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과 기근과 고통과 그리고 물... Water precious than Gold..
..

수선전도(首善全圖)(서울의 옛지도, 1840년 경)
서울의 어원은 현재까지 거의 밝혀진 듯하면서도, 뭔가 개운치 않은 감이 있다.
서울특별시의 어원을 밝히는 글에서는 다음과 같이 일반론을 설명하고 있다.
"서울"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한다.
학계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은 수도(首都)를 뜻하는
신라 계통의 고유어였던 서라벌에서 유래했다는 설이다.
이때 한자 가차 표기인 서라벌이 원래 어떤 의미였을지에 대해서도 여러 학설이 존재한다.
삼국사기 등에서 서라벌을 금성(金城)으로도 표기했다는 것에 착안하여
"쇠[鐵]-벌[源]"의 뜻이라는 주장이 있는가 하면, 신라(新羅)까지 포함하여
"설[새: 新, 金]-벌[땅: 羅, 城]",즉 '새로운 땅'이라는 뜻으로 새기는 견해도 있다.
고대-중세 한국어에서 서라벌을 정확히 어떻게 발음했는지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확인된 바가 없으며,
그 발음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은 훈민정음의 창제 후 "셔"이라는 표기가 등장하고 나서이다.
조선시대에는 서울을 한성(漢城) 이외에도
경부(京府), 경성(京城), 경도(京都), 경사(京師) 등으로 쓰는 경우가 종종 있었으며,
김정호의 수선전도에서 알 수 있듯 수선(首善)으로 표기한 예도 있다.
그 밖의 표기 중에는 서울의 한자 음차 표기로서 박제가가 북학의에서 썼던 '徐蔚(서울)'이 있다.
이는 모두 수도를 뜻하는 일반명사들로서
'서울'이 원래는 서울 지역(사대문 안과 강북의 성저십리)을 가리키는 말이 아닌
수도를 뜻하는 일반명사였다는 방증이다.
국어사전에서는 일반명사 '서울'을 '한 나라의 중앙 정부가 있고,
경제, 문화, 정치 등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도시'라고 정의하고 있다.
1910년 10월 1일에 일제가 한성부를 경성부(京城府)로 개칭하면서
일제강점기에 서울은 주로 경성(京城)으로 불렸으며,
1945년 광복 후에는 '경성'이란 말은 도태되고 거의 '서울'로 부르게 되었다.
( http://forkorean.com/index.php?document_srl=480&mid=kr_region_seoul_info)
훈민정음 창제후에 나타난 "셔"라는 표기가 신라의 수도 금성(金城)의 옛소리가
서라벌임을 추정케 하는 근거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기문은 다음과 같이 주장하였다.
"고금(古今)을 통하여 ‘신라’의 어원과 관련된 논의에서 가장 돋보이는 것이
「삼국유사」(권1, 신라 시조)에 ‘서벌(徐伐)’에 붙인 다음 주기(註記)입니다.
지금 속(俗)에 ‘경(京)’ 자의 새김을 ‘서벌(徐伐)’이라 이르는 것도 이 까닭이다(今俗訓京字云徐伐 以此故也).
「삼국유사」를 찬술(撰述)한 13세기 말엽(1285)에는 서울을 ‘셔’이라 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말이 신라의 국호 ‘서벌’(徐伐, 15세기의 우리나라 한자음으로는 ‘셔벌’)에서 왔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어느 모로 보나 믿음직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 ‘셔’과의 관련에서 종래 까맣게 잊어 온 것이 하나 있음을 지적해 둡니다.
그것은 「탐라지」(耽羅志)에 그곳의 특이한 방언 단어 일곱이 기록되었는데 그 맨 처음에 나오는 ‘셔나(西那)’입니다.
서울을 ‘셔나’라 한다(以京爲西那).
현재 제주 방언에서는 ‘셔나’, ‘서나’란 말은 쓰이지 않습니다.
‘서울’, ‘서월’이라 합니다. 제주의 옛 방언에 ‘셔나’가 있었다는 것은 매우 소중한 증언입니다.
이 ‘셔나’와 ‘셔’을 비교하면 ‘셔’는 같고 ‘나’와 ‘’이 다릅니다.
‘나’는 땅의 뜻을 가진 말로 추정됩니다. 만주어와 퉁구스제어(Tungus諸語)에 바로 na(땅)가 있습니다.
한국어에는 단독으로 쓰인 예는 없지만 ‘나라[國]’의 ‘나’가 바로 이 말입니다.
‘’은 ‘고을(郡, 州)’의 중세어형 ‘’에 양모음형 ‘’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은 사람이 모여 사는 고장을 가리킨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렇게 볼 때, ‘셔’가 무엇인가 하는 것이 문제로 남습니다.
이 ‘셔’는 예전의 ‘시라/시로(斯羅, 斯盧, 尸羅 등)’에서 변한 것입니다.
둘째 음절이 ‘라(羅)’와 ‘로(盧)’로 표기된 것은, 조금 상상력을 더하면,
‘’, ‘르’ 또는 ‘러’를 표기한 것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이것이 무엇을 뜻한 말인가를 밝히는 것이 문제의 핵심입니다.
이것을 옛 지명이라고만 하고 불문(不問)에 부치는 것이 가장 현명한 처사입니다.
저는 나름대로 이 말의 어원에 대해서 생각해 본 것이 있지만,
또 하나의 우(愚)를 범(犯)하지 않기 위해서 공표하는 일은 삼가기로 하겠습니다.
http://www.korean.go.kr/nkview/nklife/2008_2/18_9.html"
이 주장에 따르면, 서벌(徐伐), 서라벌(徐羅伐), 서야벌(徐耶伐), 동경(東京:새 신, 벌 라), 신라(新羅:새 동, 벌 경),
금성(金城)의 옛소리는 시라벌(), 시로벌() 등이 될 수 있으며,
시라나 시로가 단음절 '셔'로 축음화되었다는 것이다.

