葬儀 節次(장의절차)는 專門(전문) 葬禮式場(장례식장)에서
Canada(캐나다) 葬禮式場(장례식장)
韓國(한국)에서는 病院(병원)에 있는 葬禮式場(장례식장)에서 하는 境遇(경우)가 많은데요. Canada(캐나다)에서는 大部分(대부분) 專門(전문) 葬禮式場(장례식장)(Funeral Home)에서 葬禮(장례)를 치릅니다.
우리나라에서 結婚(결혼)을 할 때 結婚式場(결혼식장)을 貸與(대여)하면 일정 時間(시간) 동안 式場(식장)과 食堂(식당)을 使用(사용)할 수 있고 그와 관련된 service(서비스)를 받는 것처럼, 葬禮式場(장례식장)도 우리나라의 結婚式場(결혼식장)과 매우 恰似(흡사)한 interior(인테리어)와 system(시스템)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모이는 理由(이유)가 祝賀(축하)와 哀悼(애도)라는 點(점)이 크게 다르지요.
葬禮式場(장례식장)에 遺家族(유가족)이 常駐(상주)하지 않는다
Funeral Service(葬禮式(장례식) 以後(이후)의 홀 모습.
韓國(한국)에서는 葬禮(장례) 期間(기간)인 3~5日(일) 내내 遺家族(유가족)들이 葬禮式場(장례식장)에 常駐(상주)하며 弔問客(조문객)을 맞이하지만, 北美(북미)에서는 入棺(입관) 後(후) 發靷(발인)을 앞두고 'Funeral Service'라고 追悼式(추도식)이 있는 特定(특정) 時間(시간)(普通(보통) 2~4時間(시간) 所要(소요))에만 遺家族(유가족)과 弔問客(조문객)이 모두 모입니다. 故人(고인)이 敎會(교회)에 所屬(소속)된 境遇(경우)에는 入棺(입관), 發靷(발인), 下棺(하관) 時(시)마다 함께 모여 禮拜(예배)드리기도 합니다.
弔意金(조의금)을 건네면 無禮(무례)하다
Canada(캐나다)에서는 弔意金(조의금)을 건넨다면, 큰 無禮(무례)를 犯(범)하는 일이니 注意(주의)해야 합니다. 葬禮式(장례식) 費用(비용)이 없을 정도로 매우 家難(가난)한 境遇(경우)를 除外(제외)하고는, 弔意金(조의금)을 傳(전)하지 않습니다.
다만, 遺家族(유가족)이 慈善團體(자선단체)를 指定(지정)해 알려주거나 葬禮式場(장례식장) 入口(입구)에 特定(특정) 慈善團體(자선단체)의 寄附(기부) Card(카드)를 두면, 遺家族(유가족)이 指定(지정)한 慈善團體(자선단체)에 寄附(기부)하실 수 있습니다. 昨年(작년)에 男便(남편)의 會社(회사) 社長(사장)의 夫人(부인)이 2年(년) 동안 白血病(백혈병)을 앓다가 돌아가셨는데요. 故人(고인)이 治療(치료)받았던 癌(암) 病棟(병동)을 指定(지정)해서, 저희는 그곳에 寄附(기부)했습니다.
Canada(캐나다)에 있는 韓國(한국) 移民者(이민자)들 사이에서는 韓國(한국)과 마찬가지로 弔意金(조의금) 文化(문화)가 있는 편입니다. Canada(캐나다)에 있는 中國(중국) 親舊(친구)에게 물어보니, 中國(중국) 移民者(이민자)들도 弔意金(조의금) 文化(문화)가 있다고 하더군요.
弔意金(조의금) 代身(대신) 이것으로!
弔意金(조의금)을 내지 않는 代身(대신)에, 飮食(음식) 或(혹)은 慰勞(위로)의 Card(카드)를 準備(준비)합니다.
