | 33,400 | +94.7 | 44,995 | +34.7 | 67,361 | 9.6 | +61.3 | 4 | 싱가포르 | 14,980 | -6.2 | 20,820 | +39.0 | 21,334 | +2.5 | 28,494 | 4.1 | +47.1 | 5 | 미국 | 22,065 | +15.3 | 30,493 | +38.2 | 26,755 | -12.3 | 18,363 | 2.6 | -22.1 | 6 | 캐나다 | 15,783 | +7.2 | 20,116 | +27.5 | 22,168 | +10.2 | 18,187 | 2.6 | -7.0 | 7 | 대만 | 20,443 | +12.9 | 78,614 | +28.4 | 551,230 | +601.2 | 16,439 | 2.4 | -97.0 | 8 | 호주 | 9,101 | +9.8 | 13,111 | +44.1 | 9,283 | -29.2 | 10,625 | 1.5 | +27.9 | 9 | 네덜란드 | 8,804 | -7.2 | 9,126 | +3.7 | 10,871 | +19.1 | 9,613 | 1.4 | +0.2 | 27 | 대한민국 | 67 | -71.9 | 412 | +515.9 | 196 | -52.5 | 670 | 0.1 | +242.3 |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 전체 수입의 4분의 1규모로 주로 중국 및 마카오 등으로 수출되고 있음. · 대한민국으로의 수출은 1억원 미만의 규모로 매우 작음. · 국산 팽이버섯 등을 중국으로 재수출하는 홍콩업체가 있었으나 통관 및 신선보관 등의 문제로 어려움을 겪은 사례가 있음. ○ 음료, 주류, 식초 - 수입 동향 HS Code 22 수입통계 (단위: 천 홍콩달러, %) | 2009 | 2010 | 2011 | 2012.1~11월 | 순위 | 수입국 | 수입 규모 | 증감률 | 수입 규모 | 증감률 | 수입 규모 | 증감률 | 수입 규모 | 시장 점유율 | 증감률 | - | 전체 | 11,566,570 | +21.9 | 15,546,598 | +34.4 | 19,311,670 | +24.2 | 17,285,930 | 100.0 | -2.7 | 1 | 중국 | 4,849,787 | +20.2 | 5,545,587 | +14.3 | 5,900,358 | +6.4 | 6,304,708 | 36.5 | +11.6 | 2 | 프랑스 | 1,941,263 | +23.6 | 3,290,197 | +69.5 | 4,826,584 | +46.7 | 3,608,057 | 20.9 | -17.5 | 3 | 영국 | 1,305,537 | +61.1 | 1,874,021 | +43.5 | 2,549,354 | +36.0 | 1,888,588 | 10.9 | -18.3 | 4 | 싱가포르 | 567,462 | +15.3 | 771,677 | +36.0 | 1,025,150 | +32.8 | 1,078,799 | 6.2 | +16.8 | 5 | 미국 | 583,091 | +63.7 | 860,469 | +47.6 | 1,214,892 | +41.2 | 906,316 | 5.2 | -17.6 | 6 | 호주 | 353,601 | +15.2 | 430,336 | +21.7 | 535,902 | +24.5 | 514,482 | 3.0 | +7.8 | 7 | 일본 | 240,325 | -8.5 | 288,901 | +20.2 | 416,926 | +44.3 | 381,474 | 2.2 | +5.4 | 8 | 대한민국 | 372,935 | +39.9 | 347,532 | -6.8 | 363,711 | +4.7 | 314,221 | 1.8 | -5.8 | 9 | 이탈리아 | 121,502 | +5.1 | 179,938 | +48.1 | 270,002 | +50.1 | 288,184 | 1.7 | +21.6 | 10 | 네덜란드 | 261,577 | -13.4 | 447,238 | +71.0 | 269,429 | -39.8 | 267,891 | 1.5 | +9.1 |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 발효주(HS Code 220600)의 경우 일본이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대지진 이후에도 수입량이 감소하지 않고 꾸준히 증가. 이는 홍콩 내 유통중인 발효주의 경우 일본제품의 인지도가 상당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음. 실제로 홍콩 내 일본 Sake 제품만을 취급하는 전문점이 상당히 많이 운영되고 있음. · 한국에서의 수입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시장점유율이 높지 않음. 하지만 일본 대지진 이후 대체식품으로 한국 제품이 활발히 수출되고 있으며 발효주 역시 2년 전과 비교하여 다양한 제품이 홍콩 내 대형마트에 유통되고 있음.(가격비교 참고) · 전통주 및 발효주의 경우 국내 중소기업의 활발한 진출이 고무적임. - 수출 동향 HS Code 22 수출통계 (단위: 천 홍콩달러, %) | 2009 | 2010 | 2011 | 2012.1~11월 | 순위 | 수출국 | 수출 규모 | 증감률 | 수출 규모 | 증감률 | 수출 규모 | 증감률 | 수출 규모 | 시장 점유율 | 증감률 | - | 전체 | 4,384,973 | +3.2 | 5,537,955 | +26.3 | 6,976,841 | +26.0 | 6,112,507 | 100.0 | -3.0 | 1 | 중국 | 1,411,939 | -7.9 | 1,841,922 | +30.5 | 2,559,225 | +38.9 | 2,938,066 | 48.1 | +28.4 | 2 | 마카오 | 1,189,996 | +24.6 | 1,575,677 | +32.4 | 2,103,440 | +33.5 | 1,663,684 | 27.2 | -13.9 | 3 | 베트남 | 1,256,942 | -4.3 | 1,623,894 | +29.2 | 1,697,233 | +4.5 | 820,474 | 13.4 | -46.2 | 4 | 싱가포르 | 144,748 | +20.0 | 63,988 | -55.8 | 99,322 | +55.2 | 125,573 | 2.1 | +45.3 | 5 | 미국 | 74,333 | +7.6 | 90,505 | +21.8 | 96,527 | +6.7 | 124,900 | 2.0 | +42.3 | 6 | 캐나다 | 38,503 | +4.3 | 42,926 | +11.5 | 43,737 | +1.9 | 41,365 | 0.7 | +5.7 | 7 | 아랍 에미레이트 | 28,645 | +776.0 | 51,004 | +78.1 | 55,727 | +9.3 | 39,041 | 0.6 | -16.6 | 8 | 대만 | 17,178 | +35.9 | 17,640 | +2.7 | 42,280 | +139.7 | 36,170 | 0.6 | -10.1 | 9 | 호주 | 27,043 | +89.6 | 45,912 | +69.8 | 63,587 | +38.5 | 34,022 | 0.6 | -42.3 | 10 | 대한민국 | 34,174 | +96.9 | 22,626 | -33.8 | 16,660 | -26.4 | 32,799 | 0.5 | +128.5 |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 기타 식품에 비해 활발히 수출되고 있으며 대부분 수입된 상품의 재수출임. · 중국, 마카오 및 베트남으로 대부분 수출되고 있으며 대한민국으로의 수출은 약 46억 원 규모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