경주 월성
후고구려의 수도 철원(鐵原)에서는 '쇠벌'을, 고려의 수도 송악(松岳/松嶽)' 또는
'송도(松都)에서는 '솔부리'를 발견할 수 있다.
백제의 세 번째 수도였던 부여군의 옛 이름인 '소부리(所夫里)'에서도
'부리'를 '벌'의 음차어로 보면 '소불', '소벌'이 된다.
따라서 서라벌(徐羅伐), 신라(新羅), 동경(東京), 금성(金城), 소부리(所夫里), 철원(鐵原),
송도(松都)는 조선의 중세기 서울의 발음'셔'과의 연관성을 찾을 수 있으며,
그것이 '서', '새', '소'의 음가를 가지며, '솔(松)의 경우에서처럼 'ㄹ'이 첨가됨을 볼 수 있다.
'솔'의 소리는 고구려의 수도 '졸본卒本'에서 찾을 수 있다.
'졸본卒本'은 '솔본', '솔빈' 으로 불렀는다는 설이 있다.
'본本'은 자전에는 '근본 본' '밑 본' 등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뿌리의 뜻이 있다.
뿌리의 중세어는 불휘이다.
한 연구에 따르면, 본(本)의 고대 발음은 '파르/퍼르' 였다.(http://m.blog.daum.net/ays303/17204119)
그렇게 보면 '졸본卒本'은 솔퍼르, 솔불휘 등의 발음의 가능성도 있어,
백제의 소부리(所夫里), 신라의 서라벌(徐羅伐)과도 멀지 않다.
졸본卒本의 솔을 '소르' '소’, 소러' 등처럼 풀어 발음했다면, 그것은 서라벌(徐羅伐)에 가까워진다.

고구려 첫도성 졸본성이라 추정되는 오녀산성
그런데, 솔본卒本의 뜻이 금성(金星)이라는 설이 제기되었다.
"성서학자 제롬(AD347 –420)이 파악한 이 '샛별'은 바로 동방의 별이며 '솔로몬의 별'이다.
아울러 아랍인들은 이 별을 '새빛'(Sa"bit)이라 부르며
타타르 몽골리언들은 이별을 '솔본(Sol bon)' 또는 '솔몬'(solmon)이라고 불렀다.
제롬에게 이 '샛별'은 바로 바빌론의 음녀 '이쉬타르'의 상징이었고 그리스의 '아프로디테'였다.
원가의 "중국고대신화"에 따르면 소호 금천의 아버지는 계명성이었다.
알타이 사람들은 이 계명성을 솔본(solbon)이라고 불렀다.
계명성 솔본의 아들 소호는 자라서 동방의 바다 밖으로 나가 나라를 세우고
그 나라를 소호국이라고 했다."
http://www.coo21.rgro.net/bbs/zboard.php?id=con_4&page=3&sn1=on&divpage=
3&sn=on&ss=off&sc=off&keyword=%BC%D6%BA%BB&select_arrange=hit&desc=asc&no=15787
소호금천씨는 신라 김씨의 조상으로 알려져 있다.
그가 계명성 곧 샛별이라 함은 신라 금성(金城)이 금성(金星)의 의미도 겸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솔본이 금성(金星)이라는 설은 키르기즈스탄의 '촐본아타'라는 지명과도 연관되고 있다.