葬禮式(장례식)을 위해 먼 곳에 사는 親知(친지)들이 찾아와 遺家族(유가족) 집에 머물게 되는데요. 遺家族(유가족)이 親知(친지)들을 위해 飮食(음식)을 하기 어려운 상태이므로, 遺家族(유가족)과 親知(친지)들이 함께 나눌 飮食(음식)을 準備(준비)해 건네 주기도 합니다. 或(혹)은 장례식(Funeral Service) 以後(이후) 弔問客(조문객)과 가볍게 나눠 먹을 飮食(음식)을 해서 葬禮式(장례식) 때 모이기도 합니다. 葬禮式場(장례식장)에서 飮食(음식) 提供(제공) service(서비스)를 有料(유료)로 支援(지원)받을 수도 있습니다.
遺家族(유가족)에게 傳(전)하는 慰勞(위로)
慰勞(위로)의 Card(카드)를 건네기도 합니다. 北美(북미)에서는 生日(생일), 卒業(졸업), 就職(취직), 感謝(감사), 慰勞(위로) 等(등) 多樣(다양)한 狀況(상황)에 맞는 Card(카드)가 發達(발달)돼 있는데요. 弔意(조의)를 표하는 message(메시지)가 적힌 Card(카드)를 사서 message(메시지) 밑에 署名(서명)을 하거나 或(혹)은 慰勞(위로)의 message(메시지)를 더 적은 後(후), 遺家族(유가족)에게 건네줍니다(또는 葬禮式場(장례식장) 入口(입구)에 놓인 Card(카드) 바구니에 둡니다). Card(카드)는 葬禮式(장례식) 後(후) 家族(가족)이 모여서 함께 본다고 해요.
服裝(복장)은 大部分(대부분) 無彩色(무채색) 系列(계열)의 옷을 입습니다만, 强制性(강제성)은 없습니다. 화려한 무늬나 색감의 옷을 입고 온 사람들도 가끔 봤습니다. 단정한 無彩色(무채색) 系列(계열)의 옷이면 無難(무난)할 것 같네요.
葬禮式場(장례식장)에서 웃음소리가 들린다
弔問客(조문객)들이 모이는 추도식(Funeral Service)에서는 주로 무엇을 할까요?
追悼式(추도식)에서는 宗敎(종교) 與否(여부)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주로 故人(고인)과 追憶(추억)을 함께 나눈 知人(지인)들이 次例(차례)대로 나와 追悼(추도)演說(연설) 을 합니다. 故人(고인)과 어떻게 알게 되었고, 어떤 經驗(경험)을 함께 나눴으며, 서로 함께 하면서 느낀 故人(고인)은 어떤 사람이었는지 함께 나눕니다.
故人(고인)과 즐거웠거나 황당했던 순간을 나누며 若干(약간)의 弄談(농담)도 곁들이기도 해 그 瞬間(순간) 다 함께 웃기도 합니다. 平素(평소)에는 너무 over(오버)하는 것처럼 보일 만큼 表現力(표현력)이 强(강)한 北美人(북미인)들이지만, 否定的(부정적)인 狀況(상황)이나 슬픈 現實(현실)에서는 極端的(극단적)인 表現(표현)을 最大(최대)한 節制(절제)하며 反語的(반어적)인 表現(표현)을 通(통)해 心的(심적)인 狀態(상태)를 드러내는 北美人(북미인)의 性向(성향)이 고스란히 느껴지곤 합니다.
葬禮式場(장례식장) 應接室(응접실)
우리나라는 全般的(전반적)으로 葬禮(장례)가 치러지는 내내 故人(고인)의 죽음에 哀痛(애통) 하는 雰圍氣(분위기)이지만, 基督敎(기독교)가 背景(배경)인 北美(북미)에서는 故人(고인)의 죽음에 痛哭(통곡)을 하는 분위기라기보다는 故人(고인)을 잃은 遺家族(유가족)을 위로 해주는 性向(성향)이 더 强(강)합니다.
追悼式(추도식)이 끝나면, 問喪客(문상객)들은 喪主(상주)에게 次例(차례)대로 다가가서 弔意(조의)를 表(표)하게 되는데요. 너무 슬프게 우시는 것보다는 遺家族(유가족)을 안아주면서 간단한 말로 慰勞(위로)해주는 程度(정도)의 弔意(조의)를 表(표)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遺家族(유가족) 또한 깊은 슬픔이 있지만, 哀痛(애통)해할 만큼 슬픔을 드러내지는 않습니다.