촐폰-아타 유적지에서 바라본 으이스이크-쿨 호수(사진: 아래 주소)
"塞種이라 불린 사람들은 오늘날의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키르기즈스탄, 파미르와 천산 일대에서,
한마디로 중앙아시아에서 유목생활을 하던 종족들이다.
이들이 남긴 흔적에는 이식쿨 호수에서 발견된 고대 유물과 쿠르간 외에 어떤 것이 있을까.
고고학적으로 아주 중요한 지역이 이식쿨 호수 북안에 자리한 촐폰 아타다. 촐폰 아타(Cholpon-Ata)는,
좀 이상하게 들리겠지만, 글자적 의미로는 ‘샛별의 아버지(Venus-father)’라는 뜻이다.
이는 키르기즈 민족 신화에 등장하는 수호령의 이름이다. 이곳은 고대 암각화 지대로 유명하다."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28469
만일 졸본이 발음으로는 솔퍼르, 솔불휘 등이 되고,
그 뜻이 금성(金星)이라면, 다음의 주장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그리이스신화의 아프로디테 여신은 로마의 비너스 여신이며, 이집트에서는 이시스,
푀니키아에서는 아스타르테(Astarte), 바빌로니아에서는 이쉬타르(Ishtar) 여신이다.(...)
고대 여신들은 기본적으로 생산의 여신이며, 사랑과 성애의 여신이다.
그것은 자연 대지의 여신으로서 자연 사물 가운데 성적인 심볼을 언제나 대동한다.
특히 바다의 여신인 경우 가리비 조개 또는 전복과 같은 진주자개조개가
그 성적인 형상과 함께 여신의 탄생장소로 묘사된다.(...)
신라의 도읍 서라벌이 금성(金城)으로 표현되지만, <삼국사기> 등의 신라인들에 관한기록을 보면
금성(金星 Venus)에 대한 각별한 의미를 부여한 것을 볼 수 있다.
'서라벌'은 '샛별'의 한자표기일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금성은 태양에서 두번째 가까운 행성으로서 해와 달 외에 가장 밝은 별로
새벽 또는 저녁 서산에 비치는 별이기도 하다는데서 특히 고대 신화시대의 주목을 받았다.
우리 민족의 전통에서 정화수를 떠놓고 비는 그 별은 샛별 비너스 여신 별이다."
http://cafe.chosun.com/club.menu.bbs.read.screen?p_club_id=
dreamview&p_menu_id=61&message_id=551191
서울이 금성(金星)의 우리말 새별(샛별의 옛말)이 바뀌어 된 것이라면,
아사달의 다른 말일 수 있는 아스타르테가 본래 수메르의 여신 이난나이며,
이난나가 금성(金星)의 신이라는 사실과 연결된다.
그렇게 보면 고조선을 이어 나라의 수도를 정한 삼국, 고려, 조선 모두 그 수도의 명칭을
금성을 뜻하는 아사달을 같은 뜻을 지닌 새로운 소리인 새별, 셔, 서울로 했을 가능성이 없지 않다.
만일 서울이 금성(金星)의 우리말인 새별 또는 새비루(비루나 비로는 별의 옛말) ,
아랍말인 새빛과 관련된 말이라면,
그것의 의미는 지구에서 볼 때 하늘에서 가장 밝은 천체인 해와 달 다음으로 빛나는 하늘의 금성처럼
지상에서 가장 빛나는 땅, 터라는 것이다.
그 도시들은 조선의 금빛 궁궐 지붕에서 보듯이 금성처럼 금빛이 완연했을지도 모른다.
- 해석 -

(우리의 위협은)시리아도 아니고,
페르시아(이란)도 아니고,
바벨론(이라크)도 아니고,
카다피(시리아)도 아니다!
분명히 알아라. 홀로코스트보다 더 참혹할 것이다.
(한국의 수도) Seoul은 히브리어로
Sheoul, doom이다

* 참고로 Sheoul은 우리가 아는대로 스올은 지옥, 음부의 뜻이고요.
doom은 파멸, 멸망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지요.

" 영걸이요 주님앞에 힘 쎈 사냥꾼이라 "
" 유리하는 자 되리라 "