葬禮式場(장례식장) 食堂(식당)과 飮食(음식)
弔意(조의)를 表(표)한 後(후), 弔問客(조문객)들은 追悼式(추도식)이 있던 곳의 食堂(식당)에 準備(준비)된 Sandwich(샌드위치)와 dessert(디저트) 等(등)의 간단한 食事(식사)를 하고 돌아갑니다.
遺家族(유가족)이 下棺(하관) 또는 火葬(화장) 節次(절차)를 보지 않는다
Canada(캐나다) 納骨堂(납골당) 모습
Funeral Service葬禮(장례)서비스)가 進行(진행)되는 몇 時間(시간) 동안 屍身(시신)을 冷凍室(냉동실)에서 잠시 꺼내, 弔問客(조문객)에게 故人(고인)의 마지막 모습을 公開(공개)하기도 합니다. 삼베 수의를 입히는 代身(대신), 正裝(정장)을 입히고 女子(여자)인 境遇(경우) make up(메이크업)까지 합니다.
棺(관)을 땅에 묻을 境遇(경우) 下棺(하관) 禮式(예식)은 하지만 棺(관)을 墓地(묘지)의 구덩이 넣고 흙을 덮는 埋葬(매장) 節次(절차)는 家族(가족)들이 떠난 以後(이후)에 이뤄지는 境遇(경우)가 大部分(대부분)입니다.
火葬(화장)할 境遇(경우) 우리나라에서는 遺家族(유가족)이 故人(고인)의 火葬(화장)이 끝날 때까지 火葬(화장)터에서 기다리지만 Canada(캐나다)에서는 火葬(화장)터에서 기다리지 않고 火葬(화장) 後(후) 2~3日(일) 後(후)에 遺骨(유골)을 건네받아 納骨堂(납골당)에 둡니다.
산 者(자)와 죽은 者(자)가 함께 하다.
公園(공원)처럼 造成(조성)된 Canada(캐나다) 墓地公園(묘지공원)
Canada(캐나다)墓地(묘지)는 외진 곳에 있지 않고 주로 마을 안에 있어요. 大部分(대부분) 公園(공원)처럼 散策(산책)할 수 있도록 造成(조성)되어 있어 산 者(자)와 죽은 者(자)가 함께 하는 雰圍氣(분위기)입니다. 우리나라처럼 墓地(묘지)에 대한 恐怖(공포)나 嫌惡感(혐오감)이 크게 없는 것 같아요. 마을 안에 墓地公園(묘지공원)이 造成(조성)돼 있어, 故人(고인)이 그리울 때마다 公園(공원)을 散策(산책)하듯이 자주 찾아 生花(생화)를 두고 가곤 합니다.
封墳(봉분) 代身(대신)에 平葬(평장)을
우리나라처럼 흙을 둥글게 쌓아 올려 무덤을 만드는 우리나라와 달리, Canada(캐나다)에서는 封墳(봉분)을 만들지 않고 평평하게 묻는 平葬(평장)을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큰 碑石(비석)을 많이 세우지 않고, 어느 位置(위치)에 있는지 찾을 수 있을 만큼의 작은 名牌(명패)를 세운 墓地(묘지)가 많아요. 하지만, 近來(근래)에는 火葬(화장)을 해 納骨堂(납골당)에 두는 比率(비율)이 매우 빠르게 增加(증가)하고 있습니다.
故人(고인)의 자취를 나눔으로
Canada(캐나다) 公園(공원) 곳곳에 故人(고인)의 이름과 故人(고인)을 기리는 message(메시지)가 있는 故人(고인)의 名牌(명패)가 있는 작은 벤치, 나무, 꽃밭 等(등)의 施設物(시설물) 또는 自然物(자연물)을 흔하게 보실 수 있어요.
故人(고인)이 死亡(사망)하기 前(전)에 願(원)해서 하기도 하고, 遺家族(유가족)이 뜻을 모아 하기도 하는데요. 故人(고인)이 追憶(추억)이 담긴 場所(장소)를 찾는 사람들에게 편리함 또는 아름다움을 나누는 모습이 매우 印象的(인상적)이었어요.
- Bliss in Ottawa, Canada home page(홈페이지)에서 -
첫댓글 이승철~일 2021-04-11 오후 5:19 ~ 장례식장이 호텔 